태화당수세록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감(鑒)

태화당 2019. 8. 3. 08:31

()

) --> 

귀천불간계급부(貴賤不干階級富)

행업청탁정인수(行業淸濁定人獸)

문타무한왕래인(問他無限往來人)

기개남녀인자구(幾箇男女認自垢)

불귀행리귀안정(不貴行履貴眼正)

지남종래지일위(指南從來指一位)

여금산운봉두월(如今山雲峰頭月)

무불제귀일감리(無不齊歸一鑒裏)

) --> 

귀천(貴賤)이 계급과 부()에 상간(相干) 않는다 하니

행업(行業)의 청탁(淸濁)이 사람과 짐승을 정함이로다

저 무한한 왕래인에게 물어보아라

몇 개의 남녀가 자기의 더러움을 인정하겠는가.

행리(行履)를 귀하게 여김이 아니라 눈 바름이 귀하나니

지남침(指南針)은 종래(從來)로 한 방위만 가리키도다

여금(如今)의 산 구름 봉우리와 달이

가지런히 한 거울 속으로 돌아오지 않음이 없느니라.

) --> 

   제목 감()은 거울 감. ()은 양력 927일 텔레비젼의 도올선생 강설을 잠시 듣고 느낀 바가 있어 지은 것임.

   1~4행 계()는 섬돌 계. 계급 차례 계. ()은 등급 급. 행업(行業)은 선악의 행위니 몸 입 뜻으로 짓는 모든 행위. ()는 짐승 수. ()는 때 구. 더러울 구.

   5행 스님(潙山靈祐)이 이르되 단지 자네(仰山慧寂)의 눈 바름을 귀하게 여기고 자네의 행리(行履)를 말하지 않노라 (祇貴子眼正 不說子行履) [潙山錄].

   7~8행 한 거사(居士. 道信)가 있었으니 나이가 마흔이 넘었다. 명씨(名氏)를 말하지 않고 스스로 와서 예()를 짓고 스님(慧可)에게 물어 가로되 제자가 몸에 풍병이 걸렸으니 화상의 참죄(懺罪)를 청하옵니다. 스님이 가로되 죄를 가져온다면 너에게 참죄해 주겠노라. 거사가 양구(良久. 말 없이 잠시 있는 것)하고는 이르되 죄를 찾아도 가히 얻지 못하겠습니다. 스님이 가로되 내가 너에게 참죄해 주기를 마쳤노라 [傳燈錄卷三 慧可章]. 이 화두를 조계명(曹溪明)이 송()하되 참죄하다가 비로소 죄성(罪性)이 공()했음을 깨치니/ 노고롭게 검을 휘둘러 춘풍을 쓸지 않는구나/ 여금(如今)의 산 계곡 봉우리와 달/ 만상(萬像)이 가지런히 한 거울 가운데로 돌아옴이로다 (懺罪方知罪性空 不勞揮劍掃春風 如今山谷峰頭月 萬像齊歸一鑒中) [禪門拈頌卷三 一百五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