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요(童謠)
) -->
요문실솔곤외어(寥聞蟋蟀閫外語)
억득유시창동요(憶得幼時唱童謠)
소년탐정불고후(少年貪程不顧後)
요도시회회두고(潦倒始會回頭顧)
등정불여재산하(登頂不如在山下)
재가유승노도호(在家猶勝路途好)
증청천가만곡조(曾聽千歌萬曲調)
불여금창석동요(不如今唱昔童謠)
고요히 귀뚜라미가 문지방 밖에서 우는 소리를 듣다가
어릴 때 부르던 동요(童謠)를 기억해 얻었나니
소년(少年)엔 노정(路程)을 탐하느라 뒤돌아보지 못했는데
요도(潦倒)에야 비로소 머리를 돌려 돌아볼 줄 알게 되었네.
정상(頂上)에 오름이 산 아래 있음만 같지 못하고
집에 있음이 오히려 노도(路途)의 아름다움보다 낫나니
일찍이 천가만곡(千歌萬曲)의 가락을 들었지만
지금 부르는 옛적의 동요만 같지 못하더라.
) -->
제목 해석 어린이의 정서(情緖)를 표현한 노래. 요(謠)는 노래 요.
1~8행 료(寥)는 고요할 료. 실(蟋)은 귀뚜라미 실. 솔(蟀)은 귀뚜라미 솔. 곤(閫)은 문지방 곤. 어(語)는 새나 벌레의 울음소리. 억득(憶得)의 득은 조자(助字). 어릴 때 부르던 동요(童謠)란 귀뚜~라미가 또르르 우는 달밤에 멀리~ 떠나간 동무가 그리워져요 운운(云云). 소년(少年)은 젊은 나이. 정(程)은 길 정. 고(顧)는 돌아볼 고. 료(潦)는 헛늙을 료. 요도(潦倒)는 노쇠(老衰)하여 아무 것도 못하게 생긴 모양. 회(會)는 알 회. 유(猶)는 오히려 유. 승(勝)은 이길 승. 나을 승. 노도(路途)는 도로(途路)와 같은 말. 조(調)는 곡조 조. 가락 조.
'태화당수세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노화(蘆花) (0) | 2019.08.03 |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마라(懡㦬) (0) | 2019.08.03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설비설(雪非雪) (0) | 2019.08.03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사선사(思先師) (0) | 2019.08.03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대치(對治) (0) | 2019.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