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색(美色)
) -->
달기서시양귀비(妲己西施楊貴妃)
경국지색비일이(傾國之色非一二)
어견입수조산비(魚見入水鳥散飛)
하사소화양류지(何似笑花揚柳枝)
) -->
달기(妲己) 서시(西施)와 양귀비(楊貴妃)여
경국지색(傾國之色)이 한 둘이 아니지만
고기가 보면 물에 들어가고 새는 흩어져 날으나니
어찌 웃는 꽃과 한들거리는 버들가지만 같으랴.
) -->
제목 해석 1 아름다운 빛깔. 2 여자의 아리따운 용모. 3 아름다운 여자.
1행 달기(妲己)는 은(殷)나라 주왕(紂王)의 비(妃). 달(妲)은 자(字), 기(己)는 성(姓). 주왕(紂王)의 포학(暴虐)과 음락(淫樂)을 도왔음. 주(周)의 무왕(武王)이 주(紂)를 정벌하고 달기의 머리를 베어 작은 깃대에 매달았다 함. 서시(西施)는 춘추시대(春秋時代) 월(越)의 미인. 오왕(吳王) 부차(夫差)의 애비(愛妃)가 됨. 서자(西子). 양귀비(楊貴妃)의 이름은 옥환(玉環) 또는 태진(太眞). 당(唐) 현종(玄宗)의 애비(愛妃). 천보사년(天寶四年. 745) 황후(皇后)를 돕는 정일품(正一品)의 여관(女官)인 귀비(貴妃)가 되었으나 안녹산(安祿山)의 난 때 마외(馬嵬)에서 피살됨. 향년(享年) 38.
2행 경국지색(傾國之色)은 임금이 혹하여 나라가 기울어져도 모를 정도의 미인이라는 뜻으로, 뛰어나게 아름다운 미인을 이르는 말.
3행 미색(美色)을 보고 느끼는 감정이 중생마다 다름을 형용한 구절.
'태화당수세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백발상친(白髮相親) (0) | 2019.08.03 |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열조제강(列祖提綱) (0) | 2019.08.03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여생무사(餘生無事) (0) | 2019.08.03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입동(立冬) (0) | 2019.08.03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비천(飛天) (0) | 2019.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