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이(難易)
) -->
일미진중견수미(一微塵中見須彌)
일적수내처대해(一滴水內覰大海)
수미능입일미진(須彌能入一微塵)
대해불용일적수(大海不容一滴水)
열개날취재아리(裂開捏聚在我裏)
막위괴리불괴리(莫謂乖理不乖理)
갱유일어요사량(更有一語要思量)
철수화개목마시(鐵樹花開木馬嘶)
) -->
한 미진(微塵) 중에 수미산을 보고
한 방울의 물 안에 큰 바다를 엿보나니
수미산이 능히 한 미진에 들어가지만
큰 바다가 한 방울의 물을 용수(容受)하지 못하느니라.
찢어 엶과 주워 모으는 것이 내 속에 있나니
괴리(乖理)와 불괴리(不乖理)를 이르지 말아라
다시 한 말씀이 있어 사량(思量)을 요하나니
철수(鐵樹)에 꽃이 피고 목마가 우느니라.
) -->
제목 해석 어렵고도 쉬움.
2~8행 처(覰)는 엿볼 처. 용(容)은 용납할 용. 렬(裂)은 찢을 렬. 날(捏)은 주워 모을 날. 취(聚)는 모을 취. 괴(乖)는 어긋날 괴. 시(嘶)는 말 울 시. 울 시.
'태화당수세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불고(不顧) (0) | 2019.08.03 |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타파경래(打破鏡來) (0) | 2019.08.03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구(漚) (0) | 2019.08.03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휴헐(休歇) (0) | 2019.08.03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휴류(鵂鶹) (0) | 2019.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