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타파경래(打破鏡來)

태화당 2019. 8. 3. 09:16

타파경래(打破鏡來)

) --> 

일거월왕년우거(日去月往年又去)

거거래래미증휴(去去來來未曾休)

여리현전무회세(如離弦箭無回勢)

하기낙화재상지(何期落花再上枝)

경리간형견불난(鏡裏看形見不難)

수중착월쟁득취(水中捉月爭得取)

포각구시허다량(抛却舊時許多倆)

지요타파경래회(只要打破鏡來會)

) --> 

날이 가고 달이 가고 해가 또 가고

자꾸 가고 자꾸 오고 일찍이 쉬지 않나니

마치 시위를 떠난 화살이 돌아올 형세가 없음 같거늘

어찌 떨어진 꽃이 다시 가지 위에 오름을 기대하리오.

거울 속에 형상을 봄은 보기가 어렵지 않지만

물 가운데 달을 잡으려 한다면 어찌 취함을 얻으랴

구시(舊時)의 허다한 기량(技倆)을 던져버리고

단지 거울을 타파하고 와서 만남을 요하느니라.

) --> 

   제목 해석 거울을 타파하고 오너라. 거울을 타파하고 오면 너와 더불어 상견하리라 (打破鏡來與汝相見) [五燈全書卷八 靈雲志勤語].

   3~7행 현()은 활시위 현. ()은 화살 전. ()는 기약할 기. 기다릴 기. ()는 던질 포. 버릴 포. ()은 재주 량. 공교(工巧. 의 뜻)할 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