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가일층(加一層)

태화당 2019. 8. 6. 10:44

가일층(加一層)

) --> 

시성암점두(詩成暗點頭)

하필동설두(何必動舌頭)

포복이타수(飽腹易打睡)

도재용개구(道在慵開口)

수심파랑정(水深波浪靜)

막문기래유(莫問其來由)

욕궁천리목(欲窮千里目)

갱상일층루(更上一層樓)

) --> 

시를 이루면 가만히 머리를 끄덕이나니

어찌 혀를 놀림이 필요하랴

배부르면 쉽게 졸음이 오고

도가 있으면 입 열기에 게으르느니라.

물이 깊으면 파랑(波浪)이 고요하니

그 내유(來由)를 묻지 말아라

궁구해 천리를 보고자 하거든

다시 누각의 일층을 오르거라.

) --> 

   제목 해석 정도(程度) 따위를 한층 더함.

   1~4행 암()은 몰래할 암. ()은 끄덕일 점. 설두(舌頭)의 두()는 조자(助字). 타수(打睡)의 타()는 조자(助字). ()은 게으를 용.

   5행 물이 깊으면 파랑이 고요하고 학문이 넓으면 말소리가 낮다 (水深波浪靜 學廣語聲低) [從容錄卷六 九十二則].

   7~8행 하얀 해는 산에 의해 다하고/ 황하는 바다에 들어가며 흐르나니/ 궁구해 천 리를 보고자 하거든/ 다시 누각의 일층을 오르거라 (白日依山盡 黃河入海流 欲窮千里目 更上一層樓. 唐 王之渙 登鸛雀樓). ()은 볼()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