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호지불(蒿枝拂)

태화당 2019. 8. 6. 11:01

호지불(蒿枝拂)

) --> 

보리심작마생발(菩提心作麽生發)

일체불발미초절(一切不發未勦絶)

대이개구작십마(待爾開口作什麽)

번사임제호지불(飜思臨濟蒿枝拂)

) --> 

보리심을 어떻게 일으키는가 하면

일체를 일으키지 않아도 초절(勦絶)이 아니로다

너의 입 엶을 기다려 무엇하리오

도리어 임제의 호지불(蒿枝拂)을 생각하노라.

  ) -->  

제목 호()는 다북쑥 호. 호지불(蒿枝拂)은 다북쑥대로 만든 불자(拂子).

1행 태종황제(太宗皇帝. 宋太宗)가 일찍이 꿈을 꾸었는데 신인(神人)이 알리어 말하되 청하오니 폐하(陛下)께선 보리심을 일으키십시오. 황제가 이른 아침에 좌우가(左右街. 左右街僧錄이니 좌우가의 僧官)에 선문(宣問. 은 베풀 선. 밝힐 선. 임금이 스스로 말할 선)하여 가로되 보리심을 어떻게 일으킵니까. 좌우가(左右街)가 대답이 없었다 [續古尊宿語要卷五]. 작마생(作麽生)은 자마생으로 발음함. 무엇 어떤 등의 의문사(疑問詞)로 쓰임. ()은 일어날 발.

2행 초()는 망할 초.

3행 덕산화상(德山和尙)이 시중(示衆)해 이르되 물은 즉 허물이 있고 묻지 않아도 오히려 어그러지느니라. 어떤 중이 겨우 나오자 덕산이 바로 때렸다. 중이 이르되 화두도 또한 묻지 않았거늘 무엇 때문에 곧 때리십니까. 덕산이 이르되 너의 입 엶을 기다려 차마 무엇하리오 [續古尊宿語要卷五 木菴永和尙語中]. 십마(什麽)는 무엇 어떤 등에 쓰이는 의문사(疑問詞).

4행 임제가 시중(示衆)해 이르되 무릇 법을 위하는 자는 상신실명(喪身失命)을 피하지 않아야 하나니 내가 선사(先師. 先師는 돌아가신 스승이니 곧 黃檗)의 처소에서 세 차례 불법대의(佛法大意)를 물었다가 세 차례 때림을 입었는데 마치 호지불(蒿枝拂)과 서로 같았느니라. 여금(如今)에 다시 일돈(一頓. 의 뜻. 또는 10이나 20을 일돈이라고 함)을 생각하노니 누가 하수(下手. 손을 댐)하여 주겠는가. 어떤 중이 나와서 가로되 모갑(某甲)이 하수(下手)하겠습니다. 스님이 방()을 중에게 건네주매 중이 접수(接受)하려 하자 스님이 바로 때렸다 [宗鑑法林卷二十二]. ()은 도리어 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