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석화(石火)

태화당 2019. 8. 7. 10:10

석화(石火)

) --> 

헌불불가향다(獻佛不假香多)

상식나용거화(相識那容擧話)

목격이지존도(目擊以之存道)

지려지인석화(指驢指人石火)

) --> 

부처님께 헌공(獻供)하매 향의 많음을 빌리지 않나니

서로 앎이 어찌 화두를 듦을 용납하리오

목격(目擊)하매 이를 써 도를 두거니와

나귀를 가리키고 사람을 가리킴이 석화(石火)로다.

) --> 

제목 해석 부싯돌의 불빛.

1행은 불과극근선사심요권상(佛果克勤禪師心要卷上)에 나옴. ()는 빌릴() . () . 빌려줄() .

2행 노조보운선사(魯祖寶雲禪師. 마조의 法嗣)는 심상(尋常)에 중이 오는 것을 보면 곧 면벽(面壁)했다 [宗鑑法林卷十三]. 노조(魯祖)의 삼매가 가장 힘을 더나니/ 겨우 중이 옴을 보면 곧 면벽하니라/ 만약 이 동심(同心)으로 도를 통달한 자라면/ 눈썹을 치켜세워 곧 서로 앎에 있지 않느니라 (魯祖三昧最省力 才見僧來便面壁 若是同心達道者 不在揚眉便相悉) [禪門拈頌卷六 一百八十八則 瑯琊覺頌].

3행 중니(仲尼. 孔子)와 온백설(溫伯雪)이 오랫동안 상견(相見)코자 하였다. 어느 날 세가(稅駕. 수레 맨 말을 끌러 놓아 쉬게 하는 일)하다가 도로간(途路間)에서 상봉했는데 피차(彼此) 말이 없이 각자 돌아갔다. 그리고 뒤에 문인(門人)이 물어 가로되 부자(夫子. 孔子尊稱)께선 오랫동안 온백설을 상견코자 하시더니 상견에 미쳐서는 한 말씀도 교환하지 않으셨으니 이는 곧 무슨 뜻입니까. 중니가 가로되 군자(君子)의 상견은 목격(目擊)하매 도를 두느니라 (目擊道存) [黃龍慧南禪師語錄]. ()는 이 지. 이것 지.

4행 스님(百丈惟政禪師니 마조의 法嗣)이 입경(入京)함으로 인해 길에서 관인(官人)을 만나 밥을 시켜 먹는데 홀연히 나귀가 우는 것을 보았다. 관인이 불러 이르되 두타(頭陀. 모든 번뇌의 티끌을 털어 없애고 衣食住에 탐착하지 않으며 청정하게 불도를 수행하는 것. 또는 그런 사람을 지칭하는 말). 스님이 머리를 들자 관인이 도리어 나귀를 가리켰고 스님이 도리어 관인을 가리켰다. 법안(法眼)이 별운(別云. 관인을 가리킴과 달리 말하는 것)하되 다만 나귀의 울음을 지었겠다 (나 같으면 관인을 가리키지 않고 다만 나귀의 울음을 지었겠다는 말) [普菴印肅禪師語錄卷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