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범파제(憍梵波提) ☞ 교범바제(憍梵波提).
) -->
【敎法】 ①敎義 敎理 ▲六祖壇經 我於忍和尙處 一聞言下便悟 頓見眞如本性 是以將此敎法流行 令學道者頓悟菩提 各自觀心 自見本性 ②禪家稱佛敎其他宗派的道法爲敎法 ▲黃檗傳心法要 學道人多於敎法上悟 不於心法上悟 雖歷劫修行 終不是本佛 若不於心悟 乃至於敎法上悟 卽輕心重敎
교법(敎法) ①교의. 교리. ▲육조단경. 내가 인화상(忍和尙)의 처소에서 한 번 듣고 언하에 바로 깨쳐 문득 진여의 본성을 보았다. 이런 까닭으로 이 교법(敎法)을 가지고 유행케 하여 학도자로 하여금 보리를 돈오하고 각자 관심하여 스스로 본성을 보게 하리라. ②선가에서 불교의 기타 종파의 도법을 일컬어 교법이라 함. ▲황벽전심법요. 학도인이 다분히 교법상(敎法上)에서 깨닫고 심법상(心法上)에서 깨닫지 않나니 비록 역겁을 수행하더라도 마침내 이는 본불이 아니다. 만약 마음에서 깨치지 못하고 내지 교법상에서 깨치면 곧 마음을 가볍게 여기고 교를 중요하게 여긴다.
) -->
【較別】 猶特別 ▲宗門武庫 雲門下却不笑覺印 蓋他曾見保寧勇眞淨輩來 兼圓通曾見舜老夫浮山遠 所以較別
교별(較別) 특별과 같음. ▲종문무고. 운문하에선 도리어 각인(覺印)을 비웃지 않는다. 대개 그는 일찍이 보녕용과 진정(眞淨)의 무리를 친견하고 왔으며 겸하여 원통에서 일찍이 순노부와 부산원을 친견하였으므로 소이로 교별(較別)하다.
) -->
【交幷】 交集 ▲大慧語錄十 有時笑兮有時哭 悲喜交幷暗催促
교병(交幷) 교집. ▲대혜어록십. 어떤 때엔 웃고 어떤 때엔 곡하나니 비희가 교병(交幷)하며 가만히 최촉한다.
) -->
【膠盆子】 盛膠之盆 喩文字葛藤 子 後綴 ▲臨濟語錄 眞正學人 便喝先拈出一箇膠盆子 善知識不辨是境 便上他境上作模作樣
교분자(膠盆子) 아교를 담은 동이니 문자와 갈등에 비유함. 자는 후철. ▲임제어록. 진정한 학인이 바로 할하여 먼저 한 개의 교분자(膠盆子)를 염출하매 선지식이 이 경계인 줄을 분변하지 못하고 바로 그 경상(境上)에 올라 작모작양(作模作樣)한다.
) -->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776쪽 (0) | 2019.05.07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775쪽 (0) | 2019.05.0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773쪽 (0) | 2019.05.0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772쪽 (0) | 2019.05.0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771쪽 (0) | 2019.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