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43쪽

태화당 2019. 5. 7. 18:24

救世菩薩觀音菩薩之稱號 善慧大士錄一 遣弟子傅暀奉書於梁武帝曰 雙林樹下當來解脫善慧大士 白國主救世菩薩

구세보살(救世菩薩) 관음보살의 칭호. 선혜대사록1. 제자 부왕(傅暀)을 보내어 양무제에게 서신을 바쳐 가로되 쌍림수하 당래해탈 선혜대사가 국주(國主) 구세보살(救世菩薩)에게 아룁니다.

) --> 

九霄九天 重霄 祖庭事苑五 九天者 中央鈞天 東方蒼天 東北方玄天 西北幽天 西方浩天 西南朱天 南方炎天 東南陽天 其說見淮南子(天文訓) 雪巖祖欽語錄三 四海浪平龍睡穩 九霄雲淨鶴飛高

구소(九霄) 구천(1. 중앙 및 사방, 四隅의 하늘. 2. 하늘의 가장 높은 곳). 중소(重霄; 높고 높은 하늘). 조정사원5. 구천(九天)이란 것은 중앙은 균천이며 동방은 창천이며 동북방은 현천이며 서북은 유천이며 서방은 호천이며 서남은 주천이며 남방은 염천이며 동남은 양천이다. 그 설은 회남자(천문훈)를 보라. 설암조흠어록3. 사해의 물결이 평온하니 용은 잠들어 안온하고 구소(九霄)에 구름이 깨끗하니 학이 높이 난다.

) --> 

九昭朗淸代臨濟宗僧寂朗 字九昭 詳見寂朗

구소랑(九昭朗) 청대 임제종승 적랑의 자가 구소니 상세한 것은 적랑(寂朗)을 보라.

) --> 

寇讐怨讐 孟子離婁 君之視臣如土芥 則臣視君如寇讎 禪林寶訓四 反目攘臂擯逐離間 至於相視如寇讎

구수(寇讐) 원수. 맹자 이루. 군이 신을 토개(土芥)와 같이 보면 곧 신도 군을 구수(寇讎)와 같이 본다. 선림보훈4. 반목(反目; 서로 미워함)하고 양비(攘臂 1. 소매를 걷어올리다. 2. 화가 나다)하교 빈축하고 이간하고 구수(寇讎)와 같이 서로 봄에 이르다.

) --> 

救手刀子意爲活人刀 虛堂語錄一 王老師救手刀子雖利 被趙州用減竈法 幾乎打破蔡州

구수도자(救手刀子) 뜻이 활인도가 됨. 허당어록1. 왕노사의 구수도자(救手刀子)가 비록 날카롭지만 조주의, 감조법(減竈法)을 씀을 입어 하마터면 채주(蔡州)를 타파할 뻔했다.


九水而共沐一身釋迦如來成道記註上 普曜經云 菩薩生時 九龍在空降微細雨 不冷不熱 浴菩薩身 禪門諸祖師偈頌上之下釋迦如來成道記 十方而各行七步 九水而共沐一身

구수이공목일신(九水而共沐一身) 석가여래성도기주상. 보요경에 이르되 보살이 태어났을 때 9룡이 허공에 있으면서 미세한 비를 내렸는데 차지도 않고 뜨겁지도 않았으니 보살의 몸을 목욕시켰다. 선문제조사게송상지하 석가여래성도기. 시방으로 각 7보를 다녔으며 9수로 한 몸을 함께 목욕시켰다(九水而共沐一身).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