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53쪽

태화당 2019. 5. 7. 18:53

具眼謂對事物具有特殊之見識 又作具眼睛 禪林中 對能透見一切萬象萬法之實相者 稱具眼者 無門關淸稅孤貧 曹山具眼 深辨來機 祖堂集一長慶 你若擇不出 敢保你未具眼在

구안(具眼) 이르자면 사물에 대해 특수한 견식을 갖추어 있음. 또 구안정(具眼睛)으로 지음. 선림 중에서 능히 일체의 만상과 만법의 실상을 궤뚫어 보는 자에 대해서 일컬어 구안자라 함. 무문관 청세고빈. 조산은 구안(具眼)하여 깊이 내기를 분변했다. 조당집1 장경. 너희가 만약 간택해 내지 못한다면 감히 보증하나니 너희는 구안(具眼)하지 못했다.

) --> 

九野】 ①祖庭事苑三 九野 卽古九州 爾雅(釋地第九) 兩河間曰冀州 河南曰豫州 河西曰雝州 漢南曰荊州 江南曰楊州 濟河間曰兗州 濟東曰徐州 燕曰幽州 齊曰營州 明覺語錄五 八紘極目兮春山若黛 九野縱步兮汀草如茵 九天 呂氏春秋十三 天有九野 (中略)何謂九野 中央曰鈞天 其星角 亢 氐 東方曰蒼天 其星房 心 尾 東北曰變天 其星箕 斗 牽牛 北方曰玄天 其星婺女 虛 危 營室 西北曰幽天 其星東壁 奎 婁 西方曰顥天 其星胃 昴 畢 西南曰朱天 其星觜 雟 參 東井 南方曰炎天 其星輿鬼 柳 七星 東南曰陽天 其星張 翼 軫 虛堂語錄三 四海娟娟洗玉魂 九野茫茫白兔走

구야(九野) 조정사원3. 구야(九野) 곧 옛날의 구주(九州). 이아(爾雅; 釋地第九) 양하(兩河) 사이를 가로되 기주며 하남을 가로되 예주며 하서를 가로되 옹주며 한남을 가로되 형주며 강남을 가로되 양주며 제하(濟河) 사이를 가로되 연주며 제동을 가로되 서주며 연()을 가로되 유주며 제()를 가로되 영주이다. 명각어록오. 팔굉(八紘)의 극목(極目)에 춘산이 청대(靑黛)와 같고 구야(九野)에 종보(縱步; 활개치며 다니다)하니 풀이 깔개와 같다. 구천(九天). 여씨춘추13. ()에 구야(九野)가 있다 (중략) 무엇을 일러 구야라 하는가. 중앙을 가로되 균천이니 그 별은 각 ㆍ항ㆍ저며 동방을 가로되 창천이니 그 별은 방ㆍ심ㆍ미며 동북을 가로되 변천이니 그 별은 기ㆍ두ㆍ견우이며 북방을 가로되 현천이니 그 별은 무녀ㆍ허ㆍ위ㆍ영실이며 서북을 가로되 유천이니 그 별은 동벽ㆍ규ㆍ루며 서방을 가로되 호천이니 그 별은 위ㆍ묘ㆍ필이며 서남을 가로되 주천이니 그 별은 자ㆍ휴ㆍ심()ㆍ동정이며 남방을 가로되 염천이니 그 별은 여귀ㆍ류ㆍ칠성이며 동남을 가로되 양천이니 그 별은 장ㆍ익ㆍ진이다. 허당어록3. 사해가 연연(娟娟; 빛이 산뜻하게 아름답고 고움)하며 옥혼(玉魂)을 씻고 구야(九野)가 망망하여 백토(白兔)가 달린다.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