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55쪽

태화당 2019. 5. 8. 08:39

歐陽永叔歐陽修(1007-1072) 字永叔 詳見歐陽修 禪林疏語考證三 歐陽永叔甞曰 今人呼妻父爲嶽公 以泰山有丈人峯 呼妻母爲泰水 不知出何書也

구양영숙(歐陽永叔) 구양수(1007-10 72)의 자가 영숙이니 상세한 것은 구양수(歐陽修)를 보라. 선림소어고증3. 구양영숙(歐陽永叔)이 일찍이 가로되 여금의 사람들이 처의 아버지를 일러 악공(嶽公)이라 함은 태산에 장인봉이 있기 때문이다. 처의 어머니를 일러 태수(泰水)라 함은 어떤 책에 나오는지 알지 못한다.


歐陽詹字行周 福建晉江潘湖歐厝人 生活在安史之亂後的中唐 一生沒有離開國子監四門助敎這個官職 [百度百科] 禪林疏語考證二 唐書歐陽詹 字行周 擧進士 與韓愈 李絳 崔群 王涯 馮宿 庾承宣 聯名登第 皆天下選 時稱龍虎榜

구양첨(歐陽詹) 자는 행주며 복건 진강 반호의 구조 사람. 안사의 난 뒤의 중당(中唐)에 생활(生活)했음. 일생 국자감의 사문조교(四門助敎), 이 관직을 떠남이 있지 않았음 [백도백과]. 선림소어고증2. 당서 구양첨(歐陽詹). 자가 행주며 진사로 선발되었다. 한유ㆍ이강ㆍ최군ㆍ왕애ㆍ풍숙ㆍ유승선과 더불어 연명(聯名)으로 등제(登第; 급제)하였으며 모두 천하선(天下選; 세상 사람 중에서 뽑힌 훌륭한 사람)이니 당시에 일컫기를 용호방이라 했다.


구양충(龜洋忠) 귀양충(龜洋忠).

) --> 

구양화상(龜洋和尙) 귀양화상(龜洋和尙).

) --> 

驅馭驅使 列祖提綱錄五箬庵問 萬里烏騅 豈爲盲龜驅馭

구어(驅馭) 구사. 열조제강록5 약암문. 만 리의 오추(烏騅)를 어찌 눈먼 거북이 구어(驅馭)하겠는가.


九彦歷淸代臨濟宗僧印歷 字九彦 詳見印歷

구언력(九彦歷) 청대 임제종승 인력의 자가 구언이니 상세한 것은 인력(印歷)을 보라.

) --> 

口業又曰語業 三業之一 謂口之所作 卽一切之言語也 又業與孽通 口業 謂兩舌 惡口 妄言 綺語也 緇門警訓七 口無雜言 斷諸嬉咲 則口業淨也

구업(口業) 또 가로되 어업(語業)이니 3업의 하나. 이르자면 입이 짓는 바이니 곧 일체의 언어임. 또 업은 얼(; 재앙)과 통함. 구업은 이르자면 양설ㆍ악구ㆍ망언ㆍ기어. 치문경훈7. 입에 잡언이 없고 모든 희소(嬉咲)를 끊으면 곧 구업(口業)이 깨끗하다.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