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67쪽

태화당 2019. 5. 8. 10:28

狗子卽狗 子 動物的幼兒 又後綴 傳燈錄七興善寺惟寬 問 狗子還有佛性否 師云 有 僧云 和尙還有否 師云 我無 僧云 一切衆生皆有佛性 和尙因何獨無 師云 我非一切衆生

구자(狗子) 곧 구()니 자는 동물의 새끼며 또 후철. 전등록7 흥선사유관. 묻되 구자(狗子)는 도리어 불성이 있습니까. 스님이 이르되 있다. 중이 이르되 화상은 도리어 있습니까. 스님이 이르되 나는 없다. 중이 이르되 일체중생이 모두 불성이 있거늘 화상은 무엇 때문에 홀로 없습니까. 스님이 이르되 나는 일체중생이 아니다.

) --> 

毬子卽毬 子 後綴 最初以毛糾結而成 後以皮爲之 中實以毛 或充以氣 祖堂集十六南泉 師又時拈起毬子問僧 那个何似這个

구자(毬子) 곧 구(; )니 자는 후철. 최초에 털로 얽어 매어 만들었으며 후에 가죽으로 이를 만들었는데 속을 털로 채우거나 혹은 공기로 채웠음. 조당집16 남천. 스님이 또 어느 때 구자(毬子)를 집어 일으키고 중에게 묻되 나개(那个; 저것)가 이것과 어떠한가.

) --> 

鉤子形狀彎曲 用于探取 連接 懸卦器物的用具 五燈會元十一谷隱蘊聰 十五日已前諸佛生 你不得離我這裏 若離我這裏 我有鉤子鉤你

구자(鉤子) 형상이 굽었으며 탐취(探取; 탐색)하거나 연접(連接; 이어 붙임)하거나 기물을 매달아 거는 데 쓰는 용구. 오등회원11 곡은온총. 15일 이전엔 제불이 탄생했나니 너희가 나의 이 속을 떠남을 얻지 못한다. 만약 나의 이 속을 떠난다면 내가 구자(鉤子)가 있어 너희를 끌어당길 것이다.


狗子無佛性見狗子佛性 五燈全書四十七徽州簡 頌狗子無佛性話曰 趙州老漢 渾無面目 言下乖宗 神號鬼哭

구자무불성(狗子無佛性) 구자불성을 보라. 오등전서47 휘주간. 구자무불성화(狗子無佛性話)를 송해 가로되 조주노한이/ 온통 면목이 없다/ 언하에 종을 거스르니/ 신이 울고 귀가 곡한다.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