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究盡】 硏究以終盡 ▲五燈會元十天台德韶 若究盡諸佛法源 河沙大藏 一時現前
구진(究盡) 연구하여 종진함. ▲오등회원10 천태덕소. 만약 제불의 법원을 구진(究盡)하면 하사(河沙)의 대장경이 일시에 현전한다.
) -->
【九盡逢春】 五九盡日逢春也 從冬至到立春 四十五日也 ▲空谷集第四十一則 九盡逢春春日暖 有心拜節莫嫌遲
구진봉춘(九盡逢春) 오구(五九; 45일)가 다한 날에 봉춘함이니 동지로부터 입춘에 이르기까지가 45일임. ▲공곡집 제41칙. 구진에 봄을 만나니(九盡逢春) 봄날이 따스한데 유심히 배절(拜節; 타인을 향해 節日을 축하함)하니 더딤을 혐의하지 말아라.
) -->
【拘執】 執著 束縛 拘束 ▲傳燈錄二十八趙州從諗 旣不從外得 更拘執作什麽 如羊相似亂拾物安向口裏 ▲密菴語錄 逍遙自在 任性方圓 而無拘執
구집(拘執) 집착. 속박. 구속. ▲전등록28 조주종심. 이미 밖으로부터 얻음이 아니거늘 다시 구집(拘執)하여 무엇하리오. 마치 양이 어지럽게 물건을 습득하여 입 속을 향해 둠과 상사하다. ▲밀암어록. 소요하며 자재하고 성품에 맡겨 방원(方圓)하면서 구집(拘執)이 없다.
) -->
【咎徵】 過失的報應 災禍應驗 ▲鐔津文集六 咎徵者所以應其惡政之所感也
구징(咎徵) 과실의 보응. 재화의 응험. ▲심진문집6. 구징(咎徵)이란 것은 그 악정(惡政)의 소감에 응하는 소이이다.
) -->
【九次第定】 四禪 四無色 及滅受想定(亦云滅盡定) 九種之禪定 不雜他心 次第自一定入於一定之法也 一初禪次第定 二二禪次第定 三三禪次第定 四四禪次第定(已上名色界四禪天之根本定) 五空處次第定 六識處次第定 七無所有處次第定 八非想非非想處次第定(已上名無色界四處之根本定) 九滅受想次第定 止息一切心識之定 以是爲禪定之至極 [智度論三十一 八十一 大乘義章十三 三藏法數三十四] ▲憨山夢遊集四十五 無色界諸天 空定所持 原其所修 上品十善 以有漏禪 九次第定爲本
구차제정(九次第定) 4선과 4무색 및 멸수상정(滅受想定; 또 이르되 멸진정), 9종의 선정이 다른 마음에 섞이지 않고 차제로 1정(定)으로부터 1정에 들어가는 법임. 1은 초선의 차제정이며 2는 2선의 차제정이며 3은 3선의 차제정이며 4는 4선의 차제정이며(이상은 이름이 색계 4선천의 근본정) 5는 공처의 차제정이며 6은 식처의 차제정이며 7은 무소유처의 차제정이며 8은 비상비비상처의 차제정이며(이상은 이름이 무색계 4처의 근본정) 9는 멸수상의 차제정이니 일체 심식을 지식(止息)하는 정이며 이로써 선정의 지극을 삼음 [지도론31, 81. 대승의장13. 삼장법수34]. ▲감산몽유집45. 무색계의 제천은 공정(空定)이 소지(所持)한다. 그 닦는 바를 추구하면 상품십선(上品十善)이며 유루선(有漏禪)과 구차제정(九次第定)으로 근본을 삼는다.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83쪽 (0) | 2019.05.08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82쪽 (0) | 2019.05.0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80쪽 (0) | 2019.05.0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79쪽 (0) | 2019.05.0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78쪽 (0) | 2019.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