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88쪽

태화당 2019. 5. 8. 13:52

九包又作九苞 鳳的九種特徵 後爲鳳的代稱 祖庭事苑四 九包 瑞應圖云 鳳有九包 一曰歸命 二曰心合度 謂天度也 三曰耳聽達 四曰舌屈伸 五曰彩色光 六曰冠短州 當朱色也 七曰銳鈎 八曰音激揚 九曰腹戶 明覺語錄六 棲梧瑞九苞 追風駿十影

구포(九包) 또 구포(九苞)로 지음. 봉의 9종 특징이니 후에 봉의 대칭이 되었음. 조정사원4 구포(九包) 서응도에 이르되 봉이 구포가 있다. 1은 가로되 귀명(歸命)이며 2는 가로되 심합도(心合度)니 이르자면 천도(天度)3은 가로되 이청달(耳聽達)이며 4는 가로되 설굴신(舌屈伸)이며 5는 가로되 채색광(彩色光)이며 6은 가로되 관단주(冠短州)니 주색(朱色)에 해당하며 7은 가로되 예구(銳鈎)8은 가로되 음격양(音激揚)이며 9는 가로되 복호(腹戶). 명각어록6. 서오(棲梧)는 구포(九苞)의 상서며 추풍(追風)은 십영(十影)의 준마다.

) --> 

九品卽九種等級 上上 上中 上下 中上 中中 中下 下上 下中 下下等九品位 一般常用之詞有九品往生 九品淨土 九品大衣 九品惑等 續燈錄十七 九品蓮間親見佛 百千菩薩共遨遊

구품(九品) 9종의 등급이니 상상ㆍ상중ㆍ상하ㆍ중상ㆍ중중ㆍ중하ㆍ하상ㆍ하중ㆍ하하 등의 9품위임. 일반적으로 상용하는 말에 구품왕생ㆍ구품정토ㆍ구품대의ㆍ구품혹 등이 있음. 속등록17. 구품련(九品蓮) 사이에서 부처를 친견하니 백천의 보살이 함께 오유(遨遊)하더라.

) --> 

九品蓮臺略稱九蓮 謂九品往生之行者所乘坐之蓮臺 行者臨命終之際 聖衆卽持蓮臺來迎 行者乘此蓮臺 花合到淨土 到已花開 身相具足 行者之品位由上至下計有九種 從而蓮臺亦有九品之別 天目明本雜錄 九品蓮臺禮彌陀佛 得無礙眼見十方佛

구품련대(九品蓮臺) 약칭이 구련(九蓮)이니 이르자면 구품왕생의 행자가 타고 앉는 바의 연대(蓮臺). 행자가 목숨을 마칠 즈음에 임해서 성중이 곧 연대를 가지고 와서 영접함. 행자가 이 연대를 타면 꽃이 닫히고 정토에 이르며 이른 다음 꽃이 열리면서 신상(身相)을 구족함. 행자의 품위(品位)는 상으로부터 하에 이르기까지 합계가 9종이 있으며 따라서 연대도 또한 9품의 차별이 있음. 천목명본잡록. 구품연대(九品蓮臺)에서 미타불에게 예배하고 무애의 눈을 얻어 시방의 부처를 보다.

) --> 

九品往生行業有差別 故往生彌陀之淨土有上品上生 上品中生 上品下生 中品上生 中品中生 中品下生 下品上生 下品中生 下品下生之九品 或但九品之往生 常生於蓮華之中 萬善同歸集上 九品往生 上下俱達 或遊化國 見佛應身

구품왕생(九品往生) 행업이 차별이 있으므로 고로 미타의 정토에 왕생함에도 상품상생ㆍ상품중생ㆍ상품하생ㆍ중품상생ㆍ중품중생ㆍ중품하생ㆍ하품상생ㆍ하품중생ㆍ하품하생의 9품이 있음. 혹 단지 9품의 왕생은 늘 연화 가운데 태어남. 만선동귀집상. 구품왕생(九品往生)은 상하가 다 도달한다. 혹은 화국(化國)에 노닐면서 부처의 응신을 본다.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