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90쪽

태화당 2019. 5. 8. 14:08

九合多次會盟 法演語錄下 隻履淸名思達磨 諸侯九合笑齊桓

(九合) 여러 차례의 회맹. 법연어록하. 척리(隻履; 외짝 신)의 청명(淸名)은 달마를 생각하고 제후의 구합(九合)은 제환(齊桓; 제환공)을 비웃었다.

) --> 

苟合阿附 禪林寶訓三 不阿容苟合 不佞色巧言

구합(苟合) 아부. 선림보훈3. 아용(阿容)으로 구합(苟合)하지 않으며 영색(佞色)으로 교언(巧言)하지 않는다.

) --> 

九垓九天之外 國之界限 中國全土 垓 兼備八極之地 又域 界限 五燈會元十八法淸祖鑑 萬柳千華暖日開 一華端有一如來 妙談不二虗空藏 動著微言徧九垓

구해(九垓) 구천의 밖. 나라의 계한(界限). 중국 전토. ()는 팔극의 땅을 겸비함. 또 역(), 계한(界限). 오등회원18 법청조감. 만류천화(萬柳千華)가 따스한 날에 피니/ 1화의 끝에 1여래가 있다/ 불이(不二)를 묘담(妙談)하는 허공장이여/ 움직였다 하면 미묘한 말이 구해(九垓)에 두루하다.

) --> 

久嚮長久敬慕 用於最初相見其人時的語 嚮 趨向 向著 集韻 嚮 面也 或從向 仰山語錄 龐居士問 久嚮仰山 到來爲甚麽却覆

구향(久嚮) 장구히 경모(敬慕)함이니 그 사람을 최초에 상견했을 때 쓰는 말임. ()은 추향(趨向), 향착(向著). 집운 향() ()이다. 혹 종향(從向)이다. 앙산어록. 방거사가 묻되 앙산을 구향(久嚮)했더니 도래하매 무엇 때문에 도리어 엎어졌습니까.

) --> 

久響響 用同嚮 趣向 向著 見久嚮 汾陽語錄上 問 久響汾陽威勢全 略展金毛示衆看 師云 三日後露

구향(久響) ()은 향()과 씀이 같음. 취향, 향착. 구향(久嚮)을 보라. 분양어록상. 묻되 분양의 위세가 온전하다 함을 구향(久響)했으니 간략히 금모(金毛)를 펴서 시중하여 보십시오. 스님이 이르되 3일 후에 드러난다.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