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穹冥】 猶穹玄 蒼天 ▲禪門諸祖師偈頌下之上 一從冥目在穹冥 菌枕松床蘚嶂靑
궁명(穹冥) 궁현(穹玄)과 같음. 창천임. ▲선문제조사게송하지상. 한 번 명목(冥目; 눈을 감음)하여 궁명(穹冥)에 있음으로부터 균침송상(菌枕松床; 버섯의 베개, 소나무의 상)에 이끼 낀 봉우리가 푸르다.
) -->
【弓柸現影】 見杯影蛇絃 ▲從容錄第二十四則 此頌雲門覿面拈出一條活蛇 不同諸師弓柸現影 能遣能呼者
궁배현영(弓柸現影) 배영사현을 보라. ▲종용록 제24칙. 이 송은 운문이 적면(覿面; 목전. 당면)에 한 줄기의 산 뱀을 염출하였음이니 여러 스님의, 궁배현영(弓柸現影)하여 능히 보내고 능히 부르는 것과는 같지 않다.
) -->
【宮商】 宮商角徵羽五音之略 見宮商角徵羽 ▲禪門拈頌集第五則 長靈卓頌 世尊拈花 迦葉微笑 不落宮商 是何曲調 古洞風淸 寒潭月皎 報君知須曉了 融峰最好音聲鳥
궁상(宮商) 궁ㆍ상ㆍ각ㆍ치ㆍ우, 5음의 약칭이니 궁상각치우를 보라. ▲선문염송집 제5칙. 장령탁이 송하되 세존이 염화하매/ 가섭이 미소함이여/ 궁상(宮商)에 떨어지지 않나니/ 이 무슨 곡조인가/ 옛 골엔 바람이 맑고/ 찬 못엔 달이 밝다/ 그대에게 알려 알게 하나니 반드시 환히 깨쳐라/ 융봉에 가장 아름다운 음성의 새다.
) -->
【宮商角徵羽】 又曰五聲 或五調子 五音之中 宮爲土聲 其音最濁 爲壹越調 配於中央 商爲金聲 次濁 爲平調 配於西方 角爲木聲 半淸半濁 爲雙調 配於東方 徵爲火聲 微淸 爲黃鍾調 配於南方 羽爲水聲 其音最淸 爲盤涉調 配於北方 後世密敎遂以五音配列五智 五佛 五部 五色等 宮表中央法界體性智 商表西方妙觀察智 角表東方大圓鏡智 徵表南方平等性智 羽表北方成所作智 [止觀輔行傳弘決八之二 淨土五會念佛法事儀讚 漢書律曆志一上 通典一四三 隋書音樂志九] ▲續傳燈錄十二靈巖志愿 問 六六三十六 春風動修竹 新斵沒絃琴 請師彈一曲 師曰 不落宮商角徵羽
궁상각치우(宮商角徵羽) 또 가로되 5성, 혹 5조자(調子)임. 5음 중에 궁(宮)은 토성이 되며 그 음은 가장 탁하며 일월조(壹越調)가 되며 중앙에 딸림. 상(商)은 금성이 되며 다음으로 탁하며 평조(平調)가 되며 서방에 딸림. 각(角)은 목성이 되며 반청반탁하며 쌍조(雙調)가 되며 동방에 딸림. 치(徵)는 화성이 되며 조금 맑으며 황종조(黃鍾調)가 되며 남방에 딸림. 우(羽)는 수성이 되며 그 음은 가장 맑고 반섭조(盤涉調)가 되며 북방에 딸림. 후세에 밀교에선 드디어 5음을 5지ㆍ5불ㆍ5부ㆍ5색 등에 배열했으니 궁(宮)은 중앙의 법계체성지를 표하고 상(商)은 서방의 묘관찰지를 표하고 각(角)은 동방의 대원경지를 표하고 치(徵)는 남방의 평등성지를 표하고 우(羽)는 북방의 성소작지를 표함 [지관보행전홍결8지2. 정토오회염불법사의찬. 한서율력지1상. 통전143. 수서음악지9]. ▲속전등록12 영암지원. 묻되 육육은 삼십육이니 춘풍이 긴 대에 붑니다. 새로 깎은 몰현금을 스님에게 청하오니 1곡을 퉁기십시오. 스님이 가로되 궁상각치우(宮商角徵羽)에 떨어지지 않는다.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28쪽 (0) | 2019.05.08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27쪽 (0) | 2019.05.0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25쪽 (0) | 2019.05.0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24쪽 (0) | 2019.05.0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23쪽 (0) | 2019.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