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卷】 古指書的卷軸 今爲書籍的通稱
권(卷) 옛적에 서책의 권축을 가리켰음. 지금은 서적의 통칭이 됨.
) -->
【權】 對於實之語 方便之異名 暫用之而終廢之者 ▲御製揀魔辨異錄六 實者權之實 眞者幻之眞 權者實之權 幻者眞之幻
권(權) 실에 상대한 말이니 방편의 다른 이름임. 잠시 그것을 쓰고 마치면 폐기하는 것. ▲어제간마변이록6. 실(實)이란 것은 권(權)의 실이며 진(眞)이란 것은 환(幻)의 진이며 권(權)이란 것은 실(實)의 권이며 환(幻)이란 것은 진(眞)의 환이다.
【權假】 權謀暫用還廢之義 ▲宗鏡錄三十四 又二乘及權假菩薩 不知諸佛祕旨
권가(權假) 권모로 잠시 쓰고 도리어 폐기함의 뜻. ▲종경록34. 또 이승 및 권가보살(權假菩薩)은 제불의 비지(祕旨)를 알지 못한다.
) -->
【勸誡】 敎善云勸 制惡云誡 如來之敎法 必具此兩門 ▲爲霖旅泊菴稿四 願諸智者遞相勸誡
권계(勸誡) 선을 가르침을 이르되 권(勸)이며 악을 제지함을 이르되 계(誡)니 여래의 교법은 반드시 이 두 문을 갖춤. ▲위림여박암고4. 원컨대 모든 지자는 갈마들며 서로 권계(勸誡)합시다.
) -->
【勸戒】 勸受戒於有緣信男信女 ▲善慧大士錄二 大士常勸戒諸人
권계(勸戒) 인연이 있는 신남신녀에게 수계를 권함. ▲선혜대사록2. 대사는 늘 모든 사람에게 권계(勸戒)했다.
) -->
【權管】 蓋監寺也 執一寺權柄 而管領事務 [象器箋七] ▲希叟紹曇廣錄三 上堂 謝靈峰權管
권관(權管) 대개 감사니 한 절의 권력의 자루를 잡고 사무를 관령(管領; 도맡아 다스림)함 [상기전7]. ▲희수소담광록3. 상당. 영봉권관(靈峰權管)에게 감사하다.
) -->
【權敎】 實敎之對稱 隨他意方便之敎說 稱爲權敎 如來隨自意眞實之敎法 稱爲實敎 天台宗立藏通別圓四敎 其中以藏通別三敎爲權敎 圓敎爲實敎 [摩訶止觀三下] ▲正法眼藏一 若說如來權敎三藏 河沙劫說不盡
권교(權敎) 실교의 대칭. 타인의 뜻에 따르는 방편의 교설을 일컬어 권교라 하고 여래가 자기의 뜻에 따르는 진실한 교법을 일컬어 실교라 함. 천태종에서 장ㆍ통ㆍ별ㆍ원의 4교를 세웠는데 그 중에 장ㆍ통ㆍ별 3교는 권교가 되고 원교는 실교가 됨 [마하지관3하]. ▲정법안장1. 만약 여래의 권교(權敎)의 3장(藏)을 설하려면 하사겁(河沙劫)에도 설해 다하지 못한다.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32쪽 (0) | 2019.05.08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31쪽 (0) | 2019.05.0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29쪽 (0) | 2019.05.0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28쪽 (0) | 2019.05.0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27쪽 (0) | 2019.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