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35쪽

태화당 2019. 5. 8. 18:15

棬攣】 ①棬 圓圈形 攣 蜷曲 棬攣 圈套 禪錄多指一圓相 從容錄第二十五則 大抵講肆貴說到 宗門貴用到 以棬攣中字最有來由 玄沙示衆云 吾有正法眼藏 付囑摩訶迦葉 猶如畫月 曹溪竪拂子 猶如指月 宏智廣錄一 僧問 如何是潙仰宗 師云 一棬攣跳不出 進云 如何是臨濟宗 師云 一棒一條痕 蜷曲的木器 指釣魚具 西巖了慧語錄上 分付海山無事客 釣鰲時下一棬攣

권련(棬攣) ()은 원권형(圓圈形; 둥근 동그라미 형상)이며 련()은 구부러져 굽음임. 권련은 권투(圈套; 올가미)니 선록에서 다분히 1원상을 가리킴. 종용록 제25. 대저 강사에선 설도(說到)를 귀중하게 여기고 종문에선 용도(用到)를 귀중하게 여긴다. 권련(棬攣) 가운데의 글자는 가장 내유가 있다. 현사가 시중해 이르되 나에게 정법안장이 있어 마하가섭에게 부촉한다 한 것은 마치 달을 그림과 같고 조계가 불자를 세운 것은 마치 달을 가리킴과 같다. 굉지광록1. 중이 묻되 무엇이 이 위앙종입니까. 스님이 이르되 1권련(棬攣)을 뛰어서 벗어나지 못한다. 진운(進云)하되 무엇이 이 임제종입니까. 스님이 이르되 한 방()에 한 줄기의 흔적이다. 구부러져 굽은 목기니 물고기를 낚시질하는 기구임. 서암요혜어록상. 해산(海山)의 무사객(無事客)에게 분부하나니 자라를 낚시할 때 한 권련(棬攣)을 내린다.

) --> 

眷戀非常留戀 頌古聯珠通集六 對面不契渡長江 北去少林方眷戀

권련(眷戀) 비상의 유련(留戀; 그리움에 머묾). 송고연주통집6. 대면하여 계합하지 못해 장강을 건넜나니 소림으로 북거(北去)하자 비로소 권련(眷戀)한다.

) --> 

圈攣又作棬攣捲攣 喩指師家接引伶俐衲僧時 所使用之特別機法 原指捲絞鉤繩之轆轤 或以圈爲豢養禽獸之檻 攣指用繩綁物或垂釣之具 轉以爲釣引把持之用 猶如垂釣者以善餌釣引大魚 又如獵戶以堅實之檻豢養猛獸 [碧巖鈔 碧巖錄方語解] 碧巖錄第三十三則 釣鼇時下一圈攣

권련(圈攣) 또 권련(棬攣)ㆍ권련(捲攣)으로 지음. 사가가 영리한 납승을 접인할 때 사용하는 바의 특별한 기법을 비유로 가리킴. 원래는 말아서 묶은 구승(鉤繩; 갈고리가 있는 밧줄)의 녹로(轆轤; 오지 그릇 따위를 만들 때, 바로 돌리며 모형과 균형 등을 잡는 데 쓰는 물레)를 가리킴. 혹 권()은 금수를 환양(豢養; 양육)하는 우리며 련()은 줄을 써서 물건을 매거나 혹은 낚시를 드리우는 기구니 전()하여 낚아 당기거나 파지하는데 사용하는 것이 마치 낚시를 드리우는 자가 좋은 미끼로 대어를 낚아 당김과 같음. 또 사냥꾼의 집에서 견실한 우리로 맹수를 환양함과 같음 [벽암초. 벽암록방어해]. 벽암록 제33. 자라를 낚을 때 1권련(圈攣)을 내리다.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