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捲輪冠】 準舍那寶冠云 [碧巖錄九十九則種電鈔] ▲碧巖錄第九十九則 頭上捲輪冠 脚下無憂履
권륜관(捲輪冠) 사나(舍那)의 보관(寶冠)에 준하여 이름임 [벽암록99칙종전초] ▲벽암록 제99칙. 두상엔 권륜관(捲輪冠)이며 각하엔 무우리(無憂履)다.
) -->
【權謀】 方便之異名 ▲林間錄下 方便智者 如將將兵 權謀所施 非有定式
권모(權謀) 방편의 다른 이름. ▲임간록하. 방편지란 것은 마치 장병을 거느리면서 권모(權謀)를 시행하매 정한 방식이 있지 않음과 같다.
) -->
【權無二】 唐文人 宋高僧傳十七唐京兆大興善寺復禮傳 天皇永隆二年辛巳(681) 因太子文學權無二 述釋典稽疑十條 用以問禮 請令釋滯 遂爲答之 撰成三卷 名曰十門辯惑論 ▲緇門警訓二 權無二復禮 以辨感而柔之
권무이(權無二) 당의 문인. 송고승전17 당 경조 대흥선사 복례전(復禮傳). 천황 영융 2년 신사(681) 태자문학 권무이(權無二)가 석전계의(釋典稽疑) 10조(條)를 서술하고 써서 복례에게 물으면서 청하여 석체(釋滯)하게 함으로 인해 드디어 그에게 답하면서 3권을 찬성(撰成)했으니 이름해 가로되 십문변혹론(十門辯惑論)이다. ▲치문경훈2. 권무이(權無二)와 복례는 변혹(辨感)으로써 이를 부드럽게 했다.
) -->
【權門】 方便門也 ▲宗鏡錄一 密布權門 廣備敎乘
권문(權門) 방편문임. ▲종경록1. 권문(權門)을 빽빽하게 펴고 교승을 널리 갖추다.
) -->
【權文公】 指唐代權德輿 詳見權德輿 ▲鐔津文集一 若唐之元結 李華 梁肅 若權文公 若裴相國休 若柳子厚 李元賓 此八君子者 但不詬佛爲不賢耳
권문공(權文公) 당대 권덕여를 가리킴. 상세한 것은 권덕여를 보라. ▲심진문집1. 당의 원결ㆍ이화ㆍ양숙ㆍ권문공(權文公)ㆍ배상국ㆍ유자후ㆍ이원빈 이 8군자는 단지 부처를 꾸짖지는 않았고 불현(不賢)으로 삼았을 뿐이다.
) -->
【勸發】 勸人使發佛道之心也 ▲五燈會元五夾山善會 因道吾勸發 往見船子
권발(勸發) 사람에게 권하여 불도의 마음을 일으키게 함. ▲오등회원5 협산선회. 도오의 권발(勸發)로 인해 선자를 가서 보았다.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38쪽 (0) | 2019.05.08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37쪽 (0) | 2019.05.0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35쪽 (0) | 2019.05.0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34쪽 (0) | 2019.05.0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33쪽 (0) | 2019.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