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01쪽

태화당 2019. 5. 9. 09:16

極致至極理致 五燈會元二十吳偉明居士 久參眞歇了禪師 得自受用三昧 爲極致

극치(極致) 지극한 이치. 오등회원20 오위명거사. 오래 진헐료선사를 참하여 자수용삼매를 얻었으며 극치(極致)로 삼았다.

) --> 

極則至極妙理的法則 禪門拈頌集第一三五則 國師因耽源辭曰 某甲往南方 忽有人問極則事 如何秪對 師云 幸自可憐生 須要箇護身符子作麽

극칙(極則) 지극한 묘리의 법칙. 선문염송집 제135. 국사가, 탐원이 고별하며 가로되 모갑이 남방으로 가려는데 홀연히 어떤 사람이 극칙사(極則事)를 묻는다면 어떻게 지대(秪對)해야 합니까 함으로 인해 스님이 이르되 행자(幸自; 본래) 가련생이거늘 호신부자(護身符子)를 수요(須要)하여 무엇하려느냐.

) --> 

極則事指明心悟性超越生死之事 傳燈錄七泐潭常興 僧問 如何是宗乘極則事 師云 秋雨草離披

극칙사(極則事) 마음을 밝히고 자성을 깨쳐서 생사를 초월하는 일을 가리킴. 전등록7 늑담상흥. 중이 묻되 무엇이 이 종승의 극칙사(極則事)입니까. 스님이 이르되 가을비에 풀이 이피(離披; 흩어지고 떨어짐)하다.

) --> 

克荷能爲荷擔 克 能也 萬善同歸集序 或克荷於經龍 或堅持於律虎

(克荷) 능히 하담함. 극은 능임. 만선동귀집서. 혹 경룡(經龍)을 극하(克荷)하고 혹 율호(律虎)를 견지(堅持)하다.

) --> 

棘險之奸禪林疏語考證二 棘險之奸 毛詩(小雅 甫田之什 靑蠅)曰 營營靑蠅止于棘 讒人罔極 交亂四國 禪林疏語考證二 燕安兀兀 兔守愚愚 豈期棘險之奸 妄肆株連之害

극험지간(棘險之奸) 선림소어고증2. 극험지간(棘險之奸) 모시(毛詩; 소아 보전지십 청승)에 가로되 영영(營營; 왕래하는 모양. 象聲詞)하는 청승(靑蠅; 금파리)이 가시나무에 쉬는구나. 사람을 참소함이 다함이 없어 4()을 교란함임. 선림소어고증2. 제비는 편안히 올올(兀兀; 아는 게 없는 모양)하고 토끼는 지키며 우우(愚愚; 매우 어리석은 모양)하면서 어찌 극험지간(棘險之奸)이 망령되이 주련(株連)의 해를 늘어놓을 줄 기대했으리오.

) --> 

極迥色五種法處所攝色之一 詳見法處所攝色 宗鏡錄五十八 法處色有五 一極迥色 二極略色 三定自在所生色 四受所引色 五遍計所執色

극형색(極迥色) 5종 법처소섭색의 하나. 상세한 것은 법처소섭색을 보라. 종경록58. 법처색에 다섯이 있다. 1. 극형색(極迥色). 2. 극략색. 3. 정자재소생색. 4. 수소인색. 5. 편계소집색.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