袈裟
梵語 此云不正色 卽壞色染衣也 染 表心染於法 壞 卽要無所染也
범어니 여기에선 이르되 不正色(靑黃赤白黑의 正色이 아닌 색)이며 곧 壞色한 染衣임. 染은 마음이 법에 물듦을 표하며 壞는 곧 물드는 바 없음을 요함임.
媿圖▶媿는 부끄러울 괴.
當作貴圖
마땅히 貴圖(貴는 欲이니 貴圖는 企圖와 같은 뜻)로 지어야 함.
漕溪
當作曹溪 漕 衛邑名 非義
마땅히 曹溪로 지어야 하나니 漕는 衛의 邑名이라 뜻이 아님.
控缺▶控은 당길 공.
當作空缺 苦貢切 缺也 缺亦空也 古之重語 如殫盡謀之類是也▶書에
字가 없음.
마땅히 空缺로 지어야 하나니 苦貢切이며 缺임. 缺도 또한 空이니 옛날의 重語며 예컨대(如) 殫盡(殫은 다할 탄)과 謀의 類가 이것이다.
'석자역주 조정사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一 雲門室中錄 18 후백(猴白) 습유(拾遺) (0) | 2019.09.03 |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一 雲門室中錄 17 의발(依鉢) 획랑(擭浪) 담탁(啗啄) 조주무빈주(趙州無賓主) (0) | 2019.09.03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一 雲門室中錄 15 십마(什麽) 염군(鹽軍) 양승묵(向繩墨) 종횡(蹤橫) (0) | 2019.09.03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一 雲門室中錄 14 서자(書字) 명신구신(名身句身) (0) | 2019.09.03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一 雲門室中錄 13 곤구(輥毬) 이자(以字) 수완(水椀) 라한서자(羅漢書字) (0) | 2019.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