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光明最勝經】 金光明最勝王經之略 詳見金光明經 ▲五家宗旨纂要下 金光明最勝經 一切如來有三種身 具足攝受阿耨菩提
금광명최승경(金光明最勝經) 금광명최승왕경의 약칭. 상세한 것은 금광명경을 보라. ▲오가종지찬요하. 금광명최승경(金光明最勝經) 일체 여래에 3종의 몸이 있어 아뇩보리를 구족하고 섭수한다.
) -->
【金光明最勝王經】 十卷 唐義淨譯 爲金光明三譯中最後出而最完備者 一部有三十一品 是護國三部經之一 經之第六有四天王護國品 說四天王鎭護國家之誓 ▲宗鏡錄九十一 金光明最勝王經云 譬如日月無有分別 亦如水鏡無有分別 光明亦無分別 三種和合 得有影生 如是法如如 如如智 亦無分別 以願自在故 衆生有感 現應化身
금광명최승왕경(金光明最勝王經) 10권. 당 의정(義淨) 역. 금광명 3역 중에 최후에 나왔으며 가장 완비된 것이 됨. 1부에 31품이 있으며 이는 호국 3부경의 하나임. 경의 제6에 사천왕호국품이 있으며 사천왕이 국가를 진호(鎭護)하는 서원을 설했음. ▲종경록91. 금광명최승왕경(金光明最勝王經)에 이르되 비유컨대 일월이 분별이 있지 않음과 같이, 또한 물과 거울이 분별이 있지 않음과 같이 광명도 또한 분별이 없다. 3종이 화합하여 그림자가 생성(生成; 生)됨이 있음을 얻는다. 이와 같이 법이 여여하여 여여지(如如智)도 또한 분별이 없다. 서원의 자재함을 쓰는 연고로 중생이 유감(有感)하면 응화신을 나타낸다.
) -->
【金軀】 禪林疏語考證一 金軀 輔行曰 如來黃金色身 口業所說故也 ▲禪林疏語考證一 掬香水以浴金軀 摘澗芹而修菲供
금구(金軀) 선림소어고증1. 금구(金軀) 보행에 가로되 여래의 황금색신은 구업으로 설한 바인 연고다. ▲선림소어고증1. 향수를 움켜 금구(金軀)를 목욕시키고 간근(澗芹)을 따서 비공(菲供)을 갖추다.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43쪽 (0) | 2019.05.09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42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40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39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38쪽 (0) | 2019.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