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26쪽

태화당 2019. 4. 30. 07:21

葛藤指文字言語 一如葛藤之蔓延交錯 又指公案中難以理解之語句 更轉義作問答工夫 玩弄無用之語句 稱爲閒葛藤 執著於文字言語 而不得眞義之禪 稱爲文字禪 或葛藤禪 臨濟語錄 不見釋尊云 法離文字 不屬因不在緣故 爲爾信不及 所以今日葛藤 大慧語錄一 無上禪師忌日上堂 適來未擊鼓已前 無上禪師已爲諸人入泥入水 葛藤不少 徑山不可更向土上加泥 便下座 雲門廣錄上 不得容易過時 大須子細 古人大有葛藤相爲處

갈등(葛藤) 문자와 언어를 가리킴이니 갈등의, 만연하여 교착(交錯)함과 똑 같음. 또 공안 중에 이해하기 어려운 어구를 가리킴. 다시 전의(轉義)하여 문답의 공부가 됨. 무용한 어구를 완롱(玩弄)함을 일컬어 한갈등(閒葛藤)이라 하며 문자와 언어에 집착하여 참 뜻의 선을 얻지 못함을 일컬어 문자선, 혹은 갈등선이라 함. 임제어록. 보지 못하는가, 석존이 이르시되 법은 문자를 여의었나니 인에 속하지 않고 연에 속하지 않는 연고라 하셨다. 너희의 믿음이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소이로 금일 갈등(葛藤)한다. 대혜어록1. 무상선사의 기일에 상당하다. 아까 북을 치지 아니한 이전에 무상선사가 이미 여러분을 위해 입니입수(入泥入水)했으니 갈등(葛藤)이 적지 않다. 경산(徑山; 대혜)이 가히 다시 흙 위를 향해 진흙을 더하지는 않겠다. 바로 하좌했다. 운문광록상. 용이하게 시절을 지냄을 얻지 말고 매우 자세함을 써야 한다. 고인이 갈등(葛藤)으로 서로 위한 곳이 많이 있다.

 

葛藤窠指糾纏言語知解的機鋒施設 亦作葛藤窟 圓悟語錄三 師乃云 日面月面珠回玉轉 有句無句絲來線去 如來禪父母未生前 祖師意井底紅塵起 透得者 權實句下雙明 透未得者 葛藤窠裏埋沒

갈등과(葛藤窠) 언어와 지해에 얽히고 설킨 기봉의 시설을 가리킴. 또 갈등굴로 지음. 원오어록3. 스님이 이에 이르되 일면월면(日面月面)은 주회옥전(珠回玉轉)하고 유구무구(有句無句)는 사래선거(絲來線去)하나니 여래선ㆍ부모미생전ㆍ조사의(祖師意)는 우물 바닥에 홍진이 일어남이다. 투득한 자는 권실구(權實句) 아래에서 쌍으로 밝히겠지만 투과함을 얻지 못한 자는 갈등과(葛藤窠) 속에 매몰되리라.

 

葛藤窟同葛藤窠 碧巖錄第六則 打入葛藤窟裏去了也

갈등굴(葛藤窟) 갈등과와 같음. 벽암록 제6. 갈등굴(葛藤窟) 속으로 들어가버렸다.

 

葛藤露布指未能超越語言知解的言句作略 露布意同葛藤 參露布 五燈會元十六靈曜辯良 有箇葛藤露布 與諸人共相解摘看 驀拈拄杖擊香臺曰 參堂去

갈등로포(葛藤露布) 능히 어언과 지해를 초월하지 못한 언구의 작략을 가리킴. 노포의 뜻은 갈등과 같으니 노포(露布)를 참조하라. 오등회원16 영요변량. 갈등노포(葛藤露布)가 있어 여러분과 함께 서로 해석하고 적취(摘取)해 보리라. 갑자기 주장자를 집어 향로를 때리고 가로되 참당(參堂)하러 가거라.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