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7쪽

태화당 2019. 12. 25. 11:56

翰墨全書仝建平撰 是一部元代前期編纂成書 後來經過兩次改編的民間日常交際應用類書 分類輯錄民間交際應酬相關的詞語 典故 詩詞文章及活套 [百度學術] 禪林疏語考證三 翰墨全書曰 深念夤緣

한묵전서(翰墨全書) 동건평(仝建平)이 찬()했고 이는 1부며 원대(元代) 전기(前期)에 편찬하여 서책을 이루었음. 후래에 두 차례 개편을 경과한 민간의 일상 교제에 응용하는 종류의 서책임. 민간의 교제에 응수(應酬)와 상관된 사어(詞語)ㆍ전고(典故)ㆍ시사문장(詩詞文章) 및 활투(活套; 생활 중의 俗語常談)를 분류하여 집록했음 [백도학술]. 선림소어고증3. 한묵전서(翰墨全書)에 가로되 인연(夤緣)을 깊이 생각하다.

) --> 

韓文公卽韓愈 五燈會元五大顚寶通 韓文公一日相訪 問師 春秋多少 師提起數珠曰 會麽 公曰 不會 師曰 晝夜一百八

한문공(韓文公) 곧 한유(韓愈). 오등회원5 대전보통. 한문공(韓文公)이 어느 날 상방(相訪)했다. 스님에게 묻되 춘추가 얼마입니까. 스님이 수주(數珠)를 제기하고 가로되 아느냐. 공이 가로되 알지 못합니다. 스님이 가로되 주야로 108이다.

) --> 

閑文字不要之文字 達磨大師血脈論 若見本性 十二部經總是閑文字

한문자(閑文字) 중요하지 아니한 문자. 달마대사혈맥론. 만약 본성을 본다면 12부경이 모두 이 쓸데없는 문자(閑文字).

) --> 

漢文帝劉恒(202-157 在位前179-157) 漢高祖劉邦第四子 母薄姬 漢惠帝劉盈之弟 西漢第五位皇帝 [百度百科 釋氏稽古略一] 祖庭事苑一 漢文帝以周亞夫爲將軍 軍細柳以備胡

한문제(漢文帝) 유항(劉恒; 202-157. 재위 179-157)이니 한고조 유방의 제4. 모친은 박희며 한혜제 유영의 동생이며 서한 제5위 황제 [백도백과. 석씨계고략1]. 조정사원1. 한문제(漢文帝)가 주아부(周亞夫)를 장군으로 삼아 세류(細柳)에 군영(軍營)해 호()에 대비했다.

) --> 

寒微貧困微賤之義 寒 貧困 五宗錄三雲門 臣跡本寒微 生從草莽

한미(寒微) 빈곤하고 미천함의 뜻. ()은 빈곤. 오종록3 운문. ()의 자취는 한미(寒微)했고 풀숲으로 좇아 출생했습니다.

) --> 

旱魃禪林疏語考證二 詩雲漢曰 旱旣大甚 滌滌山川 旱魃爲虐 註 魃 旱神也 禪林疏語考證二 適逢靑帝之司時 忽致旱魃之爲虐

한발(旱魃) 선림소어고증2. 시 운한(雲漢)에 가로되 가뭄()이 이미 매우 심하여 산천이 척척(滌滌; 초목의 물이 건조함을 형용)하고 한발(旱魃)이 잔학(殘虐)함이 되다. () ()은 한신(旱神)이다. 선림소어고증2. 마침 청제(靑帝)의 사시(司時; 時候를 맡아 다스림)를 만났는데 홀연히 한발(旱魃)의 잔학(殘虐)함에 이르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