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香浮篆】 香煙浮篆文上也 ▲五家正宗贊四香林遠 水晶宮冷香浮篆 倚圓蒲宴霽月光風
향부전(香浮篆) 향연(香煙)의 부전문(浮篆文)이 오름. ▲오가정종찬4 향림원. 수정궁은 찬데 향부전(香浮篆)하고 원포(圓蒲)에 기대어 편안한데 제월(霽月)의 광풍(光風)이다.
【向北】 北方 ▲雲門廣錄下 問僧 爾是向北人 僧云 是 師以一摑 ▲洞山悟本語錄 華嚴搬柴次 師把住柴問 狹路相逢時作麽生 云 反仄何幸 師曰 汝記吾言 汝向南住有一千人 若向北住卽三二百而已
향북(向北) 북방. ▲운문광록하. 중에게 묻되 너는 이 향북인(向北人)인가. 중이 이르되 그렇습니다. 스님이 한 번 쥐어박았다. ▲동산오본어록. 화엄(華嚴)이 섶을 운반하던 차에 스님이 섶을 잡아 머물게 하고 묻되 협로(狹路)에서 상봉할 때는 어떠한가. 이르되 반측(反仄; 몸을 뒤척임)하니 얼마나 다행입니까. 스님이 가로되 너는 나의 말을 기억하라. 네가 향남(向南)에 거주하면 1천 사람이 있고 향북(向北)에 거주하면 곧 3, 2백일 따름이다.
) -->
【香麝】 指麝香一類化妝品的香氣 ▲禪門諸祖師偈頌下之上 錦囊香麝語啾啾
향사(香麝) 사향과 한 종류의 화장품의 향기를 가리킴. ▲선문제조사게송하지상. 금낭(錦囊)의 향사(香麝)는 말이 추추(啾啾)하다.
【鄕射】 古代射箭飲酒的禮儀 ▲禪林疏語考證二 詩泮水曰 思樂泮水 註 泮水 泮宮之水也 諸侯之學 鄕射之宮 謂之泮宮
향사(鄕射) 고대 사전음주(射箭飲酒)의 예의. ▲선림소어고증2. 시 반수(泮水)에 가로되 사요반수(思樂泮水). 주(註) 반수(泮水) 반궁(泮宮)의 물이다. 제후의 학(學)인 향사(鄕射)의 궁을 일러 반궁이라 한다.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42쪽 (0) | 2019.12.27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40쪽 (0) | 2019.12.2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38쪽 (0) | 2019.12.2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37쪽 (0) | 2019.12.2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36쪽 (0) | 2019.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