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325쪽

태화당 2019. 12. 28. 08:31

現業流識憨山老人夢遊集十一 古德云 學人但得一念頓契自心 是爲妙悟 尙有八識田中 無量劫來惡習種子 名爲現業流識 旣悟之後 卽將悟得道理 二六時中 密密綿綿 淨除現業流識 名之爲修 不是捨此悟外 更有修也

현업류식(現業流識) 감산노인몽유집11. 고덕이 이르되 학인이 다만 1()이 자심에 돈계(頓契)함을 얻으면 이것이 묘오(妙悟)가 되지만 오히려 팔식전중(八識田中)에 무량겁래(無量劫來)의 악습종자(惡習種子)가 있음을 이름하여 현업유식(現業流識)이라 한다. 이미 깨친 후에 곧 깨쳐 얻은 도리를 가지고 이륙시(二六時) 중에 밀밀면면(密密綿綿)히 현업유식(現業流識)을 정제(淨除)하면 이를 이름해 수()라 하나니 이는 이 깨침을 버린 밖에 다시 수()가 있음이 아니다.

) --> 

顯如宋代曹洞宗僧 益州(四川成都)人 參大陽警玄得悟 住惠州羅浮山 [續傳燈錄六 五燈會元十四]

현여(顯如) 송대 조동종승. 익주(사천 성도) 사람. 대양경현을 참해 깨침을 얻었고 혜주 나부산에 거주했음 [속전등록6. 오등회원14].

) --> 

顯英宋代雲門宗僧 居福州靈峰 參江陵福昌重善得法 [續燈錄三]

현영(顯英) 송대 운문종승. 복주 영봉에 거주했고 강릉 복창중선을 참해 득법했음 [속등록3].

) --> 

玄悟五代後梁僧 撫州荷玉山玄悟大師光慧 曹山本寂法嗣 靑原下六世 [傳燈錄二十]

현오(玄悟) 오대 후량승. 무주 하옥산 현오대사 광혜(光慧)니 조산본적의 법사. 청원하 6[전등록20].

) --> 

玄奧玄妙深奥 五燈會元七惟勁寶聞 師雪峰而友玄沙 深入玄奧

현오(玄奧) 현묘하고 심오함. 오등회원7 유경보문. 설봉을 스승으로 삼았고 현사와 벗이 되었으며 깊이 현오(玄奧)에 들어갔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