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弘道大師】 唐代僧惟儼的諡號 詳見惟儼
홍도대사(弘道大師) 당대승 유엄의 시호. 상세한 것은 유엄(惟儼)을 보라.
) -->
【弘惇】 淸代曹洞宗僧 字白庵 遍歷諸方 依止獨峰道嚴 因玩步水邊 睹明月豁然大悟 住江寧獅子林 [廩山正燈錄]
홍돈(弘惇) 청대 조동종승. 자는 백암이며 제방을 편력(遍歷)했고 독봉도엄(獨峰道嚴)에게 의지했음. 물가를 완보(玩步)하다가 명월을 보고서 활연(豁然)히 대오했음. 강녕 사자림에 거주했음 [늠산정등록].
) -->
【弘燈】 淸代曹洞宗僧 字佛光 嗣法嵩乳道密 開法廣嗣 和碩親王屢請說法 [廩山正燈錄]
홍등(弘燈) 청대 조동종승. 자는 불광이며 숭유도밀의 법을 이었음. 광사에서 개법했고 화석친왕(和碩親王)이 누차 청해 설법했음 [늠산정등록].
) -->
【紅螺山】 爲佛敎勝地 位於懷柔城北五公里 距北京市區五十五公里 [百度百科]
홍라산(紅螺山) 불교의 승지(勝地)가 됨. 회유성 북방 5㎞에 위치하며 북경시구와의 거리가 55㎞ [백도백과].
) -->
【紅螺山和尙】 唐代僧 馬祖道一法嗣 住幽州紅螺山 [五燈會元三 傳燈錄八]
홍라산화상(紅螺山和尙) 당대승. 마조도일의 법사며 유주 홍라산에 거주했음 [오등회원3. 전등록8].
) -->
【弘徠】 淸代曹洞宗僧 字松翁 嗣法星朗雄 住廬江冶父 [五燈全書一一八]
홍래(弘徠) 청대 조동종승. 자는 송옹이며 성랑웅의 법을 이었으며 여산 야보에 거주했음 [오등전서118].
) -->
【鴻臚寺】 官署名 屬於五寺(大理寺 太常寺 光祿寺 太僕寺 鴻臚寺)之一 秦曰典客 漢改爲大行令 武帝時又改名大鴻臚 鴻臚 本爲大聲傳贊 引導儀節之意 大鴻臚主外賓之事 至北齊 置鴻臚寺 後代沿置 南宋 金 元不設 明淸復置 主官爲鴻臚寺卿 主要掌朝會儀節等 淸末廢 [百度百科] ▲佛祖綱目二十 摩騰入闕獻經像 帝大悅 舘於鴻臚寺
홍려시(鴻臚寺) 관서의 이름. 5시(五寺; 大理寺ㆍ太常寺ㆍ光祿寺ㆍ太僕寺ㆍ鴻臚寺)의 하나에 속함. 진(秦)에선 가로되 전객(典客)이며 한(漢)에선 고쳐 대행령(大行令)이라 했는데 무제 시 또 개명하여 대홍려(大鴻臚)라 했음. 홍려(鴻臚)는 본래 큰 소리로 전찬(傳贊)하면서 인도(引導)하는 의절(儀節)의 뜻이 됨. 대홍려는 외빈지사(外賓之事)를 주관했음. 북제(北齊)에 이르러 홍려시(鴻臚寺)를 설치했고 후대에 따라서 설치했음. 남송ㆍ금ㆍ원은 설치하지 않았고 명ㆍ청은 다시 설치했으며 주관(主官)은 홍려시경(鴻臚寺卿)이며 조회의절(朝會儀節) 등을 주요하게 관장했음. 청말에 폐했음 [백도백과]. ▲불조강목20. 마등(摩騰)이 입궐하여 경상(經像)을 봉헌하자 황제가 대열(大悅)했고 홍려시(鴻臚寺)에 묵게했다(舘).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18쪽 (0) | 2019.12.30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17쪽 (0) | 2019.12.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15쪽 (0) | 2019.12.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14쪽 (0) | 2019.12.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13쪽 (0) | 2019.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