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懷感】 宋代曹洞宗僧 嗣石門慧徹(良价下三世) 居潭州(今湖南長沙)北禪院 [五燈會元十四]
회감(懷感) 송대 조동종승. 석문혜철(양개하 3세)을 이었고 담주(지금의 호남 장사) 북선원에 거주했음 [오등회원14].
) -->
【會慶聖節】 卽會慶節 ▲密菴語錄 會慶聖節上堂 虛空可量風可繫 無能盡說佛功德 佛功德海旣難量 吾君聖壽亦如是
회경성절(會慶聖節) 곧 회경절. ▲밀암어록. 회경성절(會慶聖節)에 상당. 허공을 가히 재고(量) 바람을 가히 묶더라도 불공덕을 능히 다 설하지 못한다. 불공덕해를 이미 헤아리지 못하니 우리 군주의 성수(聖壽)도 또한 이와 같다.
) -->
【會慶節】 宋孝宗誕生日 孝宗以十月二十二日爲會慶節 [宋史一一二 釋氏稽古略四] ▲續古尊宿語要二隱山璨 上堂 會慶節云 過去釋迦已往 當來彌勒未來 現在我皇誕生
회경절(會慶節) 송효종의 탄생일. 효종은 10월 22일을 회경절로 삼았음 [송사112. 석씨계고략4]. ▲속고존숙어요2 은산찬. 상당. 회경절(會慶節)에 이르되 과거의 석가는 이미 떠났고 당래의 미륵은 오지 않았고 현재 우리의 황제가 탄생하셨다.
【會稽】 今浙江省紹興 ▲五家正宗贊三自得暉 師嗣宏智 諱慧暉 會稽張氏子
회계(會稽) 지금의 절강성 소흥. ▲오가정종찬3 자득휘. 스님은 굉지를 이었다. 휘는 혜휘며 회계(會稽) 장씨다.
) -->
【懷膏】 淸代臨濟宗僧 字雨靑 海門(今屬江蘇)馮氏 少出家碧峰寺 長投四瑞受戒 初參報恩通賢 後依靈巖弘儲 蒙印可 住台州天封 [五燈全書八十五]
회고(懷膏) 청대 임제종승. 자는 우청이며 해문(지금 강소에 속함) 풍씨. 소년에 벽봉사에서 출가했고 장성하자 사서에 투신하여 수계했음. 처음 보은통용을 참했고 후에 영암홍저(靈巖弘儲)에게 의지해 인가를 받았고 태주 천봉에 거주했음 [오등전서85].
) -->
【會古通今記】 全稱蘭盆經疏會古通今記 二卷 宋 普觀述 收於卍續藏第三十五冊 ▲禪林疏語考證一 會古通今記云 三尊卽目佛法僧寶 世所仰重故名爲尊
회고통금기(會古通今記) 전칭이 난분경소회고통금기니 2권. 송(宋) 보관(普觀)이 술(述)했음. 만속장 제35책에 수록되었음. ▲선림소어고증1. 회고통금기(會古通今記)에 이르되 3존은 곧 명목이 불법승보니 세간에서 앙중(仰重; 우러러 존중)하는 고로 이름하여 존(尊)이다.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12쪽 (0) | 2020.01.01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11쪽 (0) | 2020.01.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09쪽 (0) | 2020.01.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08쪽 (0) | 2020.01.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06쪽 (0) | 2020.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