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剛經輕賤】 從容錄第五十八則剛經輕賤 金剛經云 若爲人輕賤 是人先世罪業應墮惡道 以今世人輕賤故 先世罪業則爲消滅
강경경천(剛經輕賤) 종용록 제58칙 강경경천(剛經輕賤). 금강경에 이르되 만약 사람에게 경천(輕賤)되면 이 사람은 선세의 죄업으론 응당 악도에 떨어지련만 금세의 사람이 경천하는 연고로 선세의 죄업이 곧 소멸한다.
【剛果】 剛勁果敢 惟公英明剛果 出於天資 ▲緇門警訓二 希顔首座字聖徒 性剛果 通內外學
강과(剛果) 강경(剛勁)하고 과감함. ▲치문경훈2. 희안수좌는 자가 성도다. 성격이 강과(剛果)하고 내외학을 통달했다.
【羌管】 羌笛 ▲虛堂語錄五 拊擊自然皆率舞 不須羌管隔雲吹
강관(羌管) 강(羌)의 피리. ▲허당어록5. 부격(拊擊; 가볍게 두드림)하매 자연히 다 솔무(率舞; 따라서 춤을 춤)하나니 강관(羌管)을 구름 너머에서 붊이 쓰이지 않는다.
【羗管】 羌笛 羗 同羌 ▲頌古聯珠通集十七 閒吹羗管向汀洲
강관(羗管) 강(羌)의 피리. 강(羗)은 강(羌)과 같음. ▲송고연주통집17. 한가히 강관(羗管)을 불면서 정주(汀洲)로 향한다.
【講究】 硏究 探究 ▲碧巖錄第九十七則 只據平常講究 乃經中常論
강구(講究) 연구. 탐구. ▲벽암록 제97칙. 다만 평상의 강구(講究)에 의거하자면 곧 경중의 상론(常論)이다.
【康衢】 祖庭事苑六 康衢 四達謂之衢 五達謂之康 ▲無異廣錄二十七 諸佛有入道康衢八萬四千法門 唯末後拈花示衆 乃指出敎外別傳之旨
강구(康衢) 조정사원6. 강구(康衢) 4달(四達; 길이 사방으로 통함)은 이를 일러 구(衢)라 하며 5달은 이를 일러 강(康)이라 한다. ▲무이광록27. 제불이 입도하는 강구(康衢)가 팔만사천 법문이 있다. 오직 말후에 염화시중하여 곧 교외별전의 지취를 가리켜 내었다.
【江國】 河流多的地區 多指江南 [百度漢語] ▲碧巖錄第七則種電鈔 江國卽建江府也 淸凉寺正在石頭城 城臨楊子江 故云江國也 ▲碧巖錄第七則 江國春風吹不起 鷓鴣啼在深花裏
강국(江國) 하류(河流)가 많는 지구. 다분히 강남을 가리킴 [백도한어]. ▲벽암록 제7칙 종전초. 강국(江國)은 곧 건강부(建江府)다. 청량사가 바로 석두성에 있으며 성이 양자강에 임한지라 고로 이르되 강국이다. ▲벽암록 제7칙. 강국(江國)에 춘풍은 불어 일어나지 않는데 자고(鷓鴣)는 깊은 꽃 속에 지저귀며 있다.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66쪽 (0) | 2019.04.30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65쪽 (0) | 2019.04.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63쪽 (0) | 2019.04.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62쪽 (0) | 2019.04.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61쪽 (0) | 2019.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