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1997년 의의(依依)

태화당 2019. 8. 1. 10:15

의의(依依)

 

유안눈색요안나(柳岸嫩色撓眼娜)

수음구성발이타(藪陰鳩聲拔耳朶)

노거봉춘애석춘(老去逢春哀惜春)

주삼야삼사량다(晝三夜三思量多)

감인잉연호시절(堪忍仍然好時節)

두우유도불사타(杜宇猶道不似他)

세세춘광무흠소(歲歲春光無欠少)

무한행인의의다(無限行人依依多)

 

버들 언덕의 예쁜 색이 눈에 어른거리며 아리따운데

숲 그늘의 비둘기 소리는 귀뿌리를 뽑는구나

늙어가면서 봄을 만나매 봄을 애석히 여기는지라

주삼야삼(晝三夜三)에 사량(思量)이 많도다.

감인(堪忍)도 그대로 좋은 시절이건만

두우(杜宇)는 오히려 저와 같지 못하다고 말하는구나

해마다 춘광(春光)은 모자람이 없건만

한없는 행인이 의의(依依)함이 많더라.

 

   제목 해석 안타까워함. 설레임.

   1~8행 눈()은 예쁠 눈. ()는 흔들 뇨. 교란할 뇨. ()는 한들거릴 나. 아름다울 나. ()는 숲 수. 이타(耳朶)는 양쪽 귀를 말함이니 타()는 이타(耳朶) . 주삼야삼(晝三夜三)은 낮과 밤을 각각 삼등분한 것. 감인(堪忍)은 사바(娑婆)를 번역한 말. 사바세계는 참아야 살 수 있기 때문. ()은 그대로 잉. 두우(杜宇)는 소쩍새의 다른 이름. 불여귀(不如歸)라고도 함. 불여귀라는 말을 불사타(不似他)로 변형시켜 보았음. ()는 말씀 도. ()은 부족할 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