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수료학(水潦鶴)

태화당 2019. 8. 10. 08:24

수료학(水潦鶴)

) --> 

약인해료생멸법(若人解了生滅法)

하사식득수료학(何似識得水潦鶴)

근진식계무심처(根塵識界無尋處)

다사화개풍취락(多謝花開風吹落)

) --> 

어떤 사람이 생멸법(生滅法)을 이해해 마침이

어찌 수료학(水潦鶴)을 알아 얻음만 같으랴

근진식계(根塵識界)엔 찾을 곳이 없나니

꽃 피고 바람 불어 떨어짐에 많이 감사하노라.

) --> 

1~2행 존자(尊者. 二祖阿難尊者)가 어느 날 죽림(竹林)에 들어가 비구가 게()를 외움을 들었다. 가로되 만약 사람이 백 살을 살더라도/ 수료학(水潦鶴)을 보지 못한다면/ 하루를 살면서/ 그것을 얻어 봄만 같지 못하다 (若人生百歲 不見水潦鶴 不如一日生 而得覩見之). 존자가 인하여 정정(訂正)하여 가로되 그렇지 않느니라. 만약 사람이 백 살을 살더라도/ 생멸법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하루를 살면서/ 그것을 해료(解了)하여 얻음만 같지 못하다 (若人生百歲 不解生滅法 不如一日生 而得解了之). 이에 비구가 그 스승에게 들려주니 그 스승이 가로되 아난이 늙어 혼미(昏迷)하였구나, 나의 말이 옳느니라. 다른 날에 존자가 다시 죽림(竹林)을 경행(經行)하면서 비구가 게를 외움이 전과 같음을 보고 존자가 그것을 힐문(詰問)하였고 그 스승의 말을 진술(陳述)함을 들었다. 인하여 우치(愚癡)를 교화하기 어렵다고 생각하고는 삼매(三昧)에 들어 존성(尊聖)의 증명(證明)을 구했다. 이에 땅이 진동(震動)하고 광명이 빠르게 일어나더니 잠깐 만에 한 성숙대사(聖宿大士)의 시현(示現)이 있었고 그(비구)를 위해 게를 설해 가로되 그 자(비구의 스승)가 염풍(念諷. 은 욀 념)하는 게는/ 실로 제불의 뜻이 아니로다/ 이제 환희존자(歡喜尊者. 아난을 번역하면 歡喜, 慶喜)를 만났으니/ 가히 그에 의지(依支)해 해료(解了)하라 (彼者念諷偈 實非諸佛意 今遇歡喜尊 而可依了之). 그 스승과 제자가 송경(竦敬. 은 공경할 송)하였고 금방 이과(二果. 斯陀含果)를 얻었다 [指月錄卷三 阿難章]. 환기(幻寄)가 가로되 아난이 과연 늙어 혼미하였으며 그 중은 편의(便宜)를 얻지 못하여 그(聖宿大士)의 독약(毒藥)을 받았도다. 만약 수료학상(水潦鶴上)을 향해 타발(打發. 살펴서 깨달음)하였더라면 곧 가히 비로정녕상(毗盧頂?上)을 밟아 행하였으리니 무슨 이과(二果)가 있어 도리어 성숙소성(聖宿小聖)의 처분(處分)을 받아 일생을 매몰(埋沒)하리오 [指月錄卷三 阿難章]. ()은 조사(助詞).

3~4행 근진식계(根塵識界)엔 찾을 곳이 없나니 춘풍에 난만(爛熳. 은 색채가 鮮麗할 만)히 핌에 많이 감사하노라 (根塵識界無尋處 多謝春風爛熳開) [禪門拈頌卷一 十九則]. 근진식(根塵識)은 육근육진육식(六根六塵六識)이니 합쳐 십팔계(十八界)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