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6753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23쪽

【伽蘭跎】 多作迦蘭陀 又作伽蘭陀 釋迦如來成道記註上 梵云迦蘭陀 華言好音 卽西域禽名也 謂迦蘭陀長者同頻婆娑羅王 同施立精舍 請佛衆住止 ▲禪門諸祖師偈頌上之下釋迦如來成道記 或伽蘭跎竹園 가란타(伽蘭跎) 다분히 가란타(迦蘭陀; 梵 kāraṇḍaka)로 지으며 또 가란타(伽蘭陀)로..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22쪽

【歌羅邏】 此云凝滑 亦言和合 初宿胎內之位 謂父母不淨如蜜和酪 泯然成一 於受生初七日中 凝滑如酪上凝膏也 [慧琳音義七十] ▲緇門警訓七 設經歌羅邏身忘失本願 惟垂加被開我迷雲 가라라(歌羅邏) 여기에선 이르되 응활(凝滑)이며 또 말하되 화합이니 처음 태내에 기숙(寄宿)하는 위(位)임. 이르자면 꿀과 타락(駝酪) 같은 부모의 부정(不淨)이 민연(泯然)히 하나를 이루어 수생(受生)의 초7일 중에 응활(凝滑)함이 마치 낙상(酪上; 駝酪上)의 응고(凝膏)와 같음 [혜림음의70]. ▲치문경훈7. 설사 가라라신(歌羅邏身)을 경과하면서 본원을 망실하더라도 오직 가피를 드리워 나의 미운(迷雲)을 열어주소서. 【迦羅眼】 爍迦羅眼 翻譯名義集三 爍迦羅 乃堅固義 此同金剛 ▲禪門拈頌集第一三七四則 法眞一頌 骨瘦皮枯衣服穿 夜深屋破看星眠 頂門不具..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21쪽

【假等流】 如前世殺生 令他命短 今世自命亦短 有相似之義 故假名等流 謂之假等流 ▲宗鏡錄七十一 等流不同 有二 (中略)二假等流者 前生令他命短 今生自身亦命短 是先殺業同類果故 依所招總報第八識有短長 名假等流 가등류(假等流) 예컨대(如) 전세에 살생하여 남의 생명을 짧게 했다..

태화일적(泰華一滴) 4

【4】 *老漢纔生便著忙 周行七步似*顚狂 賺他無限癡男女 開眼*堂堂入鑊湯 〖大慧普覺錄十 大慧偈〗 노한(*老漢)이 겨우 탄생하자 곧 바쁘게 굴어/ 일곱 걸음 주행하니 미친(*顚狂) 것 같구나/ 저 무한한 어리석은 남녀를 속이니(賺; 속일 잠)/ 눈뜨고 당당(*堂堂)히 확탕(鑊湯; 鑊은 가마솥)에 들어가려나. *老漢; 선사(禪師)에 대한 칭호. 혹 선사의 자칭. *顚狂은 전광병(顚狂病)이니 미친 병. *堂堂은 의젓하다. 대단하다. 조정사원3(祖庭事苑三) 주행(周行) 서응경(瑞應經)에 이르되 보살이 시생(示生)하여 곧 7보(步)를 행하고 1수(手)로 하늘을 가리키고 1수로 땅을 가리키며 천상천하에 오직 내가 홀로 존귀하다(瑞應經云 菩薩示生 卽行七步 一手指天 一手指地 天上天下 唯我獨尊).

태화일적 2019.04.28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20쪽

【街頭】 街路 路上 頭 後綴 ▲密菴語錄 普化和尙 每於街頭道 明頭來明頭打 暗頭來暗打 四方八面來旋風打 虛空來連架打 가두(街頭) 가로. 노상. 두는 후철. ▲밀암어록. 보화화상이 매양 가두(街頭)에서 말하되 밝은 것이 오면 밝은 것으로 때리고 어둔 것이 오면 어둔 것으로 때리고 사..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8-19쪽

【呵奴使婢】 呵斥使役奴婢 形容具有某種權力威嚴 ▲虛堂語錄二 若推尋佛法要妙 每日起來 呵奴使婢 說東道西 無非在他影子裏 가노사비(呵奴使婢) 노비를 꾸짖고 배척하면서 사역함. 모종의 권력과 위엄을 갖추고 있음을 형용. ▲허당어록2. 만약 불법의 요묘를 추심(推尋)하자면 매일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7쪽

【可奈】 怎奈 可恨 ▲五燈全書六十二湛然圓澄 東風時至解寒襟 滑滑山禽鳴上林 好箇圓通消息子 可奈時人不解聽 가나(可奈) 즘나(어찌할까). 가히 한스럽다. ▲오등전서62 담연원징. 동풍이 때때로 이르매 한금(寒襟)을 풀고/ 짹짹이며(滑滑; 음이 활활이니 象聲詞) 산새가 상림(上林)에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6쪽

【家敎】 又作家訓 小參之別名 ▲死心悟新語錄 師云 夫小參者 謂之家敎 何謂家敎 譬如人家 有三箇五箇兒子 大底今日幹甚事 小底今日幹甚事 是與不是 晩間歸來 父母一一處斷 가교(家敎) 또 가훈으로 지음. 소참의 별명. ▲사심오신어록. 스님이 이르되 무릇 소참이란 것은 이를 일러 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4-15쪽

【可觀】 ①五代僧 俗姓薛 福唐(今福建福淸)人 師事雪峰義存禪師十二年 嗣其法 出居衡山金輪院 [傳燈錄十九] ②(1092-1182) 宋代天台宗僧 江蘇華亭人 俗姓戚(一說傅) 字宜翁 號解空 竹庵 十六歲受具足戒 學天台 初依止南屛精微 後聞車溪擇卿禪師聲震江浙 負笈從之 得其法 南宋建炎(1127-113..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3쪽

【加減乘除】 算術的四則運算 ▲空谷集第八十則 攝末歸本 任伊加減乘除 가감승제(加減乘除) 산술의 네 가지(더하기ㆍ빼기ㆍ곱하기ㆍ나누기) 법칙의 운산(運算). ▲공곡집 제80칙. 말단을 거두어 근본으로 귀납(歸納)함은 너의 가감승제(加減乘除)하는 대로 맡긴다. 【駕車】 駕 駕駛 如..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2쪽

【家家門首透長安】 卽家家有路透長安 ▲續傳燈錄三十二無著妙總 曰 如何是人境俱不奪 師曰 處處綠楊堪繫馬 家家門首透長安 가가문수투장안(家家門首透長安) 곧 가가유로투장안(家家有路透長安)임. ▲속전등록32 무착묘총. 가로되 무엇이 이 인경(人境)을 다 뺏지 않음입니까. 스님이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11쪽

泰華禪學大辭典自序 原夫自摩訶迦葉至富那夜奢凡十祖皆羅漢 至馬鳴龍樹提婆天親 始開摩訶衍著論釋經 及至二十八祖香至王子菩提達磨來至支那 以無文印子 把二祖面門 一印印破 末後分張皮髓 隻履西歸 斯爲東土禪宗之濫觴矣 二祖得此印 把三祖面門印破 自後一人傳虛 萬人傳實 遞相..

태화일적(泰華一滴) 2

【2】 佛誕 *大術胎中無伎倆 *毗藍園裏*逞風流 年年惡水難回避 煩惱皆因强出頭 〖雜毒海一 疏山如〗 불탄(佛誕) 대술(*大術)의 태중에선 기량이 없더니/ 비람원(*毗藍園) 속에서 풍류를 자랑하도다(*逞)/ 해마다 악수(惡水; 惡은 더러울 악)를 회피하기 어려움은/ 번뇌가 다 억지로 출두했기 때문이다. *大術; 서역기6(西域記六) 마하마야(摩訶摩耶)는 당나라 말론 대술(大術)이다. *毗藍園; 람비니원(藍毘尼園)을 가리킴. 람비니(藍毘尼; 梵 Lum binī)는 화과(花果) 등 승묘(勝妙)한 일을 구족하다ㆍ낙승원광(樂勝圓光)ㆍ해탈처ㆍ가애(可愛)ㆍ소금 등으로 번역함. 중인도에 위치하는 임원(林苑)임. 땅이 옛 인도 구리(拘利)와 가비라위(迦毘羅衛)의 사이에 거처함. 곧 선각왕(善覺王)이 그의 부인 람비니를 위해 건..

태화일적 2019.04.26

태화일적(泰華一滴) 1

泰華一滴自敍 泰華堂叢書者 共計二十九部三萬五千餘頁也 自從戊辰以届庚子三十餘年間 予刊釋典之總稱也 可謂珠玉聯環 卷舒浩瀚 儻非過量大人 難窮其底不看其全矣 如今隨想摘出其中片言隻章一千項 題爲泰華一滴 垂示今人亦爲後進 可中都無編次 唯明典據項次 或有看閱過目者 請投搕?堆裡 三十年後或有搕?堆頭放光有日在 檀紀四三五三 歲在庚子 晩秋日 淨圓謹敍于平心寺內泰華堂 태화당총서란 것은 공계(共計) 29부 3만5천여 쪽이니 무진(1988)으로부터 경자(2020)에 이르기까지 30여 년 간 내가 간행한 석전(釋典)의 총칭이다. 가위(可謂) 주옥이 연환(聯環; 連環)하고 권서(卷舒; 거두고 폄)가 호한(浩瀚; 廣大. 繁多)하여 만약 과량대인(過量大人; 수량과 분별을 초월한 대인)이 아니라면 그 바닥을 궁구하기 어렵고 그 전체를 보지 못하리라. 여..

태화일적 2019.04.25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불교신문 기사

[스님의 책상] 천안 평심사 주지 정원스님 HOME 출판&문학 출판 스님의 책상 [스님의 책상] 천안 평심사 주지 정원스님“‘선학사전’ 만들어 부처님께 ‘밥값’ 했다고 생각해요” 천안=여태동 기자 승인 2019.04.19 09:39 출가 후 경전과 선어록공부 1985년 평심사 창건해 출판불사 시작해 20여 권(부) 출간 한글 태화선학대사전 발간 선학사전의 금자탑 세우다 “禪學 공부하는 수행자와 불자 널리 활용해 부처님 법 배우길...” “어떻게 가면 되냐”고 물었다. “네비게이션을 치면 된다”고 했다. 우리나라에서 ‘평심사’는 우리나라에서 단 한 곳 밖인 유일무이한 절이란다. 행정구역으로는 충남 천안시. 시내 어느 외곽에 위치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동남구 광덕면 자무실길 113’이라는 신주소를 믿고 찾..

국역 태화선학대사전 BBS불교방송에서 방영하다

절판 천안 평심사 ‘한글 선학(禪學) 대사전’ 간행 10권 분량 국역태화선학대사전 5년 만에 세상 빛 보다 연현철 기자 | 승인 2019.02.27 01:00 선 수행의 본질과 수행 방법을 담은 '선학(禪學)'에 관한 한글 사전이 10권의 방대한 분량으로 제작됐습니다. 천안 평심사 주지 정원스님이 ‘태화선학대사전’ 한문본에 이어 한글본까지 모두 마쳤는데, 선학 분야에서 세계 최대규모의 역경불사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청주BBS 연현철 기자가 스님을 만나봤습니다. 충남 천안의 고즈넉한 산사에서 세계 최대 규모의 한글판 선학사전이 탄생했습니다. 천안 평심사 주지 정원 스님은 지난 2014년 내놓은 한문본 '태화선학대사전'을 한글화한 '국역태화선학대사전'을 펴냈습니다. 10권에 걸친 분량만 만 쪽에 달하는 ..

현구집(玄句集)과 증보현구집. pdf파일 무료다운로드

https://pyungsimsa.tistory.com/18210 태화당총서(泰華堂叢書)태화당총서 전체를 USB 저장장치에 담았습니다. 특히 국역태화선학대사전은 1권~10권 파일 10개 외에 합본파일 1개를 추가하여 검색의 편리를 제공했습니다. 구입 의향이 있으신 분은 아래 계좌로pyungsimsa.tistory.com     현구집(玄句集).  초판본/ 초판 2쇄. 초판 500부 발행 1994년. 초판 2쇄 500부 발행 1996년.고려ㆍ신수대장경 중요 문구 발췌집. 수서(手書) 영인(影印). 상중하 3편 3책/ 1책. 704쪽. 비매품. 절판              증보(增補) 현구집(玄句集).  초판본/ 초판 2쇄. 초판 500부 발행 1998년. 초판 2쇄 500부 발행 1998년. 고려ㆍ신수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