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江湖風月集】 二卷 元代松坡宗憩編 又稱江湖集 本書將宋代景定咸淳 至元代延祐至治年間(1260-1323) 諸方尊宿所作之偈頌 編錄而成 內容多爲諸方尊宿將歷參之心得 以淸風明月等自然之事 託顯出所悟之境界 故書名爲江湖風月集 本書分爲上下二卷 共收七十六人 二七○首偈頌 其中 松坡自作之偈頌有十三首 收於下卷中 又書中亦收有松坡以後之人的作品 故本書爲松坡編集之說 可能有疑問 本書亦流傳於日本 有諸多版本及注釋書
강호풍월집(江湖風月集) 2권. 원대 송파종게(松坡宗憩)가 편(編)했음. 또 명칭이 강호집. 본서는 송대 경정ㆍ함순과 원대 연우ㆍ지치년 간(1260 -1323)의 제방 존숙이 지은 바의 게송을 가져 편록(編錄)하여 이루었음. 내용은 다분히 제방 존숙이 무릇 역참(歷參)하면서 마음에 얻은 것이 되거나 청풍명월 등 자연의 일로써 깨친 바의 경계에 의탁해 나타내었으므로 고로 서명이 강호풍월집이 됨. 본서는 나누어 상하 2권이 되며 모두 76인 270수의 게송을 수록했음. 그 중에 송파가 자작한 게송이 13수 있으며 하권 중에 수록했음. 또 서중에 또한 송파 이후의 사람들의 작품도 수록했음. 고로 본서는 송파가 편집했다는 설에 의문을 가짐이 가능함. 본서는 또 일본에도 유입해 전해졌으며 여러 많은 판본 및 주석서가 있음.
【江湖會】 禪宗夏安居之別名 多集江湖人爲安居法會之義
강호회(江湖會) 선종의 하안거의 별명. 강호인이 많이 모여 안거하는 법회의 뜻이 됨.
【江華】 祖庭事苑一 江華 縣名 在湘南道州 ▲五宗錄三雲門 一日 云 作麽生是塵中辨主 代云 道州去江華不遠
강화(江華) 조정사원1. 강화 현명이니 호남 도주에 있다. ▲오종록3 운문. 어느 날 이르되 무엇이 이 진중에서 주인을 변명함인가. 대운하되 도주와 강화(江華)의 거리가 멀지 않다.
【講會】 講說佛經 解釋經義之法會 屬禪宗之外佛敎其他宗派 亦作講席 ▲五燈會元十八西蜀鑾 師恍悟 卽禮謝 後歸蜀居講會 以直道示徒 不泥名相 而衆多引去 遂說偈罷講
강회(講會) 불경을 강설하면서 경의 뜻을 해석하는 법회임. 선종 외의 불교나 기타 종파에 속함. 또 강석으로 지음. ▲오등회원18 서촉란. 스님이 황오(恍悟; 문득 깨닫다)하고 곧 예사(禮謝)했다. 후에 촉에 돌아가 강회(講會)에 거처하면서 바른 도로써 도중에게 보이고 이름과 모양에 오염되지 않자 대중이 많이 인솔해 떠났다. 드디어 게를 설하고 파강했다.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86쪽 (0) | 2019.04.30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85쪽 (0) | 2019.04.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83쪽 (0) | 2019.04.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82쪽 (0) | 2019.04.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81쪽 (0) | 2019.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