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불귀(歸不歸)
) -->
삼월두우함혈류(三月杜宇含血流)
유월자규대원루(六月子規帶怨淚)
원아멸후다비시(願我滅後茶毘時)
수염유도불여귀(隨焰猶道不如歸)
) -->
삼월의 두우(杜宇)는 피 흘림을 머금었더니
유월의 자규(子規)는 원한의 눈물을 띠었구나
원컨대 내가 죽은 후 다비(茶毘)할 때에
화염 따라 오히려 불여귀(不如歸)라고 말해 주게나.
) -->
제목 해석 돌아가야 하나 돌아가지 말아야 하나.
1~4행 두우(杜宇)는 소쩍새. 자규(子規)는 소쩍새. 대(帶)는 띨 대. 원(怨)은 원(寃)과 통(通)함. 멸(滅)은 불교용어(佛敎用語)니 적멸(寂滅). 죽음. 다비는 화장(火葬)의 범어(梵語). 수(隨)는 따를 수. 염(焰)은 불꽃 염. 유(猶)는 오히려 유. 도(道)는 말씀 도. 불여귀(不如歸)는 소쩍새의 다른 이름이니 소쩍새의 울음을 형용한 말.
'태화당수세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정진(精進) (0) | 2019.08.02 |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낙불락(樂不樂) (0) | 2019.08.02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요증(要證) (0) | 2019.08.02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불감설파(不堪說破) (0) | 2019.08.02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평심(平心) (0) | 2019.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