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打)
) -->
객래수대적래타(客來須待賊來打)
허공래시연가타(虛空來時連架打)
만사수연안락법(萬事隨緣安樂法)
기래끽반곤래와(飢來喫飯困來臥)
) -->
손님이 오면 모름지기 접대하고 도적이 오면 때리고
허공이 올 때엔 도리깨로 때리거니와
만사가 인연을 따름이 안락(安樂)하는 법이니
배고프면 밥 먹고 피곤하면 눕노라.
) -->
2행 보화(普化. 盤山寶積의 法嗣. 馬祖下二世)가 늘 가시(街市. 市街)에서 요령(搖鈴)을 흔들며 이르되 명두(明頭)가 오면 명두(明頭)로 때리고 암두(暗頭)가 오면 암두(暗頭)로 때리고 사방팔면(四方八面)이 오면 선풍(旋風)으로 때리고 허공이 오면 도리깨로 때리노라 (明頭來明頭打 暗頭來暗頭打 四方八面來旋風打 虛空來連架打). 임제가 시자로 하여금 가서 겨우 이와 같이 말함을 보거든 바로 잡아 머물게 하면서 이르되 모두 이러히 오지 않을 때는 어떠한가 하게 했다. 보화가 밀어 젖히면서 이르되 내일 대비원(大悲院) 속에 재(齋)가 있느니라 [古尊宿語錄卷四十七]. 연가(連架)는 도리깨.
4행 래(來)는 조자(助字).
'태화당수세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원하(圓荷) (0) | 2019.08.06 |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망로(莽鹵) (0) | 2019.08.06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무극(無極) (0) | 2019.08.06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한망(閑忙) (0) | 2019.08.06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대수법진선사(大隨法眞禪師) (0) | 2019.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