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일적 1000

태화일적(泰華一滴) 413

【413】 五臺山隱峯禪師(嗣馬祖)一日辭祖 祖曰 甚處去 師曰 石頭去 曰石頭路滑 師曰 竿木隨身逢場作戲 便去 纔到石頭 遂繞禪牀一帀振錫一下 問 是何宗旨 頭曰 蒼天蒼天 師無語 回擧似馬祖 祖曰 汝更去 見他道蒼天蒼天 便噓兩聲 師又去 一依前問 頭乃噓兩聲 師又無語 歸擧似馬祖 祖曰 向汝道石頭路滑 〖禪宗頌古聯珠通集十三〗 오대산은봉선사(五臺山隱峯禪師; 馬祖를 이었음)가 어느 날 마조를 고별(告別)하자 마조가 가로되 어디로 갈 것인가. 스님이 가로되 석두(石頭; 希遷이니 靑原行思의 法嗣)로 가렵니다. 가로되 석두로(石頭路)가 미끄럽다. 스님이 가로되 간목(竿木; 또 干木으로 지음. 법회 때 師家가 쓰는 바의 주장자. 혹은 일반의 보행할 때의 지팡이를 가리킴)이 몸을 따르는지라 장소를 만나면 희롱을 지을 것입니다 하고는 바로 갔..

태화일적 2020.11.12

태화일적(泰華一滴) 412

【412】 僧問 本來人還成佛也無 師云 汝見大唐天子還自種田割稻否 僧云 未審是何人成佛 師云 是汝成佛 僧無語 師云 會麽 僧云 不會 師云 如人因地而倒依地而起 地道什麽 〖傳燈錄十 長沙景岑〗 중이 묻되 본래인이 도리어 성불합니까 또는 아닙니까. 스님이 이르되 너는 대당천자가 도리어 스스로 밭에 씨를 뿌리고 벼를 벰을 보았느냐. 중이 이르되 미심하오니 이 어떤 사람이 성불합니까. 스님이 이르되 이 네가 성불한다. 중이 말이 없었다. 스님이 이르되 아느냐. 중이 이르되 알지 못합니다. 스님이 이르되 예컨대(如) 사람이 땅을 인해 넘어졌으면 땅에 의해 일어나야 하거니와 땅이 무어라고 말하느냐.

태화일적 2020.11.12

태화일적(泰華一滴) 411

【411】 高麗僧統義天 以王子奉國命 使於我朝 聞本名 請以弟子禮 見問其所得 以華嚴經對 師曰 華嚴經三身佛 報身說耶 化身說耶 法身說耶 義天曰 法身說 本曰 法身徧周沙界 當時聽衆 何處蹲立 義天茫然自失 欽服益加) 〖禪林僧寶傳十四 慧林圓照本〗 고려승통(高麗僧統) 의천(義天)이 왕자로서 국명(國命)을 받들고 아조(我朝)에 사신으로 와 본(本; 북송 운문종승 宗本이니 天衣義懷의 法嗣宗本)의 이름을 듣고 제자의 예의로 요청했다. 상견하여 그의 소득을 물으매 화엄경으로 응대했다. 스님이 가로되 화엄경 삼신불(三身佛)에 보신이 설하는가 화신이 설하는가 법신이 설하는가. 의천이 가로되 법신이 설합니다. 종본이 가로되 법신은 사계(沙界)에 두루하거늘 당시에 청중(聽衆)이 어느 곳에 쭈구리고 섰는가. 의천이 망연자실했고 흠복(欽服..

태화일적 2020.11.12

태화일적(泰華一滴) 407

【407】 人天寶鑑曰 德山密禪師會下有一禪者用工甚銳 看狗子無佛性話久無所入 一日忽見狗頭如日輪之大 張口欲食之 禪者畏 避席而走 隣人問其故 禪者具陳 遂白德山 山曰 不必怖矣 但痛加精彩 待渠開口 撞入裏許便了 禪者依敎 坐至中夜狗復見前 禪者以頭極力一撞 則在函櫃中 於是霍然契悟 後出世文殊 道法大振 卽眞禪師也 〖禪苑蒙求拾遺〗 인천보감에 가로되 덕산밀선사(德山密禪師; 緣密이니 운문문언의 법사)의 회하(會下)에 한 선자(禪者)가 있었는데 공부(工夫)를 씀이 매우 날카로웠다. 구자무불성화(狗子無佛性話)를 간(看)했는데 오랫동안 들어가는 바가 없었다. 어느 날 홀연히 일륜(日輪)의 크기와 같은 개의 머리가 보였고 입을 벌려 그를 먹으려고 했다. 선자가 두려워하며 자리를 피해 도주했는데 인인(隣人; 隣單人)이 그 연고를 물었다. 선자..

태화일적 2020.11.12

태화일적(泰華一滴) 406

【406】 問 如何是*有情無佛性 無情有佛性 師云 從人至佛 是聖情執 從人至地獄 是凡情執 祇如今但於凡聖二境 有染愛心 是名有情無佛性 祇如今但於凡聖二境 及一切有無諸法 都無取捨心 亦無無取捨知解 是名無情有佛性 …… 若踏佛階梯 無情有佛性 若未踏佛階梯 有情無佛性 〖古尊宿語錄一 百丈懷海〗 묻되 무엇이 이 유정(*有情)이 불성이 없고 무정(無情)이 불성이 있음입니까. 스님이 이르되 사람으로부터 부처에 이르기까지는 이 성정집(聖情執)이며 사람으로부터 지옥에 이르기까지는 이 범정집(凡情執)이다. 단지 여금에 다만 범성(凡聖) 2경(境)에 염애심(染愛心)이 있으면 이 이름이 유정이 불성이 없음이며 단지 여금에 다만 범성 2경 및 일체의 유무 제법에 모두 취사심(取捨心)이 없고 또한 취사가 없다는 지해(知解)도 없으면 이 이름이..

태화일적 2020.11.12

태화일적(泰華一滴) 405

【405】 爾雅曰 猶獸名也 其形似麂 善登木 性多疑慮 常止山中 忽聞有聲 恐人來害 卽豫上樹 久無方下 須臾又上 如此非一 故謂不決多猜慮者爲猶豫焉 或曰隴西時俗呼犬子爲猶 犬隨人行 喜豫在先 行人未至 却來迎候 因謂心所不決爲猶豫也 〖慧琳音義二十三 惠苑撰花嚴經音義〗 이아(爾雅)에 가로되 유(猶)는 짐승의 이름이다. 모양이 큰 노루 같으며 나무에 잘 오르며 성질이 의심과 염려가 많아 늘 산중에 거주하며 홀연히 소리 있음을 들으면 사람이 와서 해칠까 두려워해 곧 미리(豫) 나무에 올라간다. 오랫동안 없어야 비로소 내려왔다가 수유(須臾; 잠시)에 또 올라가나니 이와 같이 하기를 한 번이 아닌지라 고로 이르기를 결단하지 못하고 시려(猜慮; 의심하며 염려하다)가 많은 것을 유예(猶豫)라 한다. 혹 가로되 농서(隴西)의 시속(時俗;..

태화일적 2020.11.12

태화일적(泰華一滴) 404

【404】 昔有大富長者 左右之人欲取其意皆盡恭敬 長者唾時 左右侍人以脚蹋却 有一愚者 不及得蹋 而作是言 若唾地者諸人蹋却 欲唾之時 我當先蹋 於是長者正欲咳唾 時此愚人卽便舉脚蹋長者口 破脣折齒 長者語愚人言 汝何以故蹋我脣口 愚人答言 若長者唾出口落地 左右諂者已得蹋去 我雖欲蹋 每常不及 以是之故 唾欲出口舉脚先蹋 望得汝意 〖百喩經三〗 옛적에 대부장자(大富長者)가 있었다. 좌우의 사람들이 그의 뜻을 취하고자 하여 모두 다 공경했다. 장자가 침을 뱉을 때 좌우의 시인(侍人)들이 발로써 밟아버렸다. 한 우자(愚者)가 있었는데 득답(得蹋; 밟음을 얻음)함에 미치지 못하자 이런 말을 지었다. 만약 땅에 침을 뱉으면 제인(諸人)이 밟아버리니 침을 뱉으려고 할 때 내가 마땅히 먼저 밟으리라. 이에 장자가 바로(正) 해타(咳唾; 기침하며 ..

태화일적 2020.11.12

태화일적(泰華一滴) 403

【403】 由基乃是楚時人 姓養 名叔 字由基 時楚莊王出獵 見一白猿 使人射之 其猿捉箭而戲 勅群臣射之 莫有中者 王遂問群臣 群臣奏曰 由基者善射 遂令射之 由基方彎弓 猿乃抱樹悲號 至箭發時 猿遶樹避之 其箭亦遶樹中殺 此乃神箭也 〖碧巖錄 第六十九則〗 유기(由基)는 곧 이 초(楚)나라 때의 사람이니 성은 양(養)이요 이름은 숙(叔)이며 자(字)는 유기(由基)다. 때에 초장왕(楚莊王)이 사냥 나갔다가 한 마리의 흰 원숭이를 보고 사람을 시켜 그것을 쏘게 하니 그 원숭이가 화살을 잡아 희롱하거늘 군신(群臣)에게 칙령하여 그것을 쏘게 하였는데도 맞히는 자가 있지 않으므로 왕이 드디어 군신에게 물으니 군신이 아뢰어 가로되 유기란 자가 잘 쏩니다 하매 드디어 그것을 쏘게 했다. 유기가 드디어 활을 당기매 원숭이가 곧 나무를 안고 ..

태화일적 2020.11.12

태화일적(泰華一滴) 402

【402】 世尊未離兜率已降王宮 未出母胎度人已畢 頌云 利刃有蜜不須舐 *蠱毒之家水莫甞 不舐不嘗俱不犯 端然衣錦自還鄕 〖大慧語錄十〗 세존이 도솔을 여의지 아니하고 이미 왕궁에 강탄하고 모태에서 나오지 아니하여서 이미 사람 제도하기를 마쳤다. 송해 이르되 예리한 칼날에 꿀이 있으면 핥음을 쓰지 말고/ 고독(*蠱毒)의 집이거든 물을 맛보지 말아라/ 핥지 않고 맛보지 않아서 다 범하지 않으면/ 단연(端然)히 비단옷 입고 스스로 환향하리라. *蠱毒; 편작심서(扁鵲心書) 민광(閩廣)의 사람들이 여러 동물(두꺼비ㆍ지네ㆍ뱀 등)을 한 옹기에 두어서 그들로 하여금 호상 먹게 한다. 먹어 마침을 살피는데 홀로 생존한 것이 곧 고(蠱)다. 그 독에 중독되면 곧 얼굴과 눈이 누렇게 부르트고 심장과 배가 팽창해 가득하고 매우 아프며..

태화일적 2020.11.12

태화일적(泰華一滴) 401

泰華一滴卷第五 【401】 漢高帝封功臣 或謂張良未嘗有戰鬪功 高帝曰 運籌策帷帳中 決勝千里外 子房功也 〖.祖庭事苑七〗 한고제(漢高帝)가 공신(功臣)을 책봉하자 누가(或) 이르기를 장량(張良)은 일찍이 전투의 공이 있지 않습니다. 고제가 가로되 주책(籌策; 利害를 打算한 끝에 생각해 낸 策略)을 유장(帷帳; 帷는 휘장 유) 중에서 움직여 천 리 밖에서 결승(決勝)한 것은 자방(子房; 장량의 字)의 공이다.

태화일적 2020.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