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태사교의 96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 36

此有三乘根性 初聲聞人依*生滅四諦敎 言四諦者 一*苦諦 二十五有*依正二報是 言二十五有者 *四洲*四惡趣*六欲 幷*梵天*四禪*四空處*無想*五那含(四洲四趣成八 六欲天幷梵王天成十五 四禪四空處成二十三 無想天及那含天成二十五) 別則二十五有 總則*六道生死 一地獄道 梵語捺洛迦 又語泥黎 此翻苦具 而言地獄者 此處在地之下 故言地獄 謂*八寒八熱等大獄 各有眷屬其類無數 其中受苦者 隨其作業各有輕重 經*劫數等 其最重處 一日之中*八萬四千生死 經劫無量 作上品*五逆*十惡者 感此道身 二畜生道 亦云*旁生 此道遍在諸處 披毛戴角 鱗甲羽毛 四足多足 有足無足 水陸空行 互相吞噉 受苦無窮 愚癡貪欲作中品五逆十惡者 感此道身 三餓鬼道 梵語*闍黎哆 此道亦遍諸趣 有福德者 作山林塚廟神 無福德者 居不淨處 不得飲食 常受鞭打 塡河塞海 受苦無量 諂誑心意作下品五逆十惡 感此道身..

천태사교의 2020.10.11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 35

*大智度論云 *迦旃延子 自以聰明利根 於婆沙中明三藏義 不讀*衍經 非大菩薩 又*法華云 貪著小乘三藏學者 依此等文故 大師稱小乘爲三藏敎 ●大智度論; 一百卷 龍樹菩薩著 後秦鳩摩羅什譯 又稱大智度經論 摩訶般若釋論 大智釋論 釋論 智度論 智論 大論 今收於大正藏第二十五冊 詮釋大品般若經之論著 大智度爲摩訶般若波羅蜜之意譯 相傳本書之原文有十萬頌之多 今本百卷是鳩摩羅什縮譯而成者 羅什譯本中 最初之三十四卷 爲全譯本 是大品般若初品之注釋 其後各卷所譯 則經羅什加以節略 本書若全部譯出 或有千餘卷之數 ●迦旃延子; 四敎儀註彚補輔宏記三 [註] 迦旃延子 此云文飾 善讚詠故 大論云 佛滅後百年有迦旃延婆羅門 (文)非佛世之迦旃延也 △四敎儀註彚補輔宏記三 [備] 迦旃延 婆羅門姓 ●衍經; 摩訶衍經(大乘經) ●法華云; 法華經五 安樂行品文 대지도론(*大智度論)에 이르되 ..

천태사교의 2020.10.11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 34

自下明化法四敎 第一三藏敎者 一*修多羅藏(四阿含等經) 二*阿毘曇藏(*俱舍*婆沙等論) 三*毘尼藏(*五部律) 此之三藏名通大小 今取*小乘三藏也 ●修多羅; 見上註修多羅 ●阿毘曇; 阿毘達磨(梵 abhidharma) 又作阿鼻達磨 三藏之一 論部之總名 舊稱阿毘曇 譯曰大法 無比法 乃眞智之尊稱 凡論部爲發生其眞智者 故附以大法 無比法之名 新稱阿毘達磨 譯曰對法 對法者智慧之別名 以智慧對觀諸法眞之理義 蓋論部問答決擇諸法事理 使人之智慧發達 智慧爲對觀眞理者 故轉指論部對觀眞理者 卽謂之阿毘達磨 [出三藏記十 大乘義章一 玄應音義十七 起信論疏] ●俱舍; kośa 又作句捨 譯作藏 繭 鞘 卽包含攝持之義 世親菩薩造俱舍論 後人因其論而成立俱舍宗 故俱舍又爲俱舍宗或俱舍論之略稱 ●婆沙; 婆沙論 阿毘達磨大毘婆沙論之略名 又稱阿毘達磨發智大毘婆沙論 略稱大毘婆沙論 鞞婆..

천태사교의 2020.10.11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 33

問將五味對五時敎 其意如何 答有二 一者但取相生次第 所謂牛譬於佛 五味譬敎 乳從牛出 酪從乳生 二酥醍醐次第不亂 *故譬五時相生次第 二者取其濃淡 此則取一番下劣根性 所謂二乘根性 在華嚴座不信不解 不變凡情 故譬其乳 次至鹿苑聞三藏敎 二乘根性依敎修行 轉凡成聖 故譬轉乳成酪 次至方等聞彈斥聲聞 慕大恥小得通敎益 如轉酪成生酥 次至般若奉勅轉敎 心漸通泰得別敎益 如轉生酥成熟酥 次至法華聞*三周說法 得記作佛 如轉熟酥成醍醐 此約最鈍根具經五味 其次者 或經一二三四 其上達根性 味味得入法界實相 何必須待法華開會 上來已錄五味五時化儀四敎 大綱如此 ●故譬五時相生次第; 四敎儀科解上 故譬下結 言相生者 大涅槃經第十三云 佛告住無垢藏王菩薩 譬如從牛出乳 從乳出酪 從酪出生酥 從生酥出熟酥 從熟酥出醍醐 醍醐最上 佛亦如是 從佛出十二部經 從十二部經出修多羅 從修多羅出方等經 從方..

천태사교의 2020.10.11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 32

신해품(信解品)에 이르되 친족을 취회(聚會)하여 곧 스스로 선언하되 이것은 실로 나의 아들이며 내가 실로 그의 아버지다. 내가 여금에 소유한 것은 모두 이 아들의 소유(子有)니 가업을 부여(付與)한다. 궁자(窮子)가 환희하며 미증유(未曾有)를 얻었다. 이것은 무슨 뜻으로 영해(領解; 領)해야 하는가. 답하되 곧 반야의 후에 다음으로 법화를 설함이다. 먼저 고장(庫藏)의 제물(諸物)을 영지(領知)하게 하고 목숨을 마칠 때에 임해 가업을 직부(直付)함일 따름이다. 비유컨대 전의 전교(轉敎)로 법문을 모두 알았고 법화를 설할 때 불타의 지견을 개시오입(*開示悟入)하고 수기(*授記)하여 작불(作佛)할 따름이다. 다음으로 대열반을 설한 것은 두 뜻이 있다. 하나는 미숙자(未熟者)를 위해 다시 4교를 설하고 불성(..

천태사교의 2020.10.11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 31

信解品云 聚會親族 卽自宣言 此實我子 我實其父 吾今所有皆是子有 付與家業 窮子歡喜得未曾有 此領何義 答卽般若之後次說法華 先已領知庫藏諸物 臨命終時 直付家業而已 譬前轉敎皆知法門 說法華時 *開示悟入佛之知見 *授記作佛而已 次說大涅槃者 有二義 一爲未熟者 更說四敎具談*佛性 令具眞常入大涅槃 故名捃拾敎 二爲末代鈍根 於佛法中 起*斷滅見 夭傷慧命 亡失法身 設三種權 扶一圓實 故名*扶律談常敎 然若論時味 與法華同 論其部內 純雜小異 故文云 *從摩訶般若出大涅槃 前法華合此經 爲第五時也 問此經具四敎 與前方等部具說四敎 爲同爲異 答*名同義異 方等中四 圓則*初後俱知常 別則初不知後方知 *藏通則初後俱不知 涅槃中四 初後俱知 ●開示悟入; 開佛知見 示佛知見 使悟佛知見 入佛知見也 是顯佛出世本懷之語 法華經方便品 舍利弗 云何名諸佛世尊 唯以一大事因緣故 出現於世..

천태사교의 2020.10.11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 30

차(次) 녹원(鹿苑; 녹원시)엔 단지 추(麁)며 묘(妙)가 없다(藏敎). 차(次) 방등(方等; 방등시)엔 3추(藏ㆍ通ㆍ別) 1묘(圓敎)다. 차(次) 반야(般若; 반야시)엔 2추(通ㆍ別) 1묘(圓敎)다. 법화회상에 내지(來至)하여 모두(總) 개회(開會)하여 전의 4미(味)의 추(麁)를 폐(廢)하고 1승(乘)의 묘(妙)를 이루게 했으니 제미(諸味)가 원교(圓敎)이므로 다시는 개(開)를 쓰지(須) 않으며 본래 스스로 원융(圓融)이므로 개(開)를 기다리지 않는다. 단지 이 부내(部內)에 겸단대대(*兼但對帶)인지라 고로 법화의 순일무잡(淳一無雜)하여 홀로 묘명(妙名)을 얻음에 미치지 못함이 참으로(良) 까닭(以)이 있다. 고로 글에 이르되 십방의 불토 중(*十方佛土中)에 오직 일승법이 있고 둘도 없고 또한 셋도 ..

천태사교의 2020.10.11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 29

次鹿苑但麁無妙(藏敎) 次方等三麁(藏通別)一妙(圓敎) 次般若二麁(通別)一妙(圓敎) 來至法華會上 總開會廢前四味麁 令成一乘妙 諸味圓敎更不須開 本自圓融不待開也 但是部內*兼但對帶 故不及法華淳一無雜 獨得妙名 良有以也 故文云 *十方佛土中 唯有一乘法 無二亦無三(*敎一) *正直捨方便 但說無上道(*行一) *但爲菩薩 *不爲小乘(*人一) *世間相常住(*理一) 時人未得法華妙旨 但見部內有*三車*窮子*化城等譬 乃謂不及餘經 蓋不知重擧前四時權獨顯大車 但付家業 唯至*寶所 故致誹謗之咎也 約時則*日輪當午 罄無側影(第五時) 約味則從熟酥出*醍醐 此從摩訶般若出法華(五醍醐味) ●兼但對帶; 四敎儀科解上 華嚴兼於行布差別 鹿苑但一生滅之麤 方等大乘對三藏半 般若所帶通別方便 此等四味兼但對帶 ●十方佛土中云云; 妙法蓮華經一 方便品 十方佛土中 唯有一乘法 無二亦無..

천태사교의 2020.10.11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 28

次說法華開前頓漸 會入非頓非漸 故言開權顯實 又言廢權立實 又言*會三歸一 ​ ●會三歸一; 又稱會三入一 卽開三乘之方便 歸入一乘之眞實 是天台宗就法華經之敎義 所立之名目 佛於法華經以前所說三乘之法 爲一佛乘之方便 所歸者 一佛乘耳 一佛乘之外 無二乘三乘 是爲會三歸一 [法華玄義九下 四敎儀] 차(次) 법화를 설해 전의 돈점을 열어 비돈비점(非頓非漸)에 회입(會入)하나니 고로 말하되 개권현실(開權顯實)이며 또 말하되 폐권입실(廢權立實)이며 또 말하되 회삼귀일(*會三歸一)이다. ●會三歸一; 또 명칭이 회삼입일(會三入一)이니 곧 3승의 방편을 열어 1승의 진실로 귀입(歸入)함. 이것은 천태종에서 법화경의 교의(敎義)로 나아가 세운 바의 명목임. 불타가 법화경 이전에 설한 바의 3승의 법은 1불승(佛乘)의 방편이 되며 소귀(所歸)는 ..

천태사교의 2020.10.11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 27

第四不定敎者 亦由前四味中 佛以*一音演說法 衆生隨類各得解 此則如來不思議力 能令衆生於漸說中得頓益 於頓說中得漸益 如是得益不同 故言不定敎也 ●一音; 一音聲也 指如來之說法而言 △維摩經佛國品 佛以一音演說法 衆生隨類各得解 △止觀七下 一音殊唱 萬聽咸悅 제4 부정교(不定敎)란 것은 또한 전의 4미(味) 가운데를 말미암나니 불타가 1음(*一音)으로 법을 연설하매 중생이 무리를 따라 각기 득해(得解)함이다. 이것은 곧 여래가 부사의한 힘으로 능히 중생으로 하여금 점설(漸說) 중에서 돈익(頓益)을 얻고 돈설(頓說) 중에서 점익(漸益)을 얻게 함이니 이와 같이 득익(得益)이 부동(不同)한지라 고로 말하되 부정교다. ●一音; 1음성이니 여래의 설법을 가리켜 말함임. △유마경 불국품. 불타가 1음으로 법을 연설하매 중생이 종류 따..

천태사교의 2020.10.11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 26

第三祕密敎者 *如前四時中 *如來三輪不思議故 或爲此人說頓 或爲彼人說漸 彼此互不相知 能令得益 故言祕密敎 ●如前四時; 四敎儀註彚補輔宏記上 [註] 如前四時中 指秘密敎橫在四時 別無部帙 △四敎儀科解上 言如前四時者四時只是頓漸故也 祕密亦是頓漸而已 故指四時以明之也 ●如來三輪; 佛之身口意三業也 佛以三業碾摧衆生之惑業 故云三輪 非下地之所測 故云三密 一神通輪 又云神變輪 身輪 由佛之身業現種種之神變 使衆生起正信者 二記心輪 又作憶念輪 意輪 以佛之意業分別他之心行差別者 記心者 識別他之心也 三敎誡輪 又云說法輪 口輪 以佛之口業敎誡彼而使修行者 [大乘大集地藏十輪經六 瑜伽師地論二十七 三十七 大乘法苑義林章六末] 재3 비밀교(祕密敎)란 것은 전의 4시 중과 같나니(*如前四時中) 여래의 3륜(*如來三輪)이 부사의 한 연고다. 혹은 차인(此人)을 위해..

천태사교의 2020.10.11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 25

●十二因緣; 신역으론 12연기(緣起)로 짓고 구역으론 12인연으로 지음. 또 단명(單名)이 인연관(因緣觀)ㆍ지불관(支佛觀)이니 이는 벽지불(辟支佛)의 관문(觀門)이 됨. 중생이 3세(世)에 건너 6도(道)에 윤회하는 차제의 연기(緣起)를 설함. 1은 무명(無明)이며 2는 행(行)이며 3은 식(識)이며 4는 명색(名色)이며 5는 6처(處)니 6처는 곧 6근이며 6은 촉(觸)이며 7은 수(受)며 8은 애(愛)며 9는 취(取)며 10은 유(有)며 11은 생(生)이며 12는 노사(老死). ●事六度; 사교의집주2 사육도(事六度)란 것은 삼장교(三藏敎)는 실유사(實有事)를 담설하므로 즉리(卽理)가 아닌 연고다. ○육도(六度) 육바라밀(六波羅蜜; 梵 śaḍ-pāramitā)임. 바라밀은 구역에 도(度)라 했음. 삼장..

천태사교의 2020.10.11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 24

●三乘; 삼장법수7. 3(乘) [出法華經] 1. 성문승(聲聞乘) 불타의 성교(聲敎)를 듣고 오도(悟道)를 얻나니 고로 가로되 성문이다. 이르자면 그가 고(苦)를 알고 집(集)을 끊고 멸(滅)을 흠모해 도를 닦나니 고로 이 4제(諦)로써 승(乘)을 삼는다. 2 연각승(緣覺乘) 12인연(因緣)을 관(觀)함으로 인해 진제(眞諦)의 이치를 깨치므로 고로 이름이 연각이다. 이르자면 처음에 무명(無明)의 인연 내지 노사(老死)를 관하나니 이는 곧 12인연의 생(生)을 관함이며 다음에 무명의 멸(滅) 내지 노사(老死)의 멸을 관하나니 이는 곧 십이인연의 멸을 관함이다. 이 인연의 생멸을 관하여 곧 비생비멸(非生非滅)을 깨치나니 고로 이 12인연으로써 승(乘)을 삼는다. 3 보살승(菩薩乘) 보살은 범어니 갖추어 이르면..

천태사교의 2020.10.11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 23

제2 점교(漸敎)란 것은(이 아래의 三時와 三味는 總名하여 漸이다) 차(次)에 3승(*三乘)의 근성이 돈(頓)에 무익하기 때문(爲)의 연고로 적장(*寂場)에서 움직이지 않으면서 녹원(鹿苑)에 유행(游行; 遊行)하여 사나(*舍那)의 진어(*珍御)의 의복(衣服; 服)을 벗고 장륙(*丈六)의 폐구(弊垢)의 옷을 입었다(著). 도솔(*兜率)로 좇아 강하(降下)함을 보였으니 마야(*摩耶)의 태에 기탁(寄託; 託)하여 주태(住胎)하고 출태(出胎)했으며 납비하여 생자(*納妃生子)했으며 출가해 고행하기 6년 이후에 나무 보리수 아래에서 풀로써 자리를 삼아 열응신을 이루었다(*出家苦行六年已後 木菩提樹下以草爲座成劣應身). 처음에 녹원에 있으면서 먼저 5인(*五人)을 위해 4제(*四諦)ㆍ십이인연(*十二因緣)ㆍ사육도(*事六度..

천태사교의 2020.10.11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 22

●三乘; 三藏法數七 三乘[出法華經] 一聲聞乘 聞佛聲敎而得悟道 故曰聲聞 謂其知苦斷集 慕滅修道 故以此四諦爲乘也 二緣覺乘 因觀十二因緣 覺眞諦理 故名緣覺 謂始觀無明緣乃至老死 此是觀十二因緣生 次觀無明滅乃至老死滅 此是觀十二因緣滅 觀此因緣生滅 卽悟非生非滅 故以此十二因緣爲乘也 三菩薩乘 菩薩 梵語具云菩提薩埵 華言覺有情 謂覺悟一切有情衆生也 菩薩行六度行 廣化衆生 出離生死 故以此六度爲乘也 △大乘起信論疏略上 乘者運載之義 謂諸佛乘此而證菩提般涅槃 菩薩乘此而趣果海 衆生乘之而輪轉生死 ●寂場; 寂滅道場 見上註寂滅道場 ●舍那; 見上註盧舍那 ●珍御; 珍奇御服 御 對帝王所作所爲及所用物的敬稱 ●丈六; 身長一丈六尺 是通常化身佛之身量也 據諸經所載 佛世之時 凡人之身長約八尺 佛陀倍之 故爲丈六 △佛說十二遊經 調達身長 丈五四寸 佛身長 丈六尺 難陀身長 丈..

천태사교의 2020.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