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태사교의 96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 51

●外凡; 2범(凡)의 하나. 성문승(聲聞乘)은 5정심(停心)ㆍ별상념처(別相念處)ㆍ총상념처(總相念處)의 수행위(修行位)를 외범(外凡)으로 삼고 4선근(善根)의 위(位)를 내범(內凡)으로 삼음. 또 보살승(菩薩乘)은 10신(信)의 위(位)를 외범으로 삼고 10주(住) 등 3현(賢)의 위를 내범으로 삼음. △대승의장17말(大乘義章十七末). 말한 외범(外凡)이란 것은 선취(善趣)의 사람이 밖을 향해 이치를 구하면서 능히 쉬지 못하는 상(相)으로, 안으로 진성(眞性)을 반연(攀緣)하므로 고로 이름하여 외(外)며 6도(道)의 분단(分段)의 범신(凡身)을 버리지 못하는지라 고로 이름하여 범(凡)이다. △사교의집주중. 상사(相似)의 견리(見理)를 이름하여 내(內)며 미득(未得)의 사해(似解)를 이름하여 외(外)다. ●..

천태사교의 2020.10.12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 50

장교(藏敎)의 수행인(修行人)과 더불어 위(位)를 약명(略明)하겠다. 초(初) 성문(聲聞)의 위(位)를 밝히나니 둘로 나눈다. 초(初)는 범(凡)이며 2는 성(聖)이다. 범(凡)이 또 둘이니 외범(*外凡)과 내범(*內凡)이다. 외범(外凡)을 해석하는 중에 스스로 셋으로 나뉜다. 초(初) 5정심(*五停心)이다. 1. 다탐중생(多貪衆生)은 부정관(不淨觀)이며 2. 다진중생(多嗔衆生)은 자비관(慈悲觀)이며 3. 다산중생(多散衆生)은 수식관(數息觀)이며 4. 우치중생(愚癡衆生)은 인연관(因緣觀)이며 5. 다장중생(多障衆生)은 염불관(念佛觀)이다. 2는 별상념처(別相念處. 전과 같이 四念處가 이것이다)며 3은 총상념처(*總相念處)니 1은 신(身)이 부정(不淨)함을 관함이며 수(受)ㆍ심(心)ㆍ법(法)도 모두 부정하..

천태사교의 2020.10.12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 49

略明藏敎修行人之與位 初明聲聞位分二 初凡二聖 凡又二 *外凡*內凡 釋外凡中自分三 初*五停心 一多貪衆生不淨觀 二多嗔衆生慈悲觀 三多散衆生數息觀 四愚癡衆生因緣觀 五多障衆生念佛觀 二別相念處(如前四念處是) 三*總相念處 一觀身不淨 受心法皆不淨 乃至觀法無我 身受心亦無我 中間例知(已上三科名外凡 亦名*資糧位) 二明內凡者有四 謂*煗頂忍世第一(此四位爲內凡 亦名加行位 又名四善根位) 上來內凡外凡總名凡位 亦名*七方便位 ●外凡; 二凡之一 聲聞乘以五停心 別相念處 總相念處之修行位爲外凡 四善根之位爲內凡 又菩薩乘以十信之位爲外凡 十住等三賢之位爲內凡 △大乘義章十七末 言外凡者 善趣之人向外求理 未能息相內緣眞性 故名爲外 六道分段凡身未捨 故名爲凡 △四敎儀集註中 相似見理名內 未得似解名外 ●內凡; 外凡之對稱 爲見道以前階位之一 修行佛道而未證見正理者 稱爲凡夫..

천태사교의 2020.10.11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 48

●道諦; 4제(諦)의 하나. 8정도(正道)임. 이것은 능히 열반에 통하는 고로 이름이 도(道)니 이는 오(悟)의 인(因)이 됨. △지도론48 애(愛) 등의 모든 번뇌를 단절하는 방편이니 이것이 도제(道諦)다. ●略則戒定慧; 사교의주휘보보굉기4(四敎儀註彚補輔宏記四) [註] 석참(釋籤; 法華玄義釋籤)3에 이르되 도품(道品)이 비록 많지만 계(戒) 등이 섭진(攝盡)한다. 계(戒)는 셋을 거두나니(攝) 정어(正語)ㆍ정업(正業)ㆍ정명(正命)이다. 정(定)은 열(十)을 거두나니 4여의족(四如意足)ㆍ정근(定根)ㆍ정력(定力)ㆍ제각(除覺)ㆍ정각(定覺)ㆍ사각(捨覺)ㆍ정정(正定)이다. 혜(慧)는 열여덟을 거두나니 4념처(念處)ㆍ4정근(正勤)ㆍ진근(進根)ㆍ혜근(慧根)ㆍ진력(進力)ㆍ혜력(慧力)ㆍ택각(擇覺)ㆍ진각(進覺)ㆍ희각(喜..

천태사교의 2020.10.11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 47

4. 도제(*道諦)란 것은 약(略)은 곧 계정혜(*略則*戒定慧)며 광(廣)은 곧 3십7도품(三十七道品)이다. 이 3십7을 합해 7과(科)로 삼는다. 1은 4념처(*四念處)니 1은 몸이 부정함을 관함이며(*色蘊) 2는 수(受)가 이 고(苦)임을 관함이며(*受蘊) 3은 심(心)이 무상(無常)임을 관함이며(*識蘊) 4는 법이 무아임을 관함이다(*想行蘊). 2는 4정근(*四正勤)이니 1은 생하지 아니한 악은 생하지 않게 함이며 2는 이미 생한 악은 멸하게 함이며 3은 생하지 아니한 선(善)은 생하게 함이며 4는 이미 생한 선은 증장(增長)하게 함이다. 3은 4여의족(*四如意足. 欲ㆍ念ㆍ進ㆍ慧)이며 4는 5근(*五根. 信ㆍ進ㆍ念ㆍ定ㆍ慧)이며 5는 5력(*五力. 위의 根名과 같다)이며 6은 7각지(*七覺支. 念ㆍ擇..

천태사교의 2020.10.11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 46

四*道諦者 *略則*戒定慧 廣則三十七道品 此三十七合爲七科 一*四念處 一觀身不淨(*色蘊) 二觀受是苦(*受蘊) 三觀心無常(*識蘊) 四觀法無我(*想行蘊) 二*四正勤 一未生惡令不生 二已生惡令滅 三未生善令生 四已生善令增長 三*四如意足(欲念進慧) 四*五根(信進念定慧) 五*五力(同上根名) 六*七覺支(念 擇 進 喜 輕安 定 捨) 七*八正道(正見 正思惟 正語 正業 正精進 正定 正念 正命) 已上七科 卽是藏敎*生滅道諦 然如前所列四諦*名數 通下三敎 但是隨敎*廣狹勝劣 *生滅*無生*無量*無作不同耳 故向下名數更不再列 然四諦之中分世出世 前二諦爲世間因果(苦果集因) 後二諦爲出世間因果(滅果道因) 問何故世出世前果後因耶 答聲聞根鈍知苦斷集慕果修因 是故然也 ●道諦; 四諦之一 八正道也 此能通於涅槃故名道 是爲悟之因 △智度論四十八 斷愛等諸煩惱方便 是道..

천태사교의 2020.10.11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 45

三*滅諦者 滅前苦集 顯*偏眞理 因滅會眞 滅非*眞諦 ●滅諦; 四諦之一 涅槃也 涅槃滅惑業而離生死之苦 眞空寂滅 故名滅 是爲悟之果 △智度論四十八 愛等諸煩惱斷 是滅諦 ●偏眞; 小乘所說之眞理爲偏於空之一邊者 故曰偏眞 一云單空 ●眞諦; 指眞實不妄之義理 如謂世間法爲俗諦 出世間法爲眞諦 3. 멸제(*滅諦)란 것은 앞의 고(苦)ㆍ집(集)을 멸해 편진(*偏眞)의 도리를 나타냄이니 멸로 인해 진(眞)을 이회(理會; 會)함이언정 멸은 진제(*眞諦)가 아니다. ●滅諦; 4제(諦)의 하나. 열반임. 열반은 혹업(惑業)을 멸하고 생사의 고를 여의어 진공적멸(眞空寂滅)인지라 고로 이름이 멸이니 이는 깨침의 과(果)가 됨. △지도론48. 애(愛) 등 모든 번뇌가 끊어졌나니 이것이 멸제다(滅諦). ●偏眞; 소승이 설하는 바의 진리는 공(空)..

천태사교의 2020.10.11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 44

2. 집제(*集諦)란 것은 곧 견사혹(*見思惑)이니 또 이르되 견수(見修)며 또 이르되 4주(*四住)며 또 이르되 염오무지(染污無知)며 또 이르되 취상혹(取相惑)이며 또 이르되 지말무명(*枝末無明)이며 또 이르되 통혹(*通惑)이며 또 이르되 계내혹(*界內惑)이다. 비록 이름은 부동하지만 단지 견사(見思)일 뿐이다. 초(初) 견혹(見惑)을 해석하자면 8십8사(八十八使)가 있다. 이른 바 1은 신견(*身見)이며 2는 변견(*邊見)이며 3은 견취(*見取)며 4는 계취(*戒取)며 5는 사견(*邪見)이며(已上은 *利使) 6은 탐(貪)이며 7은 진(瞋)이며 8은 치(癡)며 9는 만(慢)이며 10은 의(疑)다(已上은 *鈍使). 이 10사(使)가 3계(*三界)의 4제(諦) 아래를 경과하면서 증감이 부동하나니 8십8을 ..

천태사교의 2020.10.11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 43

二*集諦者 卽*見思惑 又云見修 又云*四住 又云染污無知 又云取相惑 又云*枝末無明 又云*通惑 又云*界內惑 雖名不同 但見思耳 初釋見惑 有八十八使 所謂一*身見 二*邊見 三*見取 四*戒取 五*邪見(已上*利使) 六貪 七瞋 八癡 九慢 十疑(已上*鈍使) 此十使歷*三界四諦下 增減不同 成八十八 謂欲界苦十使具足 集滅各七使 除身見邊見戒取 道諦八使 除身見邊見 四諦下合爲三十二 上二界四諦下 餘皆如欲界 只於每諦下除瞋使 故一界各有二十八 二界合爲五十六 幷前三十二 合爲八十八使也 二明思惑者 有八十一品 謂三界分爲九地 欲界合爲一地 *四禪四定爲八 共爲九地 欲界一地中 有九品貪瞋癡慢 言九品者 上上上中上下 中上中中中下 下上下中下下 上八地各有九品 除瞋使 故成八十一也 上來見思不同 總是藏敎實有集諦 ●集諦; 四諦之一 貪瞋等煩惱 及善惡之諸業也 此二者能集起三界..

천태사교의 2020.10.11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 42

●無雲; 무운천(無雲天)이니 색계 제4선(第四禪) 9천의 하나. 이 천은 운층(雲層)이 빽빽이 모인 곳의 위에 위치함. 고로 이 천으로부터 개시하여 운지(雲地)가 경박함이 마치 별이 흩어짐과 같음. ●福生; 복생천(福生天)이니 색계 제4선(第四禪) 9천의 하나. 이생범부(異生凡夫)의 수승한 복을 갖추고 있어야 비로소 이 천에 왕생함을 얻음. ●廣果; 광과천(廣果天)이니 색계 제4선(第四禪)의 9천의 하나. 색계의 제천 중에 이 천은 곧 이생범부(異生凡夫; 이생은 범부의 신역)가 왕생하는 곳으로선 가장 수승한 곳이 됨. ●凡夫; 성자에 상대한 명칭. 이르자면 사소한 단혹증리(斷惑證理)도 없는 자임. 범(凡)이란 것은 상(常)이며 또 비일(非一)이니 범상하면서 이런 무리가 많으므로 고로 이르되 범부임. ●無..

천태사교의 2020.10.11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 41

●兜率天; Tuṣita. 또 도솔천(都率天)ㆍ도술천(兜術天)ㆍ도솔타천(兜師陀天)ㆍ도솔다천f(兜率多天)ㆍ도사타천(兜師陀天)ㆍ도사다천(睹史多天)ㆍ도사다천(兜駛多天)으로 지음. 여기에선 이르되 지족천(知足天)ㆍ묘족천(妙足天)ㆍ희족천(喜足天)ㆍ희락천(喜樂天)임. 야마천(夜摩天)과 합칭하여 도야(兜夜)라 함. 곧 욕계 6천의 제4천임. 야마천과 낙변화천(樂變化天)의 사이에 위치함. 야마천과의 거리는 16만 유순(由旬)이며 허공의 밀운(密雲)의 위에 있고 종광(縱廣)이 8만 유순임. 불지경론5(佛地經論)를 안험(按驗; 查驗)컨대 후신보살(後身菩薩)이 이 중에서 교화하면서 다분히 희족(喜足)을 닦는지라 고로 명칭이 희족천임. 이 천에는 내외 양원(兩院)이 있으며 도솔내원은 곧 장래에 성불할 자(즉 補處菩薩)의 거처임..

천태사교의 2020.10.11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 40

●旁生; 불가(佛家)에서 축생(畜生)을 일컬어 가로되 방생(旁生)이라 함. ●闍黎哆; 사교의집주4 보행2상(輔行二上)에 이르되 범어 사리치(闍?哆)는 여기에서 번역하면 조부(祖父)다. 후생(後生; 뒤에 출생한 자)을 이르되 조부(祖父)라 하는 것은 초(初)로 좇아 수명(受名)했으며 또(又) 후생은 역시(亦是) 후생의 조부다. 이아(爾雅)에 이르되 귀(鬼)란 것은 귀(歸)다. 시자(尸子)에 가로되 고자(古者)는 죽은 사람을 이름해 귀인(歸人)이라 했다. 또 이르되 인신(人神)을 가로되 귀(鬼)며 지신(地神)을 가로되 기(祗)며 천신(天神)을 가로되 령(靈)이다. 또 이르되 기아(饑餓)는 이르자면 아귀(餓鬼)니 항상(恒) 구사(驅使)를 입으며 차도(此道)도 또한 제취(諸趣)에 두루하다. △서곡명목초구해4(西..

천태사교의 2020.10.11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 39

●生滅四諦; 천태종 지의(智顗)가 세운 바 4종 4제(諦)의 하나. 고집도(苦集道)의 3제는 인연에 의해 실(實)의 생멸이 있음이며 멸제(滅諦)란 것은 가히 실(實)의 멸법(滅法)이 됨으로 봄. 이와 같이 실생실멸상(實生實滅上)의 4제(諦)를 세우나니 이를 일러 생멸사제(生滅四諦)라 함. 이는 소승교, 곧 삼장교(三藏敎)에서 설하는 바임. ●苦諦; 4제(諦)의 하나. 3계6취(三界六趣)의 고보(苦報)니 이는 미혹의 과보가 됨. △지도론48. 이 4법과 부정(不淨)ㆍ무상(無常) 등을 관함이 이 이름이 고제(苦諦)다. △주심부1(註心賦一). 성문은 자심을 깨닫지 못하고 단지 인공(人空)만 보아 고제ㆍ집제ㆍ멸제ㆍ도제를 증득하고 짓는다. ●依正二報; 곧 의보(依報)와 정보(正報)니 약칭이 2보(報)임. 정보는 ..

천태사교의 2020.10.11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 38

여기에 삼승근성(三乘根性)이 있다. 초(初) 성문인(聲聞人)은 생멸사제(*生滅四諦)의 교(敎)에 의한다. 말한 4제(諦)란 것은 1. 고제(*苦諦)니 25유(有)와 의정(*依正) 2보(報)가 이것이다. 말한 25유란 것은 4주(*四洲)ㆍ4악취(*四惡趣)ㆍ6욕(*六欲) 아울러 범천(*梵天)ㆍ4선(*四禪)ㆍ4공처(*四空處)ㆍ무상(*無想)ㆍ5나함(*五那含)(四洲四趣成八 六欲天幷梵王天成十五 四禪四空處成二十三 無想天及那含天成二十五)이다. 별(別)은 곧 25유며 총(總)은 곧 6도(*六道)의 생사다. 1. 지옥도(地獄道) 범어 날락가(捺洛迦; 梵 nirayanaraka)는 또 말하되 니리(泥黎)니 여기에선 번역해 고구(苦具)라 한다. 지옥이라고 말하는 것은 이 곳은 땅의 아래에 있는지라 고로 말하되 지옥이다. 이르..

천태사교의 2020.10.11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 37

●生滅四諦; 天台宗智顗所立四種四諦之一 苦集道之三諦 依因緣而有實之生滅 滅諦者可視爲實之滅法 如此立於實生實滅上之四諦 謂之生滅四諦 是小乘敎卽三藏敎所說也 ●苦諦; 四諦之一 三界六趣之苦報也 是爲迷之果 △智度論四十八 觀是四法不淨無常等 是名苦諦 △註心賦一 聲聞不了自心 但見人空 證作苦諦集諦滅諦道諦 ●依正二報; 卽依報與正報 略稱二報 正報 卽指依過去善惡業因而感得之果報正體 如生於人間 則具備四肢五官 受人間之果報 生於畜牲 則具備羽毛齒革 受畜牲之果報 依報 卽指依於正報而受相應止住之所的果報 如受人間之正報者 則必有與其相應之家屋器物等依報 受畜牲之正報者 則必有與畜牲相應之巢穴等依報 [菩薩瓔珞本業經上 三藏法數二十七] ●四洲; 住須彌山四方鹹海之四大洲也 一東勝身洲 梵云東毘提訶 舊云東弗婆提 爲身形勝故 名爲勝身 二南贍部洲 舊云南閻浮提 或從林立號 或以..

천태사교의 2020.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