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호천(壺天) 호천(壺天) 야금도서은심수(野禽逃暑隱深樹) 초충락서고성대(草蟲樂暑高聲帶) 유인문아피서방(有人問我避暑方) 수지호리별세계(須知壺裏別世界) 들새들은 더위를 도피하여 깊은 수림(樹林)에 숨었고 풀벌레들은 더위를 즐겨 목청을 높이는구나 나에게 피서의 방도를 묻는 사람이 있다..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양경(兩鏡) 양경(兩鏡) 인괴아둔근(人怪我臀斤) 하불유산천(何不遊山川) 불석일미모(不惜一眉毛) 상조양경견(相照兩鏡見) 사람들이 나의 엉덩이 근량(斤倆)을 괴이히 여겨 어찌하여 산천유람을 하지 않는가 하더라 한 눈썹 터럭을 아끼지 않노니 두 거울을 서로 비춰 보라 하노라. 1행 둔(臀)은 볼기 ..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엄이(掩耳) 엄이(掩耳) 위복불위목(爲腹不爲目) 엄비투향기(掩鼻偸香機) 견색편견심(見色便見心) 효유아해리(曉諭兒孩理) 문아해하종(問我解何宗) 선요엄양이(先要掩兩耳) 작일포만끽(昨日飽滿喫) 금조우두기(今朝又肚飢) 배를 위하고 눈을 위하지 않는다 함은 코를 막고 향을 훔치는 기(機)요 색을 ..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곡읍사유(哭泣事由) 곡읍사유(哭泣事由) 송서실솔사인비(蜙蝑蟋蟀使人悲) 부부시구교인루(鳺鴀鳲鳩敎人淚) 갱유단장일성재(更有斷腸一聲在) 불욕개구향인루(不欲開口向人漏) 수유별가만가다(雖有別歌輓歌多) 하사자규제혈류(何似子規啼血流) 약지비애하처출(若知悲哀何處出) 합곡합읍불합무(合哭合泣不..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전심(傳心) 전심(傳心) 고유한마전서간(古有汗馬傳書簡) 금유전뇌송여전(今有電腦送如電) 미래갱유수승인(未來更有殊勝人) 소타현대전송둔(笑他現代電送鈍) 혹자염속질어전(或者念速疾於電) 공사한인치선전(空使閑人致旋轉) 하사오불재영산(何似吾佛在靈山) 연모일순이심전(蓮眸一瞬以心傳) 옛..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학도(學道) 학도(學道) 당랑전뢰양각근(螳螂全賴兩脚筋) 문예유신척취견(蚊蚋唯信隻嘴堅) 문교철우랑거철(蚊咬鐵牛螂拒轍) 불고신명심가련(不顧身命甚可憐) 학도수시주철한(學道須是鑄鐵漢) 착수심두편판변(著手心頭便判辨) 시고막괴거농용(是故莫怪渠儂勇) 석호피중이광전(石虎被中李廣箭) 당..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유종(有終) 유종(有終) 일락광유황(日落光愈恍) 화락향유형(花落香愈馨) 화개일출시(花開日出時) 불여임귀향(不如臨歸鄕) 조사명유량(鳥死鳴猶凉) 인사한유장(人死恨猶長) 망망우주내(茫茫宇宙內) 나개여인종(那箇如人終) 해가 질 적에 빛이 더욱 황홀하고 꽃이 질 적에 향이 더욱 향기롭나니 꽃이 ..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혹서유감(酷暑有感) 혹서유감(酷暑有感) 유원천상락(有願天上樂) 무선지옥독(無羨地獄毒) 삼복혹서리(三伏酷暑裏) 기개상쾌락(幾箇嘗快樂) 어유유영미(魚有游泳尾) 조유비상익(鳥有飛翔翼) 인약불성각(人若不成覺) 불여하귀축(不如下鬼畜) 천상의 복락(福樂)을 원하는 이 있지만 지옥의 혹독(酷毒)을 부러워..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이제각력(二帝角力) 이제각력(二帝角力) 백제휘풍공(白帝揮風攻) 염제지일방(炎帝持日防) 천하봉난리(天下逢亂離) 무처획안양(無處獲安養) 혜고취나팔(蟪蛄吹喇叭) 시구명조경(鳲鳩鳴弔磬) 전력저금풍(全力沮金風) 쟁나정수영(爭那定輸贏) 백제(白帝)는 바람을 휘몰아 공격해 오고 염제(炎帝)는 해를 가져 ..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보석사(寶石寺) 보석사(寶石寺) 서유대둔북계룡(西有大屯北鷄龍) 하유진락유차청(下有進樂幽且靑) 무보무락선계간(無寶無樂尠谿磵) 보무종출기특종(寶無從出奇特種) 서쪽엔 대둔산이 있고 북쪽엔 계룡산이니 아래에 진락산이 있어 그윽하고 또 푸르도다 보배도 없고 즐거움도 없고 산골짝 물도 적지만..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진락산행(進樂山行) 진락산행(進樂山行) 고속로변다소화(高速路邊多少花) 난변하화여추화(難辨夏花與秋花) 약지풍랭상천시(若至風冷霜天時) 가석일폭채색화(可惜一幅彩色畵) 고속도로변의 다소의 꽃이여 여름꽃과 가을꽃을 분변하기 어렵구나 만약 바람 차가운 상천(霜天)의 시절에 이른다면 가히 한 폭의..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농음부용(弄吟芙蓉) 농음부용(弄吟芙蓉) 부용화개소미풍(芙蓉花開笑微風) 백화수감교자용(百花誰敢較姿容) 불사불요불농염(不奢不妖不濃艶) 시고아정식총총(是故我庭植叢叢) 운초효빈호부용(雲楚效顰號芙蓉) 인거화재공추창(人去花在空惆悵) 인소화소하자눈(人笑花笑何者嫩) 불문운초문부용(不問雲楚問..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투심(偸心) 투심(偸心) 호봉호접탐화밀(胡蜂胡蝶眈花蜜) 문예슬기락인혈(蚊蚋蝨蟣樂人血) 막장선악분호오(莫將善惡分好惡) 투심진시중생멸(偸心盡時衆生滅) 말벌과 나비가 꽃의 꿀을 노리고 모기와 서캐가 사람의 피를 즐기나니 선악을 가지고 좋음과 싫음을 분별하지 말아라 훔치는 마음이 다한 ..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숙살(肅殺) 숙살(肅殺) 송서혜고과처량(蜙蝑蟪蛄誇凄凉) 청령책맹쟁고상(蜻蛉蚱蜢爭高翔) 막장기량변승부(莫將技倆辨勝負) 지지숙상엄차강(只知肅霜嚴且剛) 베짱이와 쓰르라미가 처량함을 자랑하고 고추잠자리와 메뚜기가 높이 낢을 다투나니 기량을 가지고 승부를 분변하지 말고 단지 된서리의 ..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선조유감(蟬噪有感) 선조유감(蟬噪有感) 연일방타랭서기(連日滂沱冷暑氣) 무한진로일시지(無限塵勞一時止) 우제유문선요조(雨霽唯聞蟬擾噪) 일성성파일우비(一聲聲破一憂悲) 이지부지여생사(爾知不知餘生些) 아도부지종여시(我都不知終與始) 자유한광삭태허(自有寒光爍太虛) 막장공화변진위(莫將空花辨.. 태화당수세록 2019.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