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일야무(一也無) 일야무(一也無) 기제원천도무위(祈霽怨天都無爲) 생평미상여차우(生平未嘗如此雨) 태세임오변임우(太歲壬午變任雨) 거국미면인우우(擧國未免因雨憂) 만사수연최안락(萬事隨緣最安樂) 연비연동시호수(蜎飛蠕動是好手) 목전전개천반유(目前展開千般有) 아도기중일야무(我道其中一也無)..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백납회(百衲會) 백납회(百衲會) 소성요적라개구(素性樂寂懶開口) 생래원인선도우(生來遠人鮮道友) 이탈백납이사년(離脫百衲已四年) 부중방아금년추(裒衆訪我今年秋) 회종이십년전기(會從二十年前起) 육원이적충기수(六員已寂充其數) 수선종사면면걸(雖尠宗師面面傑) 능위주량위법구(能爲柱梁爲法軀)..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대사대활(大死大活) 대사대활(大死大活) 첨지재전홀재후(瞻之在前忽在後) 여수호로발착전(如水葫蘆撥著轉) 약불일번대사료(若不一番大死了) 종불대활현목전(終不大活現目前) 그것을 쳐다보매 앞에 있더니 홀연히 뒤에 있나니 마치 물 위의 표주박이 건드리면 도는 것과 같도다 만약 한 번 크게 죽지 않으면..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오독(悟毒) 오독(悟毒) 일구흡진서강수(一口吸盡西江水) 일권권도황학루(一拳拳倒黃鶴樓) 방로수단기량대(龐老守端技倆大) 아애협산서각수(我愛夾山舒脚睡) 한입으로 서강(西江)의 물을 마셔 다하고 한 주먹으로 황학루(黃鶴樓)를 쳐서 꺼꾸러뜨린다 하니 방로(龐老)와 수단(守端)의 기량이 대단하..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여우(慮憂) 여우(慮憂) 우우차우연일우(又雨且雨連日雨) 어약하도인수우(魚躍蝦跳人愁憂) 원려근우인간사(遠慮近憂人間事) 나처중생여인수(那處衆生如人殊) 또 비가 오네 또 비가 오네 연일 비가 오네 고기는 펄쩍 뛰고 두꺼비도 팔딱 뛰건만 인간은 수우하누나 먼 걱정 가까운 근심은 인간의 일이..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불여만법위려(不與萬法爲侶) 불여만법위려(不與萬法爲侶) 부부금슬유원앙(夫婦琴瑟喩鴛鴦) 혼례전안취기신(婚禮奠雁取其信) 세간무유무기려(世間無有無其侶) 유유불여만법친(猶有不與萬法親) 부부의 금슬을 원앙에 비유하고 혼례에 전안(奠雁)함은 그 믿음을 취함이니 세간에 그 짝이 없는 게 있지 않지만 오히려 ..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난난(難難) 난난(難難) 상봉진도활계난(相逢盡道活計難) 육도하처시안인(六道何處是安忍) 천인유유오쇠상(天人猶有五衰相) 욕성정각유감인(欲成正覺唯堪忍) 사난팔난불허친(四難八難不許親) 사고팔고불리신(四苦八苦不離身) 한소무독수행인(恨少無毒修行人) 종성모상목맹인(終成摸象目盲人) 서..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노불로(老不老) 노불로(老不老) 노거상봉연로인(老去相逢年老人) 면준피열수각전(面皴皮裂手脚顫) 홍안옥수하처재(紅顔玉手何處在) 면전동자안중인(面前童子眼中人) 늙어가매 상봉하는 사람도 연로한 사람들이라 얼굴엔 주름살 피부는 갈라지고 손발을 떠는구나 홍안옥수(紅顔玉手)가 어느 곳에 있느..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우란분(盂蘭盆) 우란분(盂蘭盆) 상사화개도선망(相思花開悼先亡) 초충비명조천령(草蟲悲鳴助薦靈) 환억도오사생화(還憶道吾死生話) 요탁삼하조제령(搖鐸三下弔諸靈) 상사꽃이 피어 선망(先亡)을 애도하고 풀벌레가 슬피 울어 천령(薦靈)을 도우네 도리어 도오(道吾)의 사생화(死生話)를 추억하노니 삼..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상사화(相思花) 상사화(相思花) 일지육타상사화(一枝六朶相思花) 목불인견약나나(目不忍見嫋娜娜) 하사엽진시개화(何事葉盡始開花) 사인추억참별사(使人追憶慘別事) 한 가지에 여섯 떨기의 상사화(相思花)여 가냘프게 한들거림을 눈으로 차마 보지 못하겠네 무슨 일로 잎이 다하고서야 비로소 꽃을 피..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처서(處暑) 처서(處暑) 광한전각대미량(廣寒殿閣帶微凉) 천문만호요서풍(千門萬戶邀西風) 삼춘구하전일섬(三春九夏電一閃) 구추삼동재나방(九秋三冬在那方) 무량겁해의금주(無量劫海依今住) 일찰나제삼세용(一刹那際三世鎔) 지인금시의희유(只因今時依俙有) 미면고시방불공(未免古時彷彿空) 참(..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참학사(參學事) 참학사(參學事) 태화당재전뇌리(泰華堂在電腦裏) 당중학인일십이(堂中學人一十二) 단장전문훈회인(但將電文訓誨人) 불요답신무학비(不要答信無學費) 발초첨풍고시격(撥草瞻風古時格) 개함취사금시리(開函取捨今時利) 각억고인구일게(却憶古人求一偈) 고골출수사인비(敲骨出髓使人悲)..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냉수(冷水) 냉수(冷水) 곡차명종진묵시(穀茶名從震默始) 부지고래명유무(不知古來名有無) 아무불상제명다(我無不嘗諸名茶) 도두불사음냉수(到頭不似飮冷水) 곡차(穀茶)라는 이름이 진묵으로부터 비롯하였나니 옛적에도 이름이 있었는지 없었는지는 알지 못하노라 내가 여러 유명한 차를 맛보지 않..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일○상(一○相) 일○상(一○相) 이의미분전(二儀未分前) 응연일상원(凝然一相圓) 석가유미회(釋迦猶未會) 가섭기능전(迦葉豈能傳) 상종남양기(相從南陽起) 탐원전앙산(耽源傳仰山) 산심해차상(山深解此相) 심상시차단(尋常示此段) 유일물어차(有一物於此) 상재동용중(常在動用中) 동중수부득(動中收不..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오탈연(誤脫衍) 오탈연(誤脫衍) 전사고구병축분(專寫古句竝竺墳) 삼도오회수탈연(三度五回搜脫衍) 확신무오시출간(確信無誤始出刊) 재전견오통신전(纔展見誤通身戰) 재정신심착정채(再整身心著精彩) 정정오락중인쇄(訂正誤落重印刷) 전개무오시안도(展開無誤始安堵) 수년후지불완재(數年後知不完在).. 태화당수세록 2019.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