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우적성(雨滴聲) 우적성(雨滴聲) 첨두우적성(簷頭雨滴聲) 역력심분명(瀝瀝甚分明) 단속득기중(斷續得其中) 긴완별궁상(緊緩別宮商) 미인환작성(迷人喚作聲) 오자인득성(悟者認得性) 약인래문아(若人來問我) 권동재적청(勸同再寂聽) 처마 끝의 빗방울 소리여 똑똑 떨어짐이 매우 분명하구나 끊김과 이어..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정진(精進) 정진(精進) 엄동매죽선(嚴冬買竹扇) 염천비우산(炎天備雨傘) 시령호불특(時令毫不忒) 영유대비난(寧有對備難) 작야권주친(昨夜勸酒親) 금조상타한(今朝相唾悍) 인심찰나변(人心刹那變) 시고짐작난(是故斟酌難) 질천정비정(迭遷情非情) 언무일법단(焉無一法彖) 의희토각장(依俙兎角長) ..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낙불락(樂不樂) 낙불락(樂不樂) 실내무일호(室內無一毫) 정중무일초(庭中無一草) 종일인적희(終日人跡希) 빈견면식조(頻見面識鳥) 곤래임의휴(困來任意休) 기래박반끽(飢來博飯喫) 일무기특사(一無奇特事) 수도산림락(誰道山林樂) 실내엔 한 터럭의 먼지도 없고 정중(庭中)엔 한 포기의 풀도 없는데 종..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귀불귀(歸不歸) 귀불귀(歸不歸) 삼월두우함혈류(三月杜宇含血流) 유월자규대원루(六月子規帶怨淚) 원아멸후다비시(願我滅後茶毘時) 수염유도불여귀(隨焰猶道不如歸) 삼월의 두우(杜宇)는 피 흘림을 머금었더니 유월의 자규(子規)는 원한의 눈물을 띠었구나 원컨대 내가 죽은 후 다비(茶毘)할 때에 화염 ..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요증(要證) 요증(要證) 청산언아청(靑山言我靑) 명월도아명(明月道我明) 만상개누설(萬象皆漏洩) 수시오무성(誰是悟無性) 조탁경중형(鳥啄鏡中形) 마불경자영(馬不驚自影) 야래착적간(夜來捉賊看) 환시주인옹(還是主人翁) 만상호불기(萬象毫不欺) 이인자호응(而人自呼應) 본무미오인(本無迷悟人) ..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불감설파(不堪說破) 불감설파(不堪說破) 월원취휴휴취원(月圓就虧虧就圓) 원무휴상휴무원(圓無虧相虧無圓) 휴시원상하처거(虧時圓相何處去) 원시휴상하처은(圓時虧相何處隱) 휴원약경상허영(虧圓若鏡上虛影) 은현사공리섬전(隱現似空裏閃電) 일도신광상불매(一道神光常不昧) 멱즉지군불가견(覓卽知君不..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평심(平心) 평심(平心) 독거입추사약하(獨居卄秋事若何) 유시간경유시사(有時看經有時寫) 야야탐탐혹제시(夜夜酖酖或題詩) 부제선중습나하(不除仙中習那何) 우타풍취연묘리(雨打風吹演妙理) 화개엽락로진기(花開葉落露眞機) 왕고여여래금여(往古如如來今如) 시고명위평심시(是故名爲平心是) 홀..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원통(圓通) 원통(圓通) 묘상원무상(妙相元無相) 무상무불상(無相無不相) 원통관자재(圓通觀自在) 무물부진용(無物不眞容) 석파허공골(析破虛空骨) 계취청풍삭(繫取淸風索) 소탕야건립(掃蕩也建立) 수처무종적(隨處無踪跡) 묘한 모양은 원래 모양이 없는지라 모양도 없고 모양 아님도 없나니 원통관..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주무소주(住無所住) 주무소주(住無所住) 작조아옥호(鵲嘲我屋豪) 아소작소소(我笑鵲巢疎) 어약개구언(魚躍開口言) 아사무문호(我舍無門戶) 상과시비다(相誇是非多) 난변수시호(難辨誰是好) 과풍상이어(過風相耳語) 아거무처소(我居無處所) 까치가 나의 집 호화로움을 조롱하고 내가 까치의 집 엉성함을 비..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수영빈설(愁詠鬢雪) 수영빈설(愁詠鬢雪) 화발조제만물신(花發鳥啼萬物新) 삼춘영화장과반(三春榮華將過半) 최호삼월화만개(最好三月花滿開) 부부두우제단란(鳺鴀杜宇啼團欒) 수연춘색연년사(雖然春色年年似) 차탄빈모점점반(嗟歎鬢毛漸漸班) 빙의원대층운백(凭椅遠對層雲白) 일도향풍과비단(一道香風過..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호일(好日) 호일(好日) 운단벽천백일휘(雲斷碧天白日輝) 풍식총중금리비(風息叢中金鸝飛) 두수진로사금언(抖擻塵勞寫金言) 취중자미기인지(就中滋味幾人知) 구름 끊긴 푸른 하늘에 하얀 해가 빛나고 바람 잦아든 숲 가운데 금꾀꼬리가 나는구나 진로(塵勞)를 떨쳐버리고 금언(金言)을 서사(書寫)하..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중춘예사불여귀(仲春預思不如歸) 중춘예사불여귀(仲春預思不如歸) 봉만춘색유미청(峰巒春色猶未靑) 수타정화이형향(數朶庭花已馨香) 추창춘지화개동(惆悵春至花開同) 일도이인무회성(一度離人無回聲) 화락포지삼월리(花落鋪地三月裏) 자규제득혈류시(子規啼得血流時) 일침명월통춘소(一枕明月通春宵) 문래사거불여..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풍류설(風流雪) 풍류설(風流雪) 휘필탄금차무무(揮筆彈琴且舞儛) 분산선전직하추(紛散旋轉直下墜) 설진락시풍류진(雪盡落時風流盡) 편계의전별풍류(遍界依前別風流) 필을 휘두르듯 거문고를 타듯 또 춤을 추듯 분산(紛散)하고 선전(旋轉)하고 직하(直下)하여 떨어지네 눈이 다 떨어진 때 풍류도 끝났는..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적조(寂照) 檀紀 4335(2002)年 壬午 적조(寂照) 전수부지후수수(前水不知後水隨) 후수지수전수류(後水只隨前水流) 도해도망강하수(到海都忘江河殊) 지성일미대해수(只成一味大海水) 연미불견신년두(年尾不見新年頭) 연두무유연미유(年頭無有年尾有) 무두무미상현면(無頭無尾常見面) 종고지금미증휴(..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1년 무사호몽(無事好夢) 무사호몽(無事好夢) 동초상소야적정(冬初霜宵也寂靜) 담무월화엽무성(潭無月華葉無聲) 장서양각무사와(長舒兩脚無事臥) 구리송게청호몽(口裏誦偈請好夢) 겨울 초 서리 오는 밤이 또한 적정한데 못엔 월화(月華)가 없고 이파리엔 소리가 없구나 길게 양다리 뻗고 일 없이 누워서 입속에 .. 태화당수세록 2019.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