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예상추색(豫想秋色) 예상추색(豫想秋色) 작야수기반개창(昨夜睡起半開窓) 전한맥타면문풍(戰寒驀打面門風) 임염이도추팔월(荏苒已到秋八月) 재각풍종팔월량(再覺風從八月凉) 경부회등청서비(耕夫懷登靑鼠肥) 오동엽소월공랑(梧桐葉疏月空朗) 예상팔구월추색(豫想八九月秋色) 두도청량각추창(頭到淸凉脚..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대기대용(大機大用) 대기대용(大機大用) 기신곡록원대청록 (寄身曲錄遠對靑綠) 진겁중사도재목전( 塵劫中事都在目前) 금일칠월이십팔(今日七月二十八) 과거미래역여연(過去未來亦如然) 막장토각교단장(莫將兎角較短長) 일도신광만경한(一道神光萬境閑) 부득주만경한(不得住萬境閑) 수시수혜산시산(水是..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고락쌍쌍(苦樂雙雙) 고락쌍쌍(苦樂雙雙) 시도칠월말(時到七月末) 서기유미철(暑氣猶未撤) 초목곤저두(草木困低頭) 만인피우울(萬人疲憂鬱) 사서제삼하(四序除三夏) 인인생업활(人人生業活) 수연불신고(雖然不辛苦) 나득낙철골(那得樂徹骨) 시절이 칠월 말에 이르렀건만 서기(暑氣)가 아직 가시지 않았네 초..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칭(秤) 칭(秤) 안재이중이재안(眼在耳中耳在眼) 환수즉수호산산(喚水卽水呼山山) 심혜희이무일물(心兮希夷無一物) 대연현형시만반(對緣現形示萬般) 적래의시야차두(適來疑是夜叉頭) 여금간래보살안(如今看來菩薩顔) 욕지만상진면목(欲知萬象眞面目) 성재칭간부재반(星在秤竿不在盤) 눈이 귀 ..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화월(畵月) 화월(畵月) 약불투득뢰일관(若不透得牢一關) 미면옹리척강하(未免瓮裏陟降蝦) 고금다소참학인(古今多少參學人) 화월인소지월다(畵月人少指月多) 만약 견고한 한 관문을 투득(透得)하지 못하면 독 속에 오르내리는 두꺼비를 면하지 못하나니 고금의 다소의 참학인(參學人)에 달을 그리는..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여장부(女丈夫) 여장부(女丈夫) 묘총요연유철마(妙總了然劉鐵磨) 계씨부인무명파(計氏夫人無名婆) 고금무량종문인(古今無量宗門人) 부면홍분남기하(傅面紅粉男幾何) 묘총(妙總) 요연(了然) 유철마(劉鐵磨) 계씨부인(計氏夫人)과 무명의 노파들이로다 고금의 무량한 종문(宗門)의 사람들에 얼굴에 홍분..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일면불월면불(日面佛月面佛) 일면불월면불(日面佛月面佛) 월여운폐일(月餘雲蔽日) 난도천일월(難睹天日月) 약무일월시(若無日月時) 재문마조일(再問馬祖一) 한 달 남짓 구름이 해를 가리니 하늘의 해와 달을 보기가 어렵구나 만약 해와 달이 없을 때엔 마조도일에게 다시 물어봐야 하리라. 1~3행 폐(蔽)는 가릴 폐. 도(..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기우(杞憂) 기우(杞憂) 면벽구년도심마(面壁九年圖甚麽) 지대입설단비자(只待立雪斷臂者) 득득이래척리귀(得得而來隻履歸) 종차기우불마라(從此杞憂不懡㦬) 면벽구년(面壁九年)은 무엇을 도모함이었더냐 단지 눈에 서서 팔을 끊는 자를 기다림이었던가 일부러 왔다가 외짝 신으로 돌아가니 이로부..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출처(出處) 출처(出處) 청산부도아야청(靑山不道我也靑) 명월하증언아명(明月何曾言我明) 만물무과출처호(萬物無過出處好) 시절연숙기리명(時節緣熟其理明) 청산이 내가 또한 푸르다고 말하지 않거늘 명월이 어찌 일찍이 내가 밝다고 말하리오 만물이 나온 곳의 아름다움을 지날 것이 없나니 시절..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효와(誵訛) 효와(誵訛) 오후공안유효와(悟後公案猶誵訛) 막위공안아타파(莫謂公案我打破) 지허이지불허회(只許爾知不許會) 의의개구성마라(擬議開口成懡㦬) 깨친 후에도 공안(公案)은 오히려 효와(誵訛)니 공안을 내가 타파했다고 이르지 말아라 단지 너의 아는 것을 허락하지만 아는 것을 허락하..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근(太近) 이불감청오각음(耳不堪廳五刻音) 목불인견십일화(目不忍見十日花) 유유완청무염족(猶有玩聽無厭足) 통신목이불나하(通身目耳不奈何) 이이문이문여하(以耳聞耳聞如何) 이목견목견심마(以目見目見甚麽) 무량겁래상수래(無量劫來相隨來) 지위태근유태하(只爲太近猶太遐) 귀로 오각(五刻..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태화당(泰華堂) 태화당(泰華堂) 태화산하태화당(泰華山下泰華堂) 사벽유호무차란(四壁有戶無遮闌) 설월풍화이목객(雪月風花耳目客) 요주향묵비구반(醪酒香墨鼻口伴) 송수시서이전뇌(送受詩書以電腦) 전뇌즉시당중당(電腦卽是堂中堂) 당주불호인내왕(堂主不好人來往) 도두불사대매상(到頭不似大梅常)..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태분명(太分明) 태분명(太分明) 염기즉각각심마(念起卽覺覺甚麽) 원명진각무봉하(圓明眞覺無縫罅) 재각삼월초화개(纔覺三月初花開) 불각칠월반이과(不覺七月半已過) 자각각타원각만(自覺覺他圓覺滿) 만각처처방기명(滿覺處處放其冥) 흑야이처주난도(黑夜易覰晝難睹) 백주지위태분명(白晝只爲太分明)..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실오(實悟) 실오(實悟) 다구아사다(多口阿師多) 실참실오선(實參實悟鮮) 약불일도사(若不一度死) 대활불현전(大活不現前) 진도아심휴(盡道我心休) 재견하구착(纔見下口錯) 작가상견처(作家相見處) 여검객수각(如劍客手脚) 강득천경론(講得千經論) 임기하구난(臨機下口難) 선화임거양(禪和臨擧揚) ..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실참(實參) 실참(實參) 유승힐아무실참(有僧詰我無實參) 아문실시지심마(我問實是指甚麽) 약불일도한협배(若不一度汗浹背) 미면니리전하마(未免泥裏𩥇蝦蟆) 어떤 중이 나에게 힐난(詰難)하여 실참(實參)이 없다 하므로 내가 묻되 실(實)은 이 무엇을 가리킴이냐 했거니와 만약 한 번 땀이 등에 .. 태화당수세록 2019.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