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하하이음(呵呵二吟) 하하이음(呵呵二吟) 장성구인솔도파(將成九仞率都婆) 치전수개경이야(置塼數個經二夜) 명일강설시탑파(明日强說是塔婆) 지피세인소하하(只被世人笑呵呵) 장차 구인(九仞)의 솔도파(率都婆)를 이루려 하면서 벽돌 몇 개 놓는데 이틀 밤이 경과하더니 다음 날 완강히 이것이 탑파(塔婆)라..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보은(報恩) 보은(報恩) 불숭시서불한화(不崇詩書不閑畵) 차시전송도심마(借詩電送圖甚麽) 장차심심봉진찰(將此深心奉塵刹) 시명지은보은자(是名知恩報恩者) 시서(詩書)를 숭상하지 않고 그림을 익히지 않으면서 시를 가차(假借)하여 전송(電送)함은 무엇을 도모함인가 이 깊은 마음을 가져 티끌 국..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도업(道業) 도업(道業) 전독삼장십이부(轉讀三藏十二部) 감파오가칠종구(勘破五家七宗句) 사경마묵수오두(寫經磨墨水五斗) 퇴필일천지삼거(退筆一千紙三車) 사전마모장위진(辭典磨耗將爲塵) 형영상조입여추(形影相弔卄餘秋) 막위무위무사최(莫謂無爲無事最) 아한목황쇠로구(我恨目䀮衰老軀) 삼..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기청(祈晴) 기청(祈晴) 음우위려백천일(陰雨爲沴百川溢) 산붕가파선녕일(山崩家破尠寧日) 복도만고무사사(覆燾萬古無些私) 중생업보유동별(衆生業報有同別) 원소완운어사야(願掃頑雲於四野) 부견청제지고일(復見晴霽之杲日) 비오행각순기서(俾五行各順其序) 기만휘실수기활(冀萬彙悉遂其活) 음..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대사(大事) 대사(大事) 생종하래사하거(生從何來死何去) 생대사대사중대(生大死大事中大) 삼계망망인무수(三界茫茫人無數) 기개득탈생사계(幾箇得脫生死繫) 지지사축안전과(只知事逐眼前過) 불각노종두상래(不覺老從頭上來) 상봉진도아심한(相逢盡道我心閑) 임행방지오생애(臨行方知誤生涯) 삶..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회상(回想) 회상(回想) 하말추초적우제(夏末秋初積雨霽) 낙하심림조선애(落霞深林噪蟬哀) 오엽표진상월야(梧葉飄盡霜月夜) 번억금일이애제(飜憶今日爾哀啼) 여름의 끝 가을 초에 장마가 개이니 떨어지는 노을의 깊은 숲에 우는 매미가 애처롭구나 오동잎이 흩날려 다 진 서리 오는 달밤에 도리어 ..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법신(法身) 법신(法身) 왕고제성금하재(往古諸聖今何在) 불시천당시지옥(不是天堂是地獄) 약불일도한철수(若不一度寒徹髓) 미면확탕검수혹(未免鑊湯劍樹酷) 왕고(往古)의 제성(諸聖)이 즉금(卽今) 어디에 있는가 이 천당이 아니요 이 지옥이니라 만약 한 번 차가움이 골수에 사무치지 않으면 확탕검..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활구(活句) 활구(活句) 사인명지시사구(使人明知是死句) 교인유의명활구(敎人愈疑名活句) 의혹의도무의처(疑惑疑到無疑處) 의도무의미철두(疑到無疑未徹頭) 사람으로 하여금 환히 알게 함은 이 사구(死句)요 사람으로 하여금 더욱 의혹하게 해야 이름이 활구(活句)니 의혹하여 의혹이 의혹할 곳 없..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식돈점쟁(息頓漸爭) 식돈점쟁(息頓漸爭) 발근목사료(拔根木死了) 지엽조만고(枝葉早晩枯) 시명위돈점(是名爲頓漸) 선요이사료(先要爾死了) 뿌리를 뽑으면 나무는 죽어버렸고 가지와 잎은 조만간에 고사(枯死)하나니 이 이름이 돈점(頓漸)이 되므로 먼저 너의 죽어버림을 요하느니라. 제목 해석 돈점(頓漸. 頓..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장부(丈夫) 장부(丈夫) 견색명심한비소(見色明心漢非少) 문성오도인역중(聞聲悟道人亦衆) 금일방타뢰천이(今日滂沱籟穿耳) 기개남아절후소(幾箇男兒絶後甦) 색을 보다가 마음임을 밝힌 이가 적지 않고 소리를 듣다가 도를 깨친 사람도 또한 많은데 오늘 비 퍼부어 소리가 귀를 뚫거늘 몇 개의 남아..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폭우(暴雨) 폭우(暴雨) 대풍전운륜(大風轉雲輪) 사우사경분(瀉雨似傾盆) 독와문폭우(獨臥聞暴雨) 세간제일문(世間第一聞) 이재성중료(耳在聲中寥) 성재이리현(聲在耳裏見) 난변이여성(難辨耳與聲) 삼매자현전(三昧自現前) 대풍이 구름바퀴를 돌리어 비를 쏟으니 물동이를 기울인 것 같구나 홀로 누..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종사(宗師) 종사(宗師) 천견유리어견사(天見瑠璃魚見舍) 인견청량귀견화(人見淸凉鬼見火) 중생견수여차이(衆生見水如此異) 약대허공견여하(若對虛空見如何) 무심무아맥면타(無心無我驀面唾) 견성견심맥구타(見性見心驀口打) 노사입설비동색(鷺鷥立雪非同色) 명월노화불사타(明月蘆花不似他) 약..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경유하사(竟有何事) 경유하사(竟有何事) 완월농화노생몽(玩月弄花盧生夢) 취주제시이백몽(醉酒題詩李白夢) 불욕개구설오몽(不欲開口說吾夢) 치인추향우문공(痴人追響又捫空) 장주유호접지사(莊周遺胡蝶之辭) 휴정류삼몽지사(休靜留三夢之詞) 덕산임행유반게(德山臨行有半偈) 몽교각비유심사(夢覺覺非有..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이화(二花) 이화(二花) 불두화발불두상(佛頭花發佛頭相) 나팔화개나팔양(喇叭花開喇叭樣) 막도무성무방광(莫道無聲無放光) 독좌요료갱사량(獨坐寥寥更思量) 불두화가 피매 불두의 모양이더니 나팔꽃이 피니 나팔의 모양이구나 소리가 없다거나 방광(放光)이 없다고 말하지 말고 홀로 앉아 고요고.. 태화당수세록 2019.08.02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청서(靑鼠) 청서(靑鼠) 인대백로호도숙(人待白露胡桃熟) 서불상간숙미숙(鼠不相干熟未熟) 담후교거우래탐(啖後咬去又來眈) 불고인정무유락(不顧人情無遺落) 인노격추살무수(人怒擊墜殺無數) 서유생식대악독(鼠唯生殖對惡毒) 사가청서일이원(乍可靑鼠一二願) 난감인간무진욕(難堪人間無盡慾) 사.. 태화당수세록 2019.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