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문염송집주(5권) 286

선문염송집 권5 제151칙

【一五一】淸源因*荷澤*神會來叅 乃問 甚處來 會云 曹溪來 師云 還將得曹溪消息來麽 會振身而立 師云 猶帶瓦礫在 會云 和尙莫有眞金與人不 師云 設有你向什麽處着 石門易頌 且問曹溪水淺深 便將瓦礫雜眞金 若非*碧眼胡僧鑑 無限行人被陸沉 玄沙拈云 果然 雲居錫云 只如玄沙道果然 是眞金是瓦礫 上方岳拈 啞子唱歌聾人拍 翠嵓芝拈 眞金瓦礫 錯下名言 如今喚作什麽 *天聖泰拈 神會若不見行思 焉知瓦礫 思和尙被他一問 直得額頭汗出 口裏膠生 長蘆賾拈 諸仁者 曹溪一派 徹底澄淸 知見未忘 終成*滲漏 神會當時放下 便能瓦解氷消 旣或未然 可惜一生擔帶 ●第一五一則; 此話出五燈會元五 ●荷澤; 荷澤寺 見下第一五二則荷澤 ●神會; 見上第一一一則神會 ●碧眼胡僧; 原指西域印度等地來的碧眼僧人 於禪林 則專稱初祖達磨大師 略稱碧眼 碧眼胡 ●天聖泰; 天聖皓泰 宋代臨濟宗僧 河東人 ..

선문염송집 권5 제150칙

【一五○】淸源謂石頭云 人人盡道曹溪有消息 頭云 有人不道曹溪有消息 師云 *大藏小藏從何得 頭云 盡從者裏去 諸事摠不闕 師甚然之 圜悟勤頌 有消息大*沉屈 無消息轉埋沒 大藏小藏從茲出 撒沙撒土終無極 甜如蜜苦如蘗 明如日黑如柒 擊碎千年野狐窟 塡溝塞壑少人識 崑山元上堂云 死生大事要罷馳求 但得絲毫 皆爲分外 所以古人道 嶺南有消息 有人不云至摠從者裏流將出 靈利漢聞打鼓聲 知椎落處 然雖如是 *一字入公門 九牛拽不出 叅 ●第一五○則; 傳燈錄十四石頭希遷 一日思問師曰 有人道嶺南有消息 師曰 有人不云云 曰 若恁麼 大藏小藏從何而來 師曰 盡從遮裏去 終不少他事 思甚然之 ●大藏小藏; 按大智度論之說 三藏爲小乘之特稱 大乘經典僅爲一修多羅藏 若據攝大乘論之說 則大乘亦有三藏 一大乘經藏 指華嚴經等 詮示大乘菩薩修行證果之法 二大乘律藏 指梵網經等 制大乘菩薩所持之戒 三大乘..

선문염송집 권5 제149칙(한글)

【一四九】 청원이 석두(*石頭)를 시켜 치서(馳書)하여 남악회양선사에게 올리게 하면서 이에 가로되 돌아오는 날 너에게 돌부자(*鈯斧子)를 주어서 주산(*住山)하게 하겠다. 석두가 양사(讓師)의 처소에 이르러 서신을 전달하지 않고 바로 묻되 제성(諸聖)을 흠모하지 않고 기령도 존중하지 않을(不重己靈) 땐 어떻습니까. 회양이 이르되 자네의 물음이 너무 높구나 왜 향하(向下)하여 묻지 않는가. 석두가 이르되 차라리 가히 영겁토록 침륜(沉淪)할지언정 제성의 해탈을 구하지 않겠습니다. 회양이 대답하지 않았다. 석두가 이에 돌아오자 스님이 묻되 자네가 떠난 지 오래되지 않거늘 서신을 전달함을 얻었는가. 석두가 가로되 신(信; 消息)도 또한 통보하지 않았고 서(書)도 또한 전달치 않았습니다. 이에 전화(前話)를 들고..

선문염송집 권5 제149칙(한문)

【一四九】淸源令*石頭馳書 上南岳懷讓禪師 乃曰 迴日與汝箇*鈯斧子*住山 石頭到讓師處 未達書便問 不慕諸聖 不重己靈時如何 讓云 子問大高生 何不向下問 石頭云 寧可永劫沉淪 不求諸聖解脫 讓不對 石頭乃迴 師問 子去未久 書得達不 頭曰 信亦不通 書亦不達 乃擧前話 復云 去日蒙和尙許箇鈯斧子住山 卽今便請 師垂下一足 頭禮拜 入南嶽住山*雲居代讓師不對處云 *擔板漢 海印信頌 順水使舩猶自可 逆風把柂世間稀 雖然好箇擔板漢 到頭未免落便冝 保寧勇頌 從來祖上作君王 子子孫孫代代昌 文武百僚都不識 只應金殿有*尊堂 雪竇寧頌 王子生來便自尊 只應日日在*金門 從前不顧人閒事 唯識爺爺寶殿存 玄沙云 大小石頭 被*大慧推倒 至今起不得 雪竇顯拈 石頭洎擔板過却 又云 大小讓師 不解據令 翠嵓芝拈 思和尙垂足 石頭禮拜 要且不得斧子 且道 後來使箇什麽 枯木成拈 行思鈯斧子 天下衲僧..

선문염송집 권5 제148칙(한글)

【一四八】 청원이, 어느 날 중이 묻되 무엇이 이 불법대의(佛法大意)입니까 함으로 인해 스님이 이르되 여릉(*廬陵)의 쌀이 어떤 값이냐. 천장초(*天章楚)가 송하되 여릉의 쌀이 어떤 값이냐/ 귀천(貴賤; 비싼 값과 싼 값)과 고저(高低; 고가와 저가)로 쌀 팔 여가가 없다/ 쌀 팔 여가가 없으며 봉하(縫罅; 꿰맨 틈)가 없나니/ 겨울에 비로소 갈고(耕) 봄에 또 써레질(杷)한다. 또 송하되 미가(米價)가 지방 따라 귀천(貴賤; 비싼 값과 싼 값)이 같나니/ 윤회의 심식(心識)으로 보아선 통하기 어렵다/ 사로(思老; 행사노인)의 귀원처(歸源處)를 궁구하려고 한다면/ 달은 서쪽에 있고 해는 동쪽에 있다. 천복일(薦福逸)이 송하되 거송(巨宋)의 산하 4백주(*四百州)에/ 교개(*交開)하는 물건마다 내유가 있다..

선문염송집 권5 제148칙(한문)

【一四八】淸源一日因僧問 如何是佛法大意 師云 *廬陵米作麽價 *天章楚頌 廬陵米作麽價 貴賤高低糶不暇 糶不暇勿縫罅 冬始耕兮春又杷 又頌 米價隨方貴賤同 輪迴心識見難通 欲窮思老歸源處 月在西兮日在東 薦福逸頌 巨宋山河*四百州 *交開物物有來由 廬陵米價*居然在 天下禪僧語路稠 黃龍南頌 廬陵米價逐年新 道聽虗傳未必眞 大意不須歧路問 高低冝見本行人 天童覺頌 大平治業無像 野老家風至淳 只管村歌*社飮 那知舜德堯仁 崑山元頌 廬陵米價競爭酬 大海須知納細流 若不張帆歸*極浦 隨波逐浪幾時休 法眞一頌 廬陵米價若爲酬 道得輸他第一籌 鼻孔被伊拈却了 不須頭上更安頭 雲門杲頌 老淸源沒縫罅 問佛法酬米價 差毫氂成*話欛 無面目得人怕 竹庵珪頌 廬陵米價少知音 佛法商量古到今 繡出鴛鴦任人看 無端須要覔金針 *雲臺靜頌 廬陵米價若爲酬 禪客相逢走未休 欲識古人端的旨 山前*麦熟十分秋..

선문염송집 권5 제147칙(한글)

【一四七】 청원(*淸源) 행사선사(*行思禪師)가 6조에게 묻되 마땅히 어떤 소무(所務)라야 곧 계급에 떨어지지 않습니까. 조(祖; 6조)가 가로되 너는 일찍이 무엇을 하다가 왔느냐. 스님이 가로되 성제(聖諦)도 또한 하지 않습니다. 조가 가로되 어떤 계급(階級)에 떨어졌는가. 스님이 가로되 성제도 오히려 하지 않거늘 무슨 계급이 있겠습니까. 조가 깊이 법기(法器)로 여겼다. 투자청(投子靑)이 송하되 무견정(*無見頂)이 드러나 구름의 모임이 급한데/ 겁외(劫外)의 영지(靈枝)는 봄을 띠지 않았다/ 나변(*那邊)은 공왕전(空王殿)에 앉지 않거늘/ 어찌 운전(耘田)하면서 일륜(日輪)을 향함을 긍정하리오. 금산원(金山元)이 송하되 성제(聖諦)도 종래로 오히려 하지 않는지라/ 다시 가히 수지(修持)할 계급이 없다..

선문염송집 권5 제147칙(한문)

禪門拈頌集註卷第五 禪門拈頌 高麗 慧諶 彙集 平心寺主 淨圓 讐校 註解 達磨第六世慧能大師嗣法 吉州淸源山行思禪師 西京荷澤寺神會禪師 達磨第六世嵩山慧安國師嗣法 嵩山破竈墮和尙 達磨第七世嵩山破竈墮和尙嗣法 嵩山峻極和尙 達磨第七世南嶽懷讓禪師嗣法 江西道一禪師 澧州大同廣澄禪師 達磨第七世吉州淸源山行思禪師嗣法 南嶽石頭希遷禪師 達磨第七世南陽慧忠國師嗣法 吉州耽源山眞應禪師 達磨第七世嵩山普寂禪師嗣法 終南山惟政禪師 達磨第八世江西道一禪師嗣法 洪州百丈山懷海禪師 【一四七】*淸源*行思禪師問六祖 當何所務 卽不落階級 祖曰 汝曾作什麽來 師曰 聖諦亦不爲 祖曰 落何階級 師曰 聖諦尙不爲 何階級之有 祖深器之 投子靑頌 *無見頂露雲攢急 劫外靈枝不帶春 *那邊不坐空王殿 爭肯耘田向日輪 金山元頌 聖諦從來尙不爲 更無階級可修持 至今盧老猶舂米 和穀和糠付與誰 丹霞淳頌 卓爾..

선문염송집 권4 제146칙(주석 한글)

●第一四六則; 선림류취(禪林類聚; 二十卷 元 道泰集) 1. 당 숙종제가 충국사에게 묻되 화상이 백년후(百年後; 죽은 후)에 수요(須要)하는 바가 어떤 물건입니까. 국사가 이르되 단월(檀越)이 빈도(貧道)에게 저(箇) 무봉탑을 만들어 주십시오. 황제가 이르되 스님께 탑양(塔樣; 탑의 모양. 탑의 양식)을 청합니다. 국사가 양구(良久; 잠시 말없이 있는 것)하고는 이르되 아시겠습니까. 황제가 이르되 알지 못합니다. 국사가 이르되 빈도에게 부법제자(付法弟子; 법을 전한 제자)인 탐원(耽源)이 있어 도리어 이 일을 압니다. 청컨대 불러서(詔) 그에게 물으십시오. 국사가 천화(遷化)한 후에 황제가 탐원을 불러서 묻되 이 뜻이 무엇입니까. 탐원이 대답해 이르되 상(湘)의 남쪽이며 담(潭)의 북쪽이니/ 가운데 황금이..

선문염송집 권4 제146칙(본문 한글)

【一四六】 충국사가, 숙종제(*肅宗帝)가 묻되 백년후(*百年後; 죽은 후)에 수요(須要)하는 바가 어떤 물건입니까 함으로 인해 국사가 이르되 노승(老僧)에게 저(箇) 무봉탑(*無縫塔)을 만들어 주십시오. 황제가 가로되 스님께 탑양(塔㨾; 탑의 모양. 탑의 양식. 㨾은 樣과 같음)을 청합니다. 국사가 양구(良久; 잠시 말없이 있는 것)하고는 이르되 아시겠습니까. 황제가 가로되 알지 못합니다. 국사가 이르되 나에게 부법제자(付法弟子; 법을 전한 제자)인 탐원(耽源)이 있어 도리어 이 일을 압니다. 청컨대 불러서(詔) 그에게 물으십시오. 국사가 천화(*遷化)한 후에 황제가 탐원을 불러서 묻되 이 뜻이 무엇입니까. 탐원이 이르되 상(湘)의 남쪽이며 담(潭)의 북쪽이니(*相之南譚之北) 설두가 이르되 외손바닥으론 ..

선문염송집 권4 제146칙(주석 한문)

●第一四六則; 禪林類聚(二十卷 元 道泰集)一 唐肅宗帝問忠國師 和尙百年後所須何物 師云 檀越與貧道造箇無縫塔 帝云 請師塔樣 師良久云 會麼 帝云 不會 師云 貧道有付法弟子耽源 却諳此事 請詔問之 師遷化後 帝詔耽源問 此意如何 源對云 湘之南潭之北 中有黃金充一國 無影樹下合同船 琉璃殿上無知識 ●肅宗; 碧巖錄第一八則云 據傳燈錄所考 此乃是代宗設問 若是問國師如何是十身調御 此却是肅宗問也 ●百年後; 謂死滅後 ●無縫塔; 卵塔也 昔南陽忠國師 對代宗謂爲老僧作箇無縫塔 後之禪者托斯語 窆亡僧削堅石 團圝而無縫稜 無層級 呼爲無縫塔 無縫塔之形如鳥卵 因名卵塔 ●躭源; 又作耽源 吉州耽源山 指唐代僧應眞禪師 住吉州耽源山 南陽慧忠國師法嗣 ●遷化; 略作化 指僧侶之示寂 有遷移化滅之義 或謂有德之人 於此土敎化衆生之緣已盡 而遷移於他方世界 化度衆生 與涅槃圓寂滅度順世..

선문염송집 권4 제146칙(본문 한문)

【一四六】忠國師因*肅宗帝問 *百年後 所須何物 師云 與老僧作箇*無縫塔 帝曰 請師塔㨾 師良久云 會麽 帝曰 不會 師云 吾有付法弟子*躭源 却諳此事 請詔問之 國師*遷化後 帝詔問躭源 此意如何 源云 *相之南譚之北雪竇云 獨掌不浪鳴 中有黃金充一國雪竇云 *山形拄杖子 無影樹下*合同舩雪竇云 海晏河淸 瑠璃殿上無知識雪竇云 拈了也 雪竇顯頌 無縫塔見還難 澄潭不許蒼龍蟠 層落落影團團 千古萬古與人看 投子靑頌 *古塔踊聖迷 雲籠龍鳳失 香風半夜沉 寶殿無知識 天童覺頌 孤逈逈圓陁陁 眼力盡處*高峨峨 月落潭空夜色重 雲收山瘦秋容多 *八卦位正*五行氣和 身先在裏見來麽 南陽父子兮却似知有 西*笁佛祖兮無如奈何 法眞一頌 欲建南陽無縫塔 *般輸下手實應難 本來成現何須作 到處巍然着眼看 *蔣山勤頌 八面自玲瓏 盤空勢岌㠋 表裏*鎭巍然 若爲分六鑿 執名匿相認影迷形 臥龍長怖碧潭淸..

선문염송집 권4 제145칙

【一四五】忠國師因僧問 如何是佛法大意 師曰 文殊堂裏萬菩薩 僧云 學人不會 師曰 *大悲千手眼 育王諶頌 文殊堂裏萬菩薩 稽首南無觀世音 *擇火拈香人不會 大悲千手到于今 ●第一四五則; 此話出傳燈錄五 ●大悲千手眼; 大慈大悲觀世音菩薩之千手千眼 又名千眼千臂觀世音 六觀音之一 兩眼兩手外左右各具二十手 手中各有一眼 四十手四十眼配於二十五有 而成千手千眼 表度一切衆生有無礙之大用也 爲伽梵達磨譯之千手經所說 通途之千手觀音是也 若依智通及菩提流支譯之千手經 則面具三眼 體具千臂 掌中各有一眼 按楞嚴經 觀世音菩薩 以修證圓通無上道故 能現衆多妙容 由一首三首乃至一百八首 千首萬首 八萬四千爍迦羅首 由二臂四臂乃至一百八臂 千臂萬臂 八萬四千母陀羅臂 由二目三目乃至一百八目 千目萬目 八萬四千淸淨寶目云 ●擇火拈香; 明覺禪師語錄一 擧 寶公(寶誌公)云 終日拈香擇火 不知身是道場..

선문염송집 권4 제144칙

【一四四】 忠國師因僧問 *敎中有情作佛 不見無情*受記 且*賢劫千佛 孰是無情佛耶 師云 如皇大子 未受位時 唯一身耳 受位之後 國土盡屬於王 寧有國土別受位乎 今但有情受記作佛之時 十方國土 悉是*遮那佛身 那得更有無情受記耶 天童覺上堂擧此話云 刹中之佛 處處現身 佛中之刹 塵塵皆爾 還*體悉得麽 良久云 *六國自淸紛擾事 一人獨擅太平基 ●第一四四則; 此話出聯燈會要三 ●敎中; 新華嚴經論(四十卷 唐 李通玄撰)六 如化佛權敎中 說有情有佛性 無情無佛性 一切草木不能成道轉法輪等 如華嚴經 卽是越情實敎 卽不如彼化佛權宗約凡化敎 如功德林菩薩等十林菩薩所從來國 國亦名慧 一切境界總名慧體 何以然者 無有情無情故 所以然者 無二見故 爲一眞智境界無成佛者無不成者故 夫有情無情者 此是依業說 夫論成佛者 非屬業故 若非屬業者 卽非有情非無情故 何得於出情法上 計言有成佛不成佛耶 ..

선문염송집 권4 제143칙

【一四三】忠國師因僧問 如何是古佛心 師云 牆壁瓦礫 仰山偉頌 古佛心卽如今 切記取來年春 ●第一四三則; 傳燈錄二十八 僧又問 阿那箇是佛心 師(慧忠國師)曰 牆壁瓦礫是 僧曰 與經大相違也 涅槃云 離牆壁無情之物 故名佛性 今云是佛心 未審心之與性 爲別不別 師曰 迷卽別 悟卽不別 曰 經云 佛性是常 心是無常 今云不別何也 師曰 汝但依語而不依義 譬如寒月水結爲氷 及至暖時氷釋爲水 衆生迷時結性成心 衆生悟時釋心成性 若執無情無佛性者 經不應言三界唯心 宛是汝自違經 吾不違也 【一四三】 충국사가, 중이 묻되 무엇이 이 고불의 마음입니까 함으로 인해 국사가 이르되 장벽(牆壁)과 와력(瓦礫; 기왓조각)이다. 앙산위(仰山偉)가 송하되 고불의 마음이/ 곧 여금이니/ 간절히/ 내년의 봄을 기취(記取)하라. ●第一四三則; 전등록28. 중이 또 묻되 어느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