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등록 374

전등록 권8 거사 방온(龐蘊) 02

嘗遊講肆隨喜金剛經 至無我無人處 致問曰 座主旣無我無人 是誰講誰聽 座主無對 居士曰 某甲雖是俗人麁知信向 座主曰 只如居士意作麽生 居士乃示一偈云 無我復無人 作麽有疎親 勸君休歷坐 不似直求眞 金剛般若性 外絕一纖塵 我聞幷信受 總是假名陳 座主聞偈欣然仰歎 居士所至之處 老宿多往復問醻皆隨機應響 非格量軌轍之可拘也 元和中北遊襄漢隨處而居 或鳳嶺鹿門 或𢌅肆閭巷 初住東巖後居郭西小舍 一女名靈照 常隨製竹漉籬令鬻之以供朝夕 有偈曰 心如境亦如 無實亦無虛 有亦不管 無亦不居 不是賢聖 了事凡夫 易復易 卽此五蘊有眞智 十方世界一乘同 無相法身豈有二 若捨煩惱入菩提 不知何方有佛地 居士將入滅 令女靈照出視日早晩及午以報 女遽報曰 日已中矣 而有蝕也 居士出戶觀次 靈照卽登父座合掌坐亡 居士笑曰 我女鋒捷矣 於是更延七日 州牧于公問疾次 居士謂曰 但願空諸所有 愼勿實諸所無 好住..

전등록 2023.03.19

전등록 권8 거사 방온(龐蘊) 01

襄州居士龐蘊者 衡州衡陽縣人也 字道玄 世以儒爲業 而居士少悟塵勞志求眞諦 唐貞元初謁石頭和尙忘言會旨 復與丹霞禪師爲友 一日石頭問曰 子自見老僧已來日用事作麽生 對曰 若問日用事卽無開口處 復呈一偈云 日用事無別 唯吾自偶諧 頭頭非取捨 處處勿張乖 朱紫誰爲號 丘山絕點埃 神通幷妙用 運水及般柴 石頭然之曰 子以緇耶素耶 居士曰 願從所慕遂不剃染 後之江西參問馬祖云 不與萬法爲侶者是什麽人 祖云 待汝一口吸盡西江水卽向汝道 居士言下頓領玄要 乃留駐參承經涉二載 有偈曰 有男不婚 有女不嫁 大家團欒頭 共說無生話 自爾機辯迅捷諸方嚮之 ●衡州; 今湖南省衡陽縣 北有五嶽之一衡山 隣接湘水瀟水 有大慧宗杲所住鐵岡寺 開福寺 龐蘊居士所住龐山寺等 ●眞諦; 指眞實不妄之義理 如謂世間法爲俗諦 出世間法爲眞諦 ●偶諧; 偶 相對 投合 諧 和諧 配偶 偶諧卽相對而和諧之義 ●張乖; 同乖張 ..

전등록 2023.03.19

전등록 권8 용산화상(龍山和尙)

潭州龍山和尙〈亦云隱山〉 問僧 什麽處來 僧云 老宿處來 師云 老宿有何言句 僧云 說卽千句萬句 不說卽一字也無 師云 恁麽卽蠅子放卵 其僧禮拜 師便打之 洞山价和尙行脚時 迷路到山因參禮次 師問 此山無路 闍梨向什麽處來 洞山云 無路且置 和尙從何而入 師云 我不曾雲水 洞山云 和尙住此山多少時邪 師云 春秋不涉 洞山云 此山先住和尙先住 師云 不知 洞山云 爲什麽不知 師云 我不爲人天來 洞山却問 如何是賓中主 師云 長年不出戶 洞山云 如何是主中賓 師云 靑天覆白雲 洞山云 賓主相去幾何 師云 長江水上波 洞山云 賓主相見有何言說 師云 淸風拂白月 洞山又問 和尙見箇什麽道理便住此山 師云 我見兩箇泥牛鬪入海 直至如今無消息 師因有頌云 三間茅屋從來住 一道神光萬境閑 莫作是非來辨我 浮生穿鑿不相關 ●蠅子; 卽蒼蠅 子 後綴 ●雲水; 一指僧人行脚參學 二又稱雲水僧 雲衲 指爲..

전등록 2023.03.19

전등록 권8 부배화상(浮盃和尙)

浮盃和尙 有凌行婆來禮拜師 師與坐喫茶 行婆乃問云 盡力道不得底句 還分付阿誰 師云浮杯無剩語 婆云 某甲不恁麽道 師遂擧前語問婆 婆斂手哭云 蒼天中間更有冤苦 師無語 婆云 語不知偏正 理不識倒邪 爲人卽禍生也 後有僧擧似南泉 南泉云 苦哉浮盃 被老婆摧折 婆後聞南泉恁道 笑云王老師猶少機關在 有幽州澄一禪客 逢見行婆乃問云 怎生南泉恁道猶少機關在 婆乃哭云 可悲可痛 禪客罔措 婆乃問云會麽 禪客合掌而退 婆云 伎死禪和如麻似粟 後澄一禪客擧似趙州 趙州云 我若見遮臭老婆問敎口啞却 澄一問趙州云 未審和尙怎生問他 趙州以棒打云 似遮箇伎死漢 不打待幾時 連打數棒 婆又聞趙州恁道云 趙州自合喫婆手裏棒 後僧擧似趙州 趙州哭云 可悲可痛 婆聞趙州此語 合掌歎云 趙州眼放光明 照破四天下也 後趙州敎僧去問婆云 怎生是趙州眼 婆乃竪起拳頭 趙州聞乃作一頌 送凌行婆云 當機直面提 直面當機疾 ..

전등록 2023.03.18

전등록 권8 수로화상(水老和尙)

洪州水老和尙 初問馬祖 如何是西來的的意 祖乃當胸蹋倒 師大悟 起來撫掌呵呵大笑云 大奇百千三昧無量妙義 只向一毛頭上便識得根原去 便禮拜而退 師住後告衆云 自從一喫馬師蹋 直至如今笑不休 有僧作一圓相 以手撮向師身上 師乃三撥 亦作一圓相却指其僧 僧便禮拜 師打云 遮虛頭漢 問如何是沙門行 師云 動則影現覺則氷生 問如何是佛法大意 師乃拊掌呵呵大笑 凡接機大約如此 ●虛頭漢; 虛妄不實者 홍주(洪州) 수로화상(水老和尙). 처음 마조에게 묻되 무엇이 서래(西來)의 적적(的的; 명백. 확실)한 뜻입니까. 마조가 곧(乃) 가슴에다(當胸) 밟아 넘어뜨렸다(蹋倒). 스님이 대오했다. 일어나 무장(撫掌; 拍掌)하며 하하대소(呵呵大笑)하고 이르되 대기(大奇)하다, 백천삼매(百千三昧)와 무량묘의(無量妙義)를 다만 일모두상(一毛頭上; 頭는 後綴)을 향해 바로..

전등록 2023.03.18

전등록 권8 복계화상(福谿和尙)

福谿和尙 僧問 古鏡無瑕時如何 師良久 僧云 師意如何 師云 山僧耳背 僧又擧前問 師云 猶較些子 僧問 如何是自己 師云 爾問什麽 僧云 豈無方便去也 師云 爾適來問什麽 僧云 得恁麽顚倒 師云 今日合喫山僧手裏棒 僧問 緣散歸空空歸何所 師云 某甲 僧云喏 師云 空在何處 僧云 却請師道 師云 波斯喫胡椒 ●耳背; 背 聽覺不靈 靈 聰明 曉 ●波斯; 一國名 又稱波嘶 波剌私 波剌斯 波囉悉 今之伊朗 二指波斯人 此指二 복계화상(福谿和尙). 승문(僧問) 고경(古鏡)에 티(瑕)가 없을 때 어떻습니까. 스님이 양구(良久)했다. 승운(僧云) 스님의 뜻은 어떻습니까(如何). 사운(師云) 산승은 귀가 먹었다(耳背). 중이 또 앞의 물음을 들었다(擧). 사운 오히려 조금은 상당하다(較些子). 승문 무엇이 이 자기입니까. 사운 네가 무엇(什麽)을 물었느..

전등록 2023.03.18

전등록 권8 소요화상(逍遙和尙)

逍遙和尙 一日師在禪床上坐 有僧鹿西問云 念念攀緣心心永寂 師云 昨日晩間也有人恁麽道 西云 道箇什麽 師云 不知 西云 請師說 師以拂子驀口打 西便出 師告大衆云 頂門上著一隻眼 ●驀口; 驀 當 正對著 소요화상(逍遙和尙). 어느 날 선상 위에 앉았는데 중 녹서(鹿西)가 있어 물어 이르되 염념(念念)이 반연(攀緣)하지만 심심(心心)이 영적(永寂; 영원히 고요함)합니다. 사운(師云) 어제 만간(晩間; 日落以後. 夜裏)에도 어떤 사람이 이렇게(恁麽) 말했다. 녹서가 이르되 저(箇) 무엇이라고(什麽) 말했습니까. 사운 알지 못한다. 녹서가 이르되 스님의 말씀을 청합니다. 스님이 불자로써 입에다가(驀口) 때렸다. 녹서가 바로 나갔다. 스님이 대중에게 고해 이르되 정문상(頂門上)에 일척안(一隻眼)을 붙여라. ●驀口; 맥(驀)은 당..

전등록 2023.03.18

전등록 권8 흥평화상(興平和尙)

京兆興平和尙 洞山來禮拜 師云 莫禮老朽 洞山云 禮非老朽 師云 非老朽者不受禮 洞山云 他亦不止 洞山問 如何是古佛心 師云 卽汝心是 洞山云 雖然如此 猶是某甲疑處 師云 若恁麽卽問取木人去 洞山云 某甲有一句子 不借諸聖口 師云 汝試道看 洞山云 不是某甲 洞山辭 師云 什麽處去 洞山云 沿流無定止 師云 法身沿流報身沿流 洞山云 總不作此解 師乃撫掌〈保福云 洞山自是一家 乃別云 覓得幾人〉 ●一句子; 子爲助詞 一句 原意指一言 又作向上底那一句 乃表詮佛法究竟之語 亦卽指示無言無說之究竟之語 경조(京兆) 흥평화상(興平和尙). 동산(洞山)이 와서 예배했다. 사운(師云) 노후(老朽)에게 예배하지 말아라. 동산이 이르되 노후(老朽)가 아님에 예배합니다. 사운 노후가 아닌 자는 예배를 받지 않는다. 동산이 이르되 그도 또한 멈추지(止) 않습니다. 동산..

전등록 2023.03.18

전등록 권8 흑간화상(黑㵎和尙)

洛京黑㵎和尙 僧問 如何是密室 師云 截耳臥街 僧云 如何是密室中人 師乃換手搥胸 ●搥胸; 又作槌胸 悲恨之極 自毀其身也 [希麟音義四] 낙경(洛京) 흑간화상(黑㵎和尙). 승문(僧問) 무엇이 이 밀실입니까. 사운(師云) 귀를 자르고 가로에 누웠다. 승운(僧云) 무엇이 이 밀실 중의 사람입니까. 스님이 이에 손을 바꿔가며 가슴을 쳤다(搥胸). ●搥胸; 또 추흉(槌胸)으로 지음. 비한(悲恨)이 지극하여 스스로 그 몸을 무너뜨림 [희린음의4].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tistory.com)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40만 원. 할인. 잔본 81질 한문주석 1만 여 개로 염송본문의..

전등록 2023.03.18

전등록 권8 몽계화상(濛谿和尙)

濛谿和尙 僧問一念不生時如何 師良久 僧便禮拜 師云 汝且作麽生會 僧云 某甲終不無慚愧 師云 汝却信得及 問本分事如何體悉 師云 爾何不問 僧云 請師答話 師云 爾却問得好 其僧大笑而出 師云 只有遮師僧靈利 有僧從外來 師便喝 僧云 好箇來由 師云 猶要棒在 僧云 珍重 便出 師云 得能自在 ●體悉; 體得委悉 몽계화상(濛谿和尙). 승문(僧問) 일념도 생하지 않을 때 어떻습니까. 스님이 양구(良久)했다. 중이 바로 예배했다. 사운(師云) 네가 그래 어떻게(作麽生) 이회(理會)하느냐. 승운(僧云) 모갑이 마침내 참괴(慚愧)가 없지 않습니다. 사운 네가 도리어 믿어 미침을 얻었다. 묻되 본분사를 어떻게(如何) 체실(體悉)합니까. 사운 네가 왜 묻지 않느냐. 승운 스님의 답화(答話)를 청합니다. 사운 네가 도리어 문득(問得; 得은 조사)..

전등록 2023.03.18

전등록 권8 견숙선사(甄叔禪師)

袁州陽岐山甄叔禪師 上堂示衆曰 群靈一源假名爲佛 體竭形消而不滅 金流朴散而常存 性海無風金波自涌 心靈絕兆萬象齊昭 體斯理者 不言而遍歷沙界 不用而功益玄化 如何背覺反合塵勞 於陰界中妄自囚執 師始登此山宴處 以至成院 聚徒演法四十餘年 唐元和十五年正月十三日歸寂 荼毘獲舍利七百粒 於東峯下建塔 ●群靈; 一人民 二生物 ●朴散; 本謂純眞之道分離變異 後亦謂淳朴之風消散 ●心靈; 心識靈妙 故曰心靈 ▲楞嚴經一 汝之心靈 一切明了 ●囚執; 囚禁 擒獲 원주(袁州) 양기산(陽岐山) 견숙선사(甄叔禪師). 상당하여 시중(示衆)해 가로되 군령(群靈)이 일원(一源)이며 가명(假名)이 불(佛)이 되나니 체(體)가 다하고(竭) 형(形)이 사라져도(消) 멸하지 않고 금(金)이 흐르고 박산(朴散)하여도 늘 존재한다. 성해(性海)에 바람이 없으나 금파(金波)가 스..

전등록 2023.03.17

전등록 권8 초당화상(草堂和尙)

京兆草堂和尙 自罷參大寂 遊至海昌 海昌和尙問 什麽處來 師云 道場來 昌云 遮裏什麽處 師云 賊不打貧人家 問未有一法時 此身在什麽處 師乃作一圓相於中書身字 ●罷參; 罷休參禪之意 參學者開悟 大事了畢之際 不再修道參禪 경조(京兆) 초당화상(草堂和尙). 대적(大寂; 마조의 시호)에게서 파참(罷參)함으로부터 유행(遊行)하다가 해창(海昌)에 이르렀다. 해창화상(海昌和尙)이 묻되 어느 곳에서 옵니까. 사운(師云) 도량(道場)에서 옵니다. 해창이 이르되 이 속(遮裏)은 어느 곳(什麽處)입니까. 사운 도적이 빈인(貧人)의 집은 털지 않습니다. 묻되 1법도 있지 않을 때 이 몸(身)이 어느 곳에 있습니까. 스님이 이에 1원상을 짓고 가운데에 신자(身字)를 썼다. ●罷參; 참선을 파휴(罷休)함의 뜻이니 참학자가 개오하여 대사를 요필(..

전등록 2023.03.17

전등록 권8 비수화상(椑樹和尙)

江西椑樹和尙 因臥次 道吾近前牽被覆之 師云 作麽 道吾云 蓋覆 師云 臥底是坐底是 道吾云 不在遮兩處 師云 爭奈蓋覆何 道吾云 莫亂道 師向火次 道吾問 作什麽 師云 和合 道吾云 恁麽卽當頭脫去也 師云 隔闊來多少時耶 道吾便拂袖而去 道吾一日從外歸 師問 什麽處去來 道吾云 親近來 師云 用簸遮兩片皮作什麽 道吾云借 師云 他有從汝借 無作麽生 道吾云 只爲有所以借 ●當頭; 當面 當下 頭 後綴 ●隔闊; 阻隔闊別 卽別離 ●拂袖而去; 因不滿不肯而用動衣袖離去 ●兩片皮; 有牙齒一具骨耳朶兩片皮之句 兩片皮 禪錄多指口吻也 강서(江西) 비수화상(椑樹和尙). 누운 차로 인해 도오(道吾)가 근전(近前; 앞으로 접근)하여 이불(被)을 당겨(牽) 덮었다(覆之). 사운(師云) 무엇하느냐(作麽). 도오가 이르되 개부(蓋覆; 덮다)합니다. 사운 누운 것(臥底)..

전등록 2023.03.17

전등록 권8 고사화상(古寺和尙)

古寺和尙 丹霞參師經宿至明 旦煮粥熟 行者只盛一鉢與師 又盛一碗自喫 殊不顧丹霞 丹霞卽自盛粥喫 行者云 五更侵早起 更有夜行人 丹霞問師 何不敎訓行者 得恁麽無禮 師云 淨地上不要點污人家男女 丹霞云 幾不問過遮老漢 ●經宿; 經過一夜的時間 ●侵早; 天漸明時 侵 到 臨近 ●點污; 猶點汙 汚點 污辱 污 同汙 汚 고사화상(古寺和尙). 단하(丹霞; 天然)가 스님을 참(參)해 경숙(經宿)하고 명일(明日)에 이르렀다. 아침에 죽을 끓여 익자 행자가 다만 1발(鉢)에 가득 담아 스님에게 주고 또 1발(碗)에 가득 담아 자기가 먹고는 특수히 단하를 돌아보지 않았다. 단하가 곧 스스로 죽을 가득 담아 먹었다. 행자가 이르되 5경(更)의 침조(侵早)에 일어났다 했더니 다시 밤에 다니는 사람이 있구나. 단하가 스님에게 묻되 왜 행자를 교훈(敎..

전등록 2023.03.17

전등록 권8 수당화상(水塘和尙)

汀州水塘和尙 師勘歸宗 甚麽處人 歸宗云 陳州人 師云 多少年紀 歸宗云 二十二 師云 闍梨未生時老僧去來 歸宗云 和尙幾時生 師豎起拂子 歸宗云 遮箇豈有生邪 師云 會得卽無生 歸宗云 未會在 師無語 ●汀州; 今福建省長汀 ●陳州; 今河南省淮陽 정주(汀州) 수당화상(水塘和尙). 스님이 귀종(歸宗)을 감험(勘驗)했다. 어느 곳(甚麽處) 사람인가. 귀종이 이르되 진주(陳州) 사람입니다. 사운(師云) 연기(年紀; 나이)가 얼마인가(多少). 귀종이 이르되 22입니다. 사운 사리(闍梨)가 생(生)하지 아니한 때 노승이 거래(去來)했다. 귀종이 이르되 화상은 어느 때(幾時) 생하셨습니까. 스님이 불자를 세워 일으켰다. 귀종이 이르되 이것(遮箇)이 어찌 생이 있겠습니까. 사운 회득(會得; 理會. 得은 조사)하면 곧 무생(歸宗)이다. 귀..

전등록 2023.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