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등록 374

전등록 권8 화림선각(華林善覺)

潭州華林善覺禪師 常持錫夜出林麓間 七步一振錫一稱觀音名號 夾山善會造庵問曰 遠聞和尙念觀音是否 師曰然 夾山曰 騎却頭如何 師曰 出頭從汝騎 不出頭騎什麽 僧參方展坐具 師曰緩緩 僧曰 和尙見什麽 師曰 可惜許磕破鐘樓 其僧從此悟入 一日觀察使裴休訪之問曰 師還有侍者否 師曰 有一兩箇 裴曰 在什麽處 師乃喚大空小空 時二虎自庵後而出 裴覩之驚悸 師語二虎曰 有客且去 二虎哮吼而去 裴問曰 師作何行業感得如斯 師乃良久曰 會麽 曰不會 師曰 山僧常念觀音 ●行業; 指身口意所造作之行爲 又作作業 담주(潭州) 화림선각(華林善覺) 선사. 늘 석장(錫杖)을 가지고 밤에 임록(林麓; 山林) 사이로 나가 일곱 걸음마다 한 번 석장을 떨치며 한 번 관음(觀音)의 명호(名號)를 일컬었다. 협산선회(夾山善會)가 암자로 나아가 문왈(問曰) 멀리서 듣건대 화상이 관음을 ..

전등록 2023.03.17

전등록 권8 신장선사(神藏禪師)

磁州馬頭峯神藏禪師 上堂謂衆云 知而無知 不是無知 而說無知〈南泉云 恁麽依師道 始道得一半 黃檗云 不是南泉駁他 要圓前話〉 ●磁州; 今河北磁縣 자주(磁州) 마두봉(馬頭峯) 신장선사(神藏禪師). 상당하여 대중에게 일러 이르되 알고도(知) 무지(無知)함은 이 무지(無知)가 아니면서 무지(無知)라고 설한다〈南泉이 이르되 이렇게 스님의 말에 의해야 비로소 一半(折半) 말함을 얻는다. 黃檗이 이르되 이 남천이 그를 反駁(駁; 저본에 駿으로 지었음)함이 아니라 前話를 원만히 하려고 했다〉. ●磁州; 지금의 하북 자현(磁縣).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tistory.com)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전등록 2023.03.17

전등록 권8 수계화상(秀谿和尙)

潭州秀谿和尙 一日谷山問 聲色純眞如何是道 師云 亂道作麽 谷山却從東邊過西邊立 師云 若不恁麽卽禍事也 谷山却過東邊 師乃下禪床方行兩步 被谷山捉住云 聲色純眞事作麽生 師便掌谷山 谷山云 十年後要箇人下茶也無在 師云要谷山老漢作麽 谷山呵呵大笑三聲 담주(潭州) 수계화상(秀谿和尙). 어느 날 곡산(谷山)이 묻되 성색(聲色)이 순진(純眞)하나니 무엇이 이 도입니까. 사운(師云) 어지럽게 말해 무엇하리오. 곡산이 도리어 동변(東邊)으로 좇아 서변(西邊)에 이르러(過) 섰다. 사운 만약 이러하지(恁麽) 않는다면 곧 화사(禍事)다. 곡산이 도리어 동변에 이르렀다. 스님이 이에 선상에서 내려와 바야흐로 두 걸음 가다가(行) 곡산이 착주(捉住; 잡아 머물게 하다)함을 입었는데 이르되 성색이 순진한 일이 무엇입니까. 스님이 바로 곡산을 장..

전등록 2023.03.17

전등록 권8 타지화상(打地和尙)

忻州打地和尙 自江西領旨 自晦其名 凡學者致問 惟以棒打地而示之 時謂之打地和尙 一日被僧藏却棒然後問 師但張其口 僧問門人曰 只如和尙每有人問 便打地 意旨如何 門人卽於竈底取柴一片擲在釜中 ●忻州; 今山西省忻州 흔주(忻州) 타지화상(打地和尙). 강서(江西; 마조를 가리킴)에서 영지(領旨; 意旨를 領悟)함으로부터 스스로 그 이름을 숨겼다(晦). 무릇 학자가 치문(致問; 질문하다)하면 오직 방(棒; 주장자)으로써 땅을 때려 이를 보인지라 당시에 이르기를 타지화상(打地和尙)이라 했다. 어느 날 중이 방(棒)을 숨겨버린 연후에 질문함을 입자 스님이 단지 그 입을 벌렸다. 중이 문인(門人)에게 물어 가로되 지여(只如) 화상이 매양 어떤 사람이 물으면 바로 타지(打地)한 의지(意旨)가 무엇인가. 문인이 곧 부뚜막(竈) 밑에서 땔나..

전등록 2023.03.16

전등록 권8 동안화상(洞安和尙)

洞安和尙 有僧辭師 師云 什麽處去 僧云 本無所去 師云 善爲闍梨 僧云 不敢不敢 師云 到諸方分明擧 僧侍立次 師問 今日是幾 僧云 不知 師云 我却記得 僧云 今日是幾 師云 今日昏晦 동안화상(洞安和尙). 어떤 중이 스님에게 고별했다. 사운(師云) 어느 곳으로 가느냐. 승운(僧云) 본래 가는 곳이 없습니다. 사운 잘 하라(善爲), 사리(闍梨)야. 승운 불감(不敢)입니다, 불감입니다. 사운 제방에 이르거든 분명히 들어라(擧). 중이 시립(侍立)하던 차에 스님이 묻되 금일은 이 얼마(幾)인가. 승운 알지 못합니다. 사운 내가 도리어 기득(記得)한다. 승운 금일은 이 얼마입니까. 사운 금일은 혼회(昏晦; 어두운 그믐)다.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tistory.com)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전등록 2023.03.16

전등록 권8 금우화상(金牛和尙)

鎭州金牛和尙 師自作飯供養衆僧 每至齋時舁飯桶到堂前作舞曰 菩薩子喫飯來 乃撫掌大笑 日日如是〈僧問長慶 古人撫掌喚僧喫飯 意旨云何 長慶云 大似因齋慶讚 僧問大光 未審慶讚箇什麽 大光是作舞 僧乃禮拜 大光云 遮野狐精 東禪齊云 古人自出手作飯 舞了喚人來喫意作麽生 還會麽 只如長慶與大光 是明古人意 別爲他分析 今問上座 每日持盂掌鉢時 迎來送去時 爲當與古人一般 別有道理 若道別且作麽生得別來 若一般恰到他舞 又被喚作野狐精 有會處麽 若未會行脚眼在什麽處 僧問曹山 古人恁麽是奴兒婢子否 曹山云是 僧云 向上事請師道 曹山咄云 遮奴兒婢子〉 ●鎭州; 今河北省正定 大明一統志云 漢初置恒山郡 唐復置恒州 開元間改恒山郡 置大都督府 唐憲宗元和中改鎭州 ●菩薩子; 卽菩薩 子 後綴 菩薩 此爲對僧人的敬稱 ●慶讚; 慶祝讚嘆 ●出手; 謂示機應機的擧措作略 ●行脚眼; 法眼 禪悟者..

전등록 2023.03.16

전등록 권8 백령화상(百靈和尙)

百靈和尙 一日與龐居士路次相逢 師問云 昔日居士南嶽得意句 還曾擧向人未 居士云 曾擧來 師云 擧向什麽人 居士以手自指云 龐翁 師云 直是妙德空生也歎居士不及 居士却問 師得力句是誰知 師便戴笠子而去 居士云 善爲道路 師一去更不迴首 ●路次; 路途中間 ●妙德; 三藏法數七 梵語文殊師利 華言妙德 謂具不可思議種種微妙功德 故名妙德 ●空生; 祖庭事苑三 空生 梵云須菩提 又云蘇補底迦 此有三義飜譯 一曰空生 謂初生之時 家室盡空 以表解空之相 二曰善現 謂生時種種善瑞顯現 三曰善吉 謂生已 相師占之云 此子唯善唯吉 西域記云 本東方靑龍陀佛 影化釋迦會下 今爲禪者之通稱 謂參玄解空之士也 ●笠子; 箬笠 子後綴 백령화상(百靈和尙). 어느 날 방거사와 노차(路次)에서 상봉했다. 스님이 물어 이르되 석일(昔日) 거사가 남악(南嶽)에서 득의(得意)한 구(句)를 도리어..

전등록 2023.03.16

전등록 권8 담장선사(曇藏禪師)

南嶽西園蘭若曇藏禪師者 本受心印於大寂禪師 後謁石頭遷和尙瑩然明徹 唐貞元二年遁衡嶽之絕頂 人罕參訪 尋以脚疾移止西園 禪侶繁盛 師一日自開浴次 僧問 何不使沙彌 師乃拊掌三下〈洞山云 一種是時節因緣 就中西園精妙 僧問曹山 古人拊掌豈不明沙彌邊事 曹山云 如何是向上事 僧無對 曹山云 遮沙彌〉 師養一靈犬 嘗夜經行次 其犬銜師衣 師卽歸房 又於門側伏守而吠 頻奮身作猛噬之勢 詰旦東厨有一大蟒長數丈 張口呀氣毒焰熾然 侍者請避之 師曰 死可逃乎 彼以毒來我以慈受 毒無實性激發則彊 慈苟無緣冤親一揆 言訖其蟒按首徐行倏然不見 復一夕有群盜 犬亦銜師衣 師語盜曰 茅舍有可意物 一任取去 終無所悋 盜感其言皆稽首而散 ●蘭若; 佛寺 ▲祖庭事苑七 蘭若 梵云阿蘭若 此言寂靜處 ●瑩然; 一形容光潔明亮的樣子 二形容通達 透徹 三猶熒然 光亮微弱貌 ●開浴; 開浴室也 寒月五日一浴 暑天每日沐..

전등록 2023.03.16

전등록 권8 칙천화상(則川和尙)

則川和尙 龐居士看師 師云 還記得初見石頭時道理否 居士云 猶得阿師重擧在 師云 情知久參事慢 居士云 阿師老耄不啻龐翁 師云 二彼同時又爭幾許 居士云 龐翁鮮健且勝阿師 師云 不是勝我只是欠爾一箇幞頭 居士云 恰與師相似 師大笑而已 師入茶園內摘茶次 龐居士云 法界不容身 師還見我否 師云 不是老師洎答公話 居士云 有問有答蓋是尋常 師乃摘茶不聽 居士云 莫怪適來容易借問 師亦不顧 居士喝云 遮無禮儀老漢 待我一一擧向明眼人在 師乃拋却茶籃子 便入方丈 ●久參; 謂長久參習 ●老耄; 年老衰倦 年老昏亂 ●二彼; 一猶言他們二位 他們兩箇 二彼此 此指二 ●鮮健; 猶鮮徤 强健有精神 ●幞頭; 古代一種頭巾 古人以皂絹三尺裹髮 有四帶 二帶系腦後垂之 二帶反系頭上 令曲折附項 故稱四脚 或折上巾 至北周武帝時 裁出脚後幞髮始名幞頭 初用軟帛垂脚 隋始以桐木爲骨子 唐方以羅代繒 帝服則..

전등록 2023.03.16

전등록 권8 송산화상(松山和尙)

송산화상(松山和尙). 어느 날 방거사(龐居士)에게 명(命)해 끽다(喫茶)하라 했다. 거사가 탁자(托子)를 들어 일으키고 이르되 사람마다 모두(盡) 분한(分限; 分)이 있거늘 무엇으로 인해 말함을 얻지 못하는가. 사운(師云) 다만 사람마다 모두 있기 때문에 소이로 말함을 얻지 못한다. 거사가 이르되 아형(阿兄)은 무엇 때문에 도리어 말함을 얻는가. 사운 말이 없음은 옳지 못하다. 거사가 이르되 작연(灼然)하다, 작연하다. 스님이 바로 끽다했다. 거사가 이르되 아형(阿兄)은 끽다하면서 왜 객에게 읍(揖)하지 않는가. 사운 누구(誰). 거사가 이르되 방옹(龐翁). 사운 어찌 모름지기 다시 읍(揖)하겠는가. 후에 단하(丹霞)가 문거(聞擧)하고 이에 이르되 만약 이 송산(松山)이 아니었다면 거의(幾) 저(箇) 노..

전등록 2023.03.16

전등록 권8 유원화상(乳源和尙)

韶州乳源和尙 上堂云 西來的的意不妨難道 大衆莫有道得者 出來試道看 有一僧出纔禮拜 師便打云 是什麽時節出頭來〈後人擧似長慶 長慶云 不妨不妨 資福代云 爲和尙不惜身命〉 師見仰山作沙彌時念經 師咄云 遮沙彌 念經恰似哭聲 仰山云 慧寂念經似哭 未審和尙如何 師乃顧視而已 ●的的; 確實 眞實 的 實也 ●念經; 誦經讀經也 念 誦讀 ▲西遊記第三回 一邊走 一邊心思口念 소주(韶州) 유원화상(乳源和尙). 상당하여 이르되 서래(西來)의 적적(的的)한 뜻은 말하기 어려움에 방애(妨礙)되지 않는다. 대중에 말함을 얻을 자가 있지 않느냐, 나와서 시험 삼아 말해 보아라. 어떤 1승(僧)이 나와 겨우 예배하자 스님이 바로 때리고 이르되 이 어떤(什麽) 시절인데 출두(出頭)하여 오느냐〈후에 사람이 長慶에게 들어 보이자 장경이 이르되 不妨不妨. 資福이..

전등록 2023.03.15

전등록 권8 이산화상(利山和尙)

利山和尙 僧問 衆色歸空空歸何所 師云 舌頭不出口 僧云 爲什麽不出口 師云 內外一如故 僧問不歷僧祇獲法身請師直指 師云 子承父業 僧云 如何領會 師云貶剝不施 僧云 恁麽卽大衆有賴去 師云 大衆且置 作麽生是法身 僧無對 師云 汝問我向爾道 僧却問 如何是法身 師云 空華陽焰 僧問 如何是西來意 師云 不見如何 僧云 爲什麽如此 師云 只爲如此 ●僧祇; 阿僧祇的略語 爲印度數目之一 無量數或極大數之意 又作阿僧伽 阿僧企耶 阿僧 僧祗 華言不可算計 或無量數 無央數 於印度六十種數目單位中 阿僧祗爲第五十二數 [新華嚴經四十五阿僧祇品 俱舍論十二分別世間品 大智度論四] ▲智度論五十一 僧祇 秦言數 阿 秦言無 ●貶剝; 批評 批駁 貶 減也 損也 剝 削也 ●陽焰; 陽光照耀下的浮塵好象水波 比喩由妄心所生之虛幻假象 ▲慧琳音義七 陽焰 熱時遙望地上屋上陽氣也 似焰非焰故名陽焰..

전등록 2023.03.15

전등록 권8 무료선사(無了禪師)

泉州龜洋山無了禪師者 莆田縣壺公橫塘人也 姓沈氏 年七歲父携入白重院 視之如家因而捨愛 至十八剃度受具靈巖寺 後參大寂禪師了達祖乘 卽還本院 院之北樵采路絕 師一日策杖披榛而行 遇六眸巨龜 斯須而失 乃庵于此峯 因號龜洋和尙 一日有虎逐鹿入庵 師以杖格虎遂存鹿命 洎將示化乃述偈曰 八十年來辨西東 如今不要白頭翁 非長非短非大小 還與諸人性相同 無來無去兼無住 了却本來自性空 偈畢儼然告寂 瘞于正堂 垂二十載 爲山泉淹沒 門人發塔 見全身水中而浮 閩王聞之 遣使舁入府庭供養 忽臭氣遠聞 王焚香祝之曰 可遷龜洋舊址建塔 言訖異香普熏傾城瞻禮 本道奏諡眞寂大師 塔曰靈覺 後弟子慧忠遇澄汰終於白衣 就塔之東二百步而葬 謂之東塔 今龜洋二眞身士民依怙 若僧伽之遺化焉 慧忠得法於草庵和尙 如本章述之 ●斯須; 斯 卽也 須 須臾 片刻 斯須 卽須臾 暫時也 ●澄汰; 卽沙汰 與禪宗關系較大的一次沙..

전등록 2023.03.15

전등록 권8 홍라화상(紅螺和尙)

紅螺和尙 在幽州有頌 示門人曰 紅螺山子近邊夷 度得之流半是奚 共語問醻全不會 可憐只解那斯祁 ●邊夷; 邊境地區的少數民族 ●那斯祁; 指以言語所不知之事 或無分曉義 홍라화상(紅螺和尙). 유주(幽州)에 있을 때 송(頌)이 있어 문인(門人)에게 보여 가로되 홍라산자(紅螺山子; 子는 後綴)는 변이(邊夷)에 가깝나니/ 건넌 무리는 반이 이 해(奚; 종. 하인)다/ 함께 말하며 묻고 응대(醻)하면서 온통 알지 못하니/ 가련하다, 다만 나사기(那斯祁)만 아는구나. ●邊夷; 변경지구의 소수민족. ●那斯祁; 언어로써 알지 못할 바의 일을 가리킴. 혹 분효(分曉; 분명)함이 없음의 뜻.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tistory.com)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전등록 2023.03.15

전등록 권8 미령화상(米嶺和尙)

米嶺和尙 僧問 如何是衲衣下事 師云 醜陋任君嫌 不掛雲霞色 師將示滅 乃遺一偈云 祖祖不思議 不許常住世 大衆審思惟 畢竟只遮是 ●衲衣下事; 與衲僧行脚事 衲僧本分事等同義 卽指生死解脫之大事 미령화상(米嶺和尙). 승문(僧問) 무엇이 이 납의하사(衲衣下事)입니까. 사운(師云) 추루(醜陋)함은 그대의 싫어함에 맡기나니 운하(雲霞)의 색을 걸치지 않는다. 스님이 장차 시멸(示滅)하려 하면서 이에 1게를 남겼으니 이르되 조조(祖祖)가 부사의하나니/ 세상에 상주함을 허락하지 않았다/ 대중은 살펴서(審) 사유할지니/ 필경 다만 이것이(遮) 이것이다. ●衲衣下事; 납승행각사ㆍ납승본분사 등과 같은 뜻임. 곧 생사해탈의 대사를 가리킴.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tistory.com)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

전등록 2023.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