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지음(至音) 지음(至音) 지렴이승제거권(指簾二僧齊去捲) 일득일실심분명(一得一失甚分明) 지음절운지음지(至音絶韻知音知) 하로현상측이청(何勞絃上側耳聽) 발을 가리키매 두 중이 제등(齊等)히 가서 걷으니 하나는 얻고 하나는 잃음이 매우 분명하도다 지음(至音)은 운(韻)이 끊겼음을 지음(知音).. 태화당수세록 2019.08.09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오이(嗚咿) 오이(嗚咿) 욕궁실상귀무위(欲窮實相歸無爲) 여착청풍박각피(如捉淸風剝却皮) 착주박료우박박(捉住剝了又剝剝) 심진력궁시응지(心儘力窮始應知) 접천방경쌍미습(蝶穿芳徑雙眉濕) 봉략잔화양고비(蜂掠殘花兩股肥) 의심성처적각주(蟻尋腥處赤脚走) 승향취변전시비(蠅向臭邊展翅飛) 돌.. 태화당수세록 2019.08.09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제전화상(濟顚和尙) 제전화상(濟顚和尙) 수위이백지주선(誰謂李白知酎仙) 제전지전난가주(濟顚之顚難可儔) 서호위주와호변(西湖爲酒臥湖邊) 일랑래시탄일구(一浪來時呑一口) 석가취무춘풍단(釋迦醉舞春風端) 가섭기무하증무(迦葉起舞何曾舞) 천공지활상방광(天空地闊常放光) 명암색공증무구(明暗色空曾.. 태화당수세록 2019.08.09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유희(遊戱) 유희(遊戱) 당초부당입망라(當初不撞入網羅) 하사입망투출호(何似入網透出好) 육도사생유희장(六道四生遊戱場) 달사입림부동초(達士入林不動草) 애당초에 그물에 당입(撞入)하지 않음이 어찌 그물에 들었다가 투출(透出)함의 좋음만 같으랴 육도사생(六道四生)이 유희장(遊戱場)인지라 .. 태화당수세록 2019.08.09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법등태흠선사(法燈泰欽禪師) 법등태흠선사(法燈泰欽禪師) 호항하령수해득(虎項下鈴誰解得) 계자해지비골계(繫者解之非滑稽) 조니불료앙급손(祖祢不了殃及孫) 현금분석유미래(現今分析遺未來) 호랑이 목덜미 아래의 방울을 누가 풀어 얻겠는가 맨 자가 그것을 푼다 하니 익살이 아니로다 조니(祖祢)가 똑똑치 못해 .. 태화당수세록 2019.08.09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부쟁인아(不爭人我) 부쟁인아(不爭人我) 유마금속석가문(維摩金粟釋迦文) 부쟁인아호빈주(不爭人我互賓主) 화검임타취차홍(花臉任他取次紅) 춘양종래무향배(春陽從來無向背) 유마(維摩) 금속(金粟)과 석가문(釋迦文)이 인아(人我)를 다투지 않고 서로 빈주(賓主)가 됨이여 꽃잎은 저 차례를 취해 붉음에 맡.. 태화당수세록 2019.08.09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춘우(春雨) 춘우(春雨) 초아이줄사춘풍(杪芽已茁謝春風) 잔설부지춘이장(殘雪不知春已長) 춘우사과설무흔(春雨乍過雪無痕) 만이춘조성랑랑(滿耳春鳥聲瑯瑯) 가지 끝의 싹이 이미 나와 춘풍에 감사하는데 잔설은 봄이 이미 긴 줄 알지 못하네 봄비가 잠깐 지나니 눈이 흔적도 없고 귀 가득히 춘조(春.. 태화당수세록 2019.08.08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묘상(妙相) 묘상(妙相) 응이차신득도자(應以此身得度者) 즉현차신위설법(卽現此身爲說法) 아불시거거시아(我不是渠渠是我) 임타묘상자개합(任他妙相自開合) 응당 이 몸으로써 득도(得度)할 자에겐 곧 이 몸을 나타내어 위해 설법하도다 나는 이 그가 아니지만 그는 이 나니 저 묘상(妙相)의 스스로 .. 태화당수세록 2019.08.08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승가고시유감(僧伽考試遺憾) 승가고시유감(僧伽考試遺憾) 공문급제비상사(空門及第非常事) 선불장중무문자(選佛場中無文字) 배송백지유자가(背誦百紙猶自可) 사삼이급제성아(四三二級諸聖呀) 공문(空門)의 급제(及第)는 범상한 일이 아닌지라 선불장(選佛場) 가운데엔 문자가 없도다 백지(百紙)를 배송(背誦)함은 .. 태화당수세록 2019.08.08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작야삼경월도창(昨夜三更月到窓) 작야삼경월도창(昨夜三更月到窓) 사지려해귀활계(思知慮解鬼活計) 백교천능공중예(百巧千能空中蚋) 작야삼경월도창(昨夜三更月到窓) 개중소식허수지(个中消息許誰知) 사유해서 알거나 고려(苦慮)해서 앎은 귀신의 활계(活計)며 백 가지 교묘함과 천 가지 능함은 공중의 모기로다 어젯.. 태화당수세록 2019.08.08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도수선사(道樹禪師) 도수선사(道樹禪師) 아니기량유진시(阿你伎倆有盡時) 오지불변난가설(吾之不辨難可說) 지문잔설겁춘풍(只聞殘雪怯春風) 미견탁니오명월(未見濁泥汚明月) 너의 기량(伎倆)은 다할 때가 있지만 나의 분변하지 않음은 가히 설하기 어렵도다 단지 잔설이 춘풍을 두려워함은 들었거니와 탁.. 태화당수세록 2019.08.08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자기의(自己意) 자기의(自己意) 욕지조사서래의(欲知祖師西來意) 당관자기밀작용(當觀自己密作用) 춘지화홍협접비(春至花紅蛺蝶飛) 개중오유난수용(个中奧幽難受容) 조사가 서쪽에서 오신 뜻을 알고자 할진댄 마땅히 자기의 비밀스런 작용을 관찰하라 봄이 이르매 꽃이 붉고 나비가 날으나니 이 가운.. 태화당수세록 2019.08.08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요원(遙遠) 요원(遙遠) 장수막수어보장(長壽莫壽於寶掌) 입정난비어혜지(入定難比於慧持) 백운진처시청산(白雲盡處是靑山) 행인부재청산리(行人不在靑山裏) 장수하기론 보장(寶掌)보다 장수한 이가 없고 입정(入定)은 혜지(慧持)에 비교하기가 어렵도다 흰 구름 다한 곳이 이 청산이거니와 행인이 .. 태화당수세록 2019.08.08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범려(范蠡) 범려(范蠡) 비조진양궁장(蜚鳥盡良弓藏) 교토사주구팽(狡兎死走狗烹) 일편백운횡곡구(一片白雲橫谷口) 십중팔구실안정(十中八九失眼睛) 비조(蜚鳥)가 없어지면 양궁(良弓)을 감추고 교토(狡兎)가 죽으면 주구(走狗)를 삶나니 한 조각 흰 구름이 계곡 입구에 가로놓이매 십중팔구(十中八.. 태화당수세록 2019.08.08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종성(鐘聲) 종성(鐘聲) 니리중생문종성(泥犂衆生聞鐘聲) 중고잠식서격당(衆苦暫息徐擊撞) 득인신자조갑토(得人身者爪甲土) 권군세이령여향(勸君洗耳聆餘響) 니리(泥犂)의 중생이 종소리를 들으면 뭇 고통을 잠깐 쉬므로 서서히 종을 치느니라 사람 몸을 얻은 자 손톱 위의 흙이라 그대에게 권하노.. 태화당수세록 2019.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