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1999년 구폐유감( 狗吠遺憾) 구폐유감( 狗吠遺憾) 인가시구일야폐(隣家屎狗日夜吠) 이재구성구재이(耳在狗聲狗在耳) 수연호오무이상(雖然好惡無二相) 하사춘소두견제(何似春宵杜鵑啼) 인가(隣家)의 똥개가 일야(日夜)로 짖나니 귀는 개소리에 있고 개는 귀에 있도다 비록 그렇게 호오(好惡)가 두 모양이 없지만 어찌.. 태화당수세록 2019.08.01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1999년 과아산로음(過牙山路吟) 과아산로음(過牙山路吟) 노상무수왕래인(路上無數往來人) 종하처래지하소(從何處來至何所) 노변황하지내유(路邊黃花知來由) 수풍동서미미소(隨風東西微微笑 ) 노상(路上)의 무수한 왕래인이여 어느 곳으로부터 와서 어느 곳에 이르느냐 노변(路邊)의 황화(黃花)가 내유(來由)를 알아 동.. 태화당수세록 2019.08.01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1999년 무생(無生) 무생(無生) 목단하초농(牧丹夏初濃) 단풍구월홍(丹楓九月紅) 섬전리착안(閃電裏著眼) 방오시무생(方悟是無生) 목단은 하초(夏初)의 농염(濃艶)이요 단풍은 구월(九月)의 붉음이거니와 섬전(閃電) 속에 착안(著眼)해야 비로소 이 무생(無生)임을 깨치리라. 1~4행 목(牧)은 목단 목. 목단(牧丹.. 태화당수세록 2019.08.01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1999년 기이(奇異) 기이(奇異) 두견춘야몽(杜鵑春夜夢) 낙엽시월성(落葉十月聲) 가중기이사(可中奇異事) 불감향인경(不敢向人傾) 두견은 춘야(春夜)의 꿈이요 낙엽은 시월(十月)의 소리니 가중(可中)의 기이한 일을 감히 남을 향해 기울이지 못하겠네. 1~4행 두견(杜鵑)은 소쩍새. 두(杜)는 아가위 두. 견(鵑)은.. 태화당수세록 2019.08.01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1999년 광영(光影) 광영(光影) 이국미분향(籬菊未噴香) 정행이염황(庭杏已染黃) 어잠입심연(魚潛入深淵) 조탁숙시홍(鳥啄熟枾紅) 오십평생연(五十平生緣) 지재목전황(祇在目前恍) 갱유오십년(更有五十年) 언탈차영광(焉脫此影光) 이국(籬菊)은 아직 향기 뿜지 않는데 정행(庭杏)은 이미 노랗게 물들었도다 .. 태화당수세록 2019.08.01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1999년 적멸락(寂滅樂) 적멸락(寂滅樂) 학도구극시적락(學道究極是寂樂) 재섭적자전이착(才涉寂字前已錯) 좌각욕주주부득(坐覺欲住住不得) 필경애응여빙석(畢竟碍膺如氷釋) 학도(學道)의 구극(究極)은 이 적멸의 낙(樂)이지만 겨우 적자(寂字)에 건너기 전에 이미 틀렸도다 머물려 하여도 머묾을 얻지 못할 줄 .. 태화당수세록 2019.08.01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1999년 행주좌와(行住坐臥) 행주좌와(行住坐臥) 영행축생기(寧行畜生機) 부주조불위(不住祖佛位) 종래불습좌(從來不習坐) 수시와몽유(隨時臥夢游) 차라리 축생기(畜生機)를 행할지언정 조불위(祖佛位)에 머물지 않겠노라 종래로 좌선을 익히지 않은지라 수시(隨時)로 누워 몽유(夢游)하노라. 1행 녕(寧)은 차라리 녕... 태화당수세록 2019.08.01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1999년 지족(知足) 檀紀 4332(1999)年 己卯 지족(知足) 개구끽반곤래면(開口喫飯困來眠) 종일무사우유한(終日無事又幽閒) 사가영겁행이류(乍可永劫行異類) 부작부지족인간(不作不知足人間) 입 열어 밥 먹고선 곤하면 자나니 종일 일이 없고 또 유한(幽閒)하도다 차라리 영겁토록 이류(異類)를 행함은 옳거니와.. 태화당수세록 2019.08.01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1998년 힐재(詰齋) 힐재(詰齋)金雄虎 번뇌본시불심인(煩惱本是不尋人) 인자구구주홍진(人自區區走紅塵) 치신지요선성의(治身只要先誠意) 일심평회만법진(一心平懷萬法盡) 만법진처미철두(萬法盡處未徹頭) 수진일보달화원(須進一步達化源) 흡사남간무정수(恰似南澗無情水) 우방즉방우취원(遇方卽方又就.. 태화당수세록 2019.08.01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1998년 금족행(金足行) 금족행(金足行)李旺根 홍분이성단정낭(紅粉易成端正娘) 무전난주호한량(無錢難做好閑良) 쟁사추래상오야(爭似秋來霜午夜) 한청한안이삼향(閑聽寒雁二三響) 이행여항모홍진(你行閭巷冒紅塵) 아거청산대청송(我居靑山對靑松) 약지탁청원무성(若知濁淸元無性) 피모대각야종용(披毛戴角.. 태화당수세록 2019.08.01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1998년 법지행(法持行) 檀紀 4331(1998)年 戊寅 법지행(法持行)李壽姬 운백유청자분분(雲白柳靑自紛紛) 앵제연어각요란(鶯啼燕語各擾亂) 두두물물현진기(頭頭物物見眞機) 취중승당야대난(就中承當也大難) 월락한담본무심(月落寒潭本無心) 운수청풍역무련(雲隨淸風亦無戀) 약능답파무심처(若能踏破無心處) 견리.. 태화당수세록 2019.08.01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1997년 접몽(蝶夢) 접몽(蝶夢) 등한간롱처고물(等閒看壟覰故物) 시신제상원무상(始信諸相元無相) 재기일념격운니(才起一念隔雲泥) 영득접몽유수방(嬴得蝶夢有誰妨) 등한히 언덕을 보다가 옛 물건을 엿보니 비로소 제상이 원래 모양이 없다 함을 믿게 되었노라 겨우 한 생각 일으키면 운니(雲泥)처럼 막히.. 태화당수세록 2019.08.01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1997년 미오(迷悟) 미오(迷悟) 미시춘초승풍향(迷時春草乘風香) 오시추엽화우락(悟時秋葉和雨落) 춘맹불회청제은(春萌不會靑帝恩) 한핵언지상설력(寒翮焉知霜雪力) 미시(迷時)엔 춘초(春草)가 바람 타고 향기롭더니 오시(悟時)엔 추엽(秋葉)이 비에 섞여 떨어지도다 춘맹(春萌)이 청제(靑帝)의 은혜를 알지 .. 태화당수세록 2019.08.01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1997년 의의(依依) 의의(依依) 유안눈색요안나(柳岸嫩色撓眼娜) 수음구성발이타(藪陰鳩聲拔耳朶) 노거봉춘애석춘(老去逢春哀惜春) 주삼야삼사량다(晝三夜三思量多) 감인잉연호시절(堪忍仍然好時節) 두우유도불사타(杜宇猶道不似他) 세세춘광무흠소(歲歲春光無欠少) 무한행인의의다(無限行人依依多) 버.. 태화당수세록 2019.08.01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1997년 영춘(詠春) 영춘(詠春) 춘풍취이삼(春風吹二三) 기타자매염(幾朶紫梅艶) 숙지우과후(倏地雨過後) 만목청록염(滿目靑綠染) 거족망건곤(擧足忘乾坤) 하족실고금(下足失古今) 영빙불이보(伶俜不移步) 춘조전묘음(春鳥傳妙音) 춘풍이 두세 번 불매 몇 송이 붉은 매화가 아름답더니 별안간 비가 지난 후.. 태화당수세록 2019.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