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1126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18쪽

【俱盧舍】 <梵> krośa 里程名 牛聲或鼓聲得聞之最大距離 五百弓或五里 [玄應音義十八] ▲祖庭事苑四 五百里爲一俱盧舍 八俱盧舍爲一由旬 此當三十里也 구로사(俱盧舍) <범> krośa. 이정(里程; 노정. 길의 里數)의 이름. 소의 소리나 혹은 북의 소리를 들음을 얻는 최대의 거리니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17쪽

【篝燈】 外罩有竹籠的燈火 ▲五燈全書六十九劉道貞 下第南遊 得三峰藏語錄 篝燈讀竟 구등(篝燈) 바깥 가리에 죽롱이 있는 등화. ▲오등전서69 유도정. 하제(下第; 낙제. 낙방)하고 남쪽으로 유람하다가 삼봉장의 어록을 얻어 구등(篝燈)으로 읽어 마쳤다. 구라건타(佉羅騫馱) ☞ 가라건..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16쪽

【口頭聲色】 言句模樣也 ▲虛堂語錄一 眨上眉毛 早已蹉過 說甚麽口頭聲色 구두성색(口頭聲色) 언구의 모양임. ▲허당어록1. 눈썹을 깜작하면 벌써 이미 차과(蹉過; 어긋남)하거늘 무슨 구두성색(口頭聲色)을 말하느냐. 【救頭燃】 救頭上之燃 喩指拋棄萬事宜急修道 △別譯雜阿含經二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15쪽

【鉤頭】 卽鉤 頭 後綴 ▲五燈會元十九壽聖智淵 領取鉤頭意 莫認定盤星 구두(鉤頭) 곧 갈고리니 두는 후철. ▲오등회원19 수성지연. 구두(鉤頭)의 뜻을 영취(領取; 領悟)하고 정반성을 인정하지 말아라. 【口頭】 話語表面 ▲祖堂集六洞山問 心法滅時如何 師曰 口裏道得有什摩利益 莫信..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14쪽

【九帶禪】 見浮山九帶 ▲虛堂語錄一 請師提起九帶禪 爲我祝延兩宮壽 구대선(九帶禪) 부산구대를 보라. ▲허당어록1. 스님에게 청하오니 구대선(九帶禪)을 제기하시어 우리를 위해 양궁(兩宮)의 장수를 축원하소서. 【具德禮】 淸初臨濟宗僧弘禮 字具德 詳見弘禮 구덕례(具德禮) 청초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13쪽

【瞿唐】 見瞿塘 ▲增集續傳燈錄二大川普濟 雲遮劒閣三千界 水隔瞿唐十二峰 구당(瞿唐) 구당(瞿塘)을 보라. ▲증집속전등록2 대천보제. 구름은 검각의 삼천계(三千界; 界는 里로 의심됨)를 가리고 물은 구당(瞿唐)의 12봉을 막았다. 【瞿塘】 亦作瞿唐 爲長江三峽之首 也稱夔峽 西起四川..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12쪽

【瞿曇】 <梵> Gautama 或 Gotama 爲印度刹帝利種中之一姓 瞿曇仙人之苗裔 卽釋尊所屬之本姓 又作裘曇 喬答摩 瞿答摩 俱譚 具譚 此云地最勝 泥土 地種 暗牛 牛糞種 滅惡 又異稱爲日種 甘蔗種 ▲祖庭事苑四 甘蔗 世尊別姓有五 一瞿曇氏 二甘蔗氏 三日種氏 四舍夷氏 五釋迦氏 此五氏中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11쪽

【鉤紐】 慧琳音義六十一 鉤紐 賈注國語云 鉤 帶鉤也 說文 鉤 曲也 下女九反 說文云 紐 糸也 納結也 袈裟鉤紉也 ▲祖庭事苑八 黃瓊(天神名)又曰 西國比丘披著迦沙 多不齊整 諸離車子譏言 無有威儀 所披衣服 狀如婬女 猶如象鼻 佛因此制上安鉤紐 구뉴(鉤紐) 혜림음의 61. 구뉴(鉤紐) 가주..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10쪽

【口喃喃地】 形容多言貌 地 助詞 ▲碧巖錄第九則 如今禪和子 三箇五箇聚頭口喃喃地 便道 구남남지(口喃喃地) 말이 많은 모양을 형용. 지는 조사. ▲벽암록 제9칙. 여금의 선화자(禪和子)는 3개 5개가 머리를 모아 구남남지(口喃喃地)에서 곧 말한다. 【九年面壁】 卽禪宗初祖菩提達摩面..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09쪽

【求那跋陀羅】 Guṇabhadra (394-468) 此云功德賢 中天竺人 幼學五明諸論 天文書算 精硏三藏 通大乘學 有摩訶衍號 劉宋元嘉十二年(435)至廣州 宋太祖遣使迎至京師 譯出雜阿含經 法鼓經 勝鬉經 楞伽經 無量壽經等 共百餘卷 [梁高僧傳三 釋氏六帖九 開元釋敎錄五] ▲六祖壇經 其戒壇乃宋朝求那跋陀羅三藏創建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Guṇabhadra. (394-468) 여기에선 이르되 공덕현이며 중천축 사람. 어릴 적에 5명(明)의 여러 논과 천문과 서산(書算)을 배웠고 3장(藏)을 정밀하게 연구했음. 대승학에 통달해 마하연이란 호가 있음. 유송 원가 12년(435) 광주에 이르자 송 태조가 사신을 보내어 영접해 경사에 이르게 했음. 잡아함경ㆍ법고경ㆍ승만경ㆍ릉가경ㆍ무량수경 등 모두 백여 권을 번역해 내었음 [양고승..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08쪽

【九逵達】 淸代曹洞宗僧淨達 字九逵 詳見淨達 구규달(九逵達) 청대 조동종승 정달의 자가 구규니 상세한 것은 정달(淨達)을 보라. 【扣己】 叩問詰問自己 ▲五燈會元十八慈雲彦隆 諸禪德 這箇公案 喚作嚼飯餧小兒 把手更與杖 還會麽 若未會 須是扣己而參 直要眞實 不得信口掠虗 구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07쪽

【拘拘】 拘泥貌 ▲宏智廣錄八 千里同風休綴綴 十方一色尙拘拘 구구(拘拘) 구니(拘泥; 일정한 일에 얽매임)의 모양. ▲굉지광록8. 천 리에 같은 바람이니 철철(綴綴)을 그쳐라. 시방이 일색이거늘 오히려 구구(拘拘)하네. 【句句】 一句一句 ▲五燈會元七玄沙師備 鐘中無鼓響 鼓中無鐘聲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06쪽

【口掛壁上】 形容杜口之貌 引申爲言語道斷 心行處滅 ▲從容錄第四十六則 德山圓明大師示衆云 及盡去也 直得三世諸佛口掛壁上 猶有一人呵呵大笑 구괘벽상(口掛壁上) 입을 닫은 모양을 형용. 인신(引申; 轉義)하여 언어도(言語道)가 끊어지고 심행처(心行處)가 없음이 됨. ▲종용록 제46..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05쪽

【口過】 言語的過失 △孝經卿大夫 言滿天下無口過 ▲祖堂集十四百丈 師垂語云 古人擧一手 豎一指 是禪是道 此語繫縛人 無有住時 假饒不說 亦有口過 구과(口過) 언어의 과실. △효경 경대부(卿大夫). 말이 천하에 가득하면 구과(口過)가 없다. ▲조당집14 백장. 스님이 수어해 이르되 고..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04쪽

【九孔】 兩眼 兩耳 兩鼻 及口 大小便之九處也 又名九入 九漏 九瘡 [資持記中之二] ▲宗鏡錄三十二 九孔常漏膿血不淨 구공(九孔) 두 눈ㆍ두 귀ㆍ두 콧구멍 및 입ㆍ대소변의 아홉 곳임. 또 이름이 구입ㆍ구루ㆍ구창 [자지기중지2]. ▲종경록32. 구공(九孔)에서 늘 농혈과 부정이 샌다. 【俱..